안문생 박사의 약선설계론

약을 더 이상 쓸 수 없거나 아예 약을 쓸 단계를 넘어 선 환자, 혹은 장기간 약을 써도 몸만 상할 뿐 호전이 되지 않는 만성 질환, 면역 질환 등을 앓고 있는 환자들은 요양을 하면서 여러 가지 자연의 혜택을 누리려 하는데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이 음식이다.

중의학자들이 한방 고전 속의 식치방(食治方)에 맛내기 식품들을 더하여 효과도 있고 맛도 있게 하겠다는 의도로 - 선택한 식치방의 효과를 그대로 나타낼 수 있다는 객관적인 논리 제시가 없는 채로 - 만들어 유포시킨 것이 약선(藥膳, Curative Food)이다. 필자가 십여 년 연구로 객관적 논리를 창안함으로써 가능해진 합리적 약선 제작 방법이 약선설계(Planning of curative food)다.
[학력]
-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박사학위 취득(한의학)

[경력]
- 현 한국약선연구원 원장
- 현 안문생한의원 원장
- SBS 중국약선여행 전문연사
- MBC 라디오 동의보감 전문연사
- 경원대학교 사회교육원 약선강좌 외래교수
-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약선학 석사과정 겸임교수
- 원광한의대, 경원한의대, 상지한의대, 동의한의대 외래교수 및 강사(10년)
- 약선설계 관련 앱 개발

[저서]
- 2012 『약선설계학』
- 2012 『약선설계본초』
- 2003 『안문생 약선기』
- 『식의기초연구』
- 약선재료사전(App)
- 이안평가(App)

안문생
안문생

중의학자들이 한방 고전 속의 식치방에 맛내기 식품들을 더하여 효과와 맛을 둘 다 충족시키고자 만들어 유포시킨 것이 약선이다. 하지만 객관적인 논리의 제시는 없었다. 필자가 십여 년간의 연구로 객관적 논리를 창안함으로써 가능해진 합리적 약선 제작 방법이 ‘약선설계’다.

프로필 바로가기

2022 임인년(壬寅年) 제6기 건강음식

 

AMS 0032-main.jpg



임인년(壬寅年) 제6기(第六氣)는 2022년 11월 22일 소설(小雪)부터 대한(大寒) 전날인 2023년 1월 19일까지다. 임인년 제6기의 주기(主氣)는 태양한수(太陽寒水)이고 객기(客氣)는 궐음풍목(厥陰風木)이다. 제3객기인 사천(司天)은 소양상화(少陽相火)이고 제6객기인 재천(在泉)은 (厥陰風木)이 같다.


올봄에는 유난히 바람이 강하여 산불에 몹시 시달렸고 피해가 극심했는데 이는 올해의 대운(大運)이 강한 목운(木運)이기 때문이다. 대운과 사천의 관계가 목생화(木生火)이므로 사천이 대운을 억제하지 못하고 풍목(風木)이 온통 지구를 뒤덮었었다.


이제 제6기에 이르렀는데 이에 대한 『황제내경』의 설명을 의역하면 다음과 같다.


풍목(風木)이 재천(在泉)이므로 임인년 하반기는 기후가 따뜻한 편이고 바람이 많은 편이다. 그래서 추워야 하는 겨울에 춥지 않아 겨울이 봄 같을 때가 수시로 온다. 초목의 싹이 일찍 나오는 수도 있고, 하늘은 안개가 자욱하여 어둡고 희미할 때가 많다. 아래의 질병들이 발생할 수 있다.


⦁ 쇄쇄진한(灑灑振寒)

쇄쇄(灑灑)는 물을 좔좔 쏟아붓는 모양이므로 아주 많은 모양이고, 진한(振寒)은 춥다고 하면서 몸을 떠는 것이므로, 쇄쇄진한(灑灑振寒)은 “아이 추워, 아이 추워~!” 하면서 심하게 몸을 떠는 모양이다. 제6기는 한수(寒水)가 안으로 몰려 음정(陰精)을 저장하는 계절인데 객기(客氣)인 풍목(風木)의 방해로 조화가 깨지면서 발생하는 병증이다. 즉, 음기(陰氣)인 한기(寒氣) 위주로 생명의 질서를 유지하는 기간인데 양기(陽氣)인 풍기(風氣)에 의해 질서가 깨지는 현상이므로 당연히 풍기(風氣)를 제거해서 치료해야 한다.


