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세계화 노트

올해, 38년간의 교수 생활을 마무리했습니다. 85년 대전대학교에서 시작하여 88년 모교 경희대학교에 돌아왔고, 2014년에는 단국대학교로 옮겼습니다. 그 사이에 대만 2회, 중국 1회, 미국 3회에 걸쳐 모두 6차례 교환 교수 활동을 하였고, WHO에서 5년,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3년을 대학 밖에서 지냈습니다.

한의학의 세계화라는 비전 아래, 제가 한의학 역사의 한 페이지를 주도했던 경험이 저에게는 큰 영광이자 보람으로 남습니다. 특히 5년간의 WHO 활동이 저에게는 커다란 축복이었습니다. 그때 저는 한의학을 위해서 남들이 모두 불가능하다고 했던 그러나 해내야만 했던 과업들을 완수하였습니다. 반대와 방해가 엄청났었지만 그 난관들을 극복하면서 한의학의 큰 물줄기를 이끌었습니다. 후에 ICD-11 26장으로 진화한 전통의학 국제 표준 용어의 제정, 수백 년 이상 각 나라마다 달리 썼던 침구 경혈 위치의 통일과 국제 표준 제정, 일본의 극심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CPG 가이드라인의 개발 등이 그것들입니다. 국내에서는 그다지 알려지지 않았지만, 이러한 내용들은 Nature와 같은 저널이나 논문에 소개되었고 전 세계의 교과서들이 다 바뀌었습니다.

이러한 성과들은 지금도 계속 진행 중입니다. 이제는 후학들이 이어 가기를 기대합니다.
[학력]
1981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1987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 박사학위 수여
1989 고려대학교 대학원 철학 석사과정 수료

[경력]
2021-현재 단국대학교 석좌교수
2020-현재 국제동양의학회 (ISOM) 회장
2020-현재 미국 Emory의대 겸임교수
2008-현재 대만 중국의약대학 객좌교수
2014-2016 단국대학교 부총장
2003-2008 WHO 서태평양지역 전통의학 자문관
2011-2014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
2008-2011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학장
2018-2019 한약진흥재단 이사장
2009-2011 세계전통의학대학협의회 (GUNTM) 창립인·회장

[상훈]
2014.10 세계 표준의 날 ‘勤政褒章’ 수상
2015.12 경희한의대 동문회 ‘자랑스러운 慶熙韓醫人賞’ 수상
2022.02. ‘綠條勤政勳章’ 수상

[저서]
Koonja Press, Pajoo, 2021
<韓醫學原論> 군자출판사, 파주, 2020
<內經病理學> 통나무, 서울, 1993, 1995(2판), 1999(3판), 2001(중국어판, 중의고적, 북경)
외 10권 및 180여 편의 논문

최승훈
최승훈

한의학 세계화의 아이콘. 대전대, 경희대, 단국대에서 38년간 교수로 재직, 대만 중국의약대학과 국가과학위원회, 중국 국가중의약관리국, Stanford 의대, Emory 의대 교환교수, WHO/WPRO 전통의학 책임자,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 한약진흥재단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국제동양의학회 회장, Emory 의대 겸임교수와 중국의약대학 객좌교수로 Boston에 살고 있다.

프로필 바로가기

#01. 대학 이야기 (1)

 

CSH 0001-main.jpg



예과 1학년


1975년, 한의대 입학 시절은 반정부 데모가 일상이었다. 벚꽃 만발한 교정에서 투석전에 참가했었다. 바로 앞에서 터진 최루탄으로 숨이 막혀 죽을 것 같았던 기억도 아련하게 남아 있다. 학교 수업은 휴강을 반복했다.


과 친구의 권유로 대학 연극 동아리인 ‘慶熙劇場(경희극장)’에서 연극 활동을 시작했다. 학기마다 하나의 무대를 올리는데, 1학기에는 카슨 맥컬러스 (Carson McCullers)의 ‘슬픈 카페의 노래 (The Ballad of the Sad Café)’에서 조연을 맡았었다. 2학기에는 알베르 카뮈 (Albert Camus)의 ‘正義(정의)의 사람들 (Les Justes)’을 공연 준비까지 다 마쳤으나 최종 대본 검열에 걸려 결국 무대에 올리지 못했다. 공연이 무산되던 날 밤, 단원들이 모여 늦게까지 뒤풀이를 했었다.


한참 거나하게 이야기들이 무르익어 가던 중, 가정과 선배가 나에게 “왜 연극을 하느냐?”라고 물었다. 그래서 “연극을 하면 인생을 공부할 수 있다고 해서”라고 대답했더니, 그 선배가 “그러려면 연극보다는 차라리 연애하는 것이 더 낫다.”고 한다. 그 말이 마음에 꽂혔고, 얼마 후 대학 입학시험을 마친 지금의 아내와 연애를 시작하였다. 물론 나의 연극 활동은 그것으로 끝났다. 발만 잠시 담갔던 셈이다. 그 후로 한의대에 ‘孤島劇會(고도극회)’라는 연극 동아리가 생겼다. 같이 하자는 제안이 있었으나, 나는 이미 연극에 대해 마음이 떠나 있었고, 중앙에서 놀다가 어찌 지방에서 구르겠냐는 오만함도 있었다.


예과 1학년 시절에는 모두가 실컷 놀아야 한다는 사명감으로 충만했었다. 그러나 입학하고서 한 달쯤 지났을까? 가까이 지내던 서울고 출신 친구가 동아리 참여를 권유했다. 동아리 이름이 ‘二五律(이오율)’인데, 한의학 이론 형성의 도구인 음양 '二'과 오행 '五'을 조화 '律'시킨다는 의미에서 지어진 이름이다. ‘律’은 작가 이청준의 소설 ‘調律師(조율사)’에서 따왔다고 한다. 우리보다 3년 선배들이 시작하였다. 회원들은 주로 서울 소재 명문고 출신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당시 학교에서 배우는 내용이 부실하고 기대에 못 미치다 보니 일부 학생들이 과외로 선행 학습을 시작한 것이 ‘이오율’의 출발점이었다. 처음 봄 학기에는 종로 화신백화점 맞은편에 있던 동양문화연구소에서 ‘漢文解釋法(한문해석법)’, ‘千字文(천자문)’, ‘四書三經(사서삼경)’ 등을 수강하였고, 여름방학 때에는 새벽에 명동의 한의원에 가서 원로 한의사 선생님으로부터 침을 배우기도 했었다.


여름방학 학원 새벽 종합반에 가던 교회 3학년 여학생이 같은 버스에 탔었는데, 그 여학생은 “대학 1년생이면 놀러 다니기도 바쁠 텐데 방학에 새벽부터 열심히 공부하러 가는 것이 의아했었다”라고 기억한다. 그 여학생이 바로 지금의 아내이다.


겨울방학 때에는 나중에 성균관장을 지내셨던 고 서정기 선생님으로부터 ‘周易(주역)’ 강의를 들었다. 서 선생님께서 강조하셨던 말씀 가운데 “遲進而速退(지진이속퇴, 서서히 나아가고 빨리 물러나라)”라는 구절은 그 후로 나의 인생 행보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예과 1, 2학년 겨울방학 두 번에 걸쳐 ‘주역’을 배웠