⦁ 선신삭흠(善伸數欠)

신(伸)은 기지개를 켜거나 눕거나 해서 몸을 펴는 행동이고, 흠(欠)은 하품하는 것이다. 따라서 선신삭흠(善伸數欠)은 기지개를 켜거나 하품하기를 매우 자주 한다는 뜻이다. 음기(陰氣)가 아래에 쌓이는데 예정에 없는 양기(陽氣)가 위에 나타나면, 아래에 있는 음기는 아래로, 위에 있는 양기는 위로 각자 잡아당기기 때문에 발생하는 병증이다. 당연히 양기인 풍기를 제거해야 한다. 


⦁ 심통지만(心痛支滿)

심통(心痛)은 심장과 명치 부위의 통증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고, 지만(支滿)은 속이 치받치는 것 같으면서 그득한 것이다. 대개 풍한사(風寒邪)가 심포락(心包絡)을 침습하면 심통(心痛)과 기역(氣逆)이 발생하므로 심통지만(心痛支滿)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한기(寒氣) 위주의 시기이기 때문에 당연히 풍사(風邪)를 제거해야 한다.


⦁ 격인불통(鬲咽不通)

격인(鬲咽)은 열격(噎膈)이다. 음식이 목구멍으로 잘 넘어가지 못하거나, 넘어갔다 해도 위에까지 내려가지 못하고 곧 토하는 병증이다. 양기가 위에 흩어져 있고 음기가 아래에 몰려 있으면 상호 교류가 되지 않아 삼초(三焦)의 순환이 끊긴다. 그러면 진액이 흐르지 못하고 상하좌우의 기(氣)가 조화되지 못하여 막히므로 열격이 발병한다. 이것도 역시 한기(寒氣)가 아래에 몰려 있는 시기에 풍기(風氣)가 손님으로 몰려와 발생하는 병증이므로 당연히 풍기를 없애야 한다.


⦁ 그 밖의 병증

음양불화(陰陽不和)로 위기(胃氣)가 몰리고 내려가지 않아서 복내 가스가 많이 차고 딸꾹질을 자주 한다. 진액의 흐름이 좋지 않으면 습(濕)이 많아져 전신이 몹시 무거운 느낌을 벗어나지 못한다. 풍기(風氣)가 간(肝)을 핍박하여 양 옆구리 속이 긴장되어 당기는 병증이 발생한다.



AMS 0032-title.jpg


풍(風)은 양(陽)이고 온(溫) 하다. 따라서 성질은 시원하면서 맛은 매운 식품 위주로 음식을 만들어야 한다. 제6기는 한겨울이므로 그 한기(寒氣)로 생명 유지 물질들의 간격이 특별히 좁아져 단단하고 무거운 vital essence의 저장이 활발해야 하는데, 온풍(溫風)이 이를 흩트려 방해하므로, 견취(堅脆), 강하(降下)하는 쓴맛으로 보조해야 한다. 그러나 고미(苦味)의 하강(下降) 작용이 지나치면 신미(辛味)의 산풍(散風)에 지장을 초래하므로 쓴맛의 지나친 작용을 견제하기 위하여 약간의 단맛으로 이를 느슨하게 해야 한다.


이상의 치료 방법을 참고하여 주재료에 적합한 식품을 고르면 머위, 무, 미나리, 셀러리, 쑥갓, 콜라비 등을 들 수 있다.


AMS 0032-img-01.jpg


※ 본 내용은 필자의 개인적 견해로, KMCRIC의 공식적 견해와는 다를 수 있습니다.



© 안문생 박사의 약선설계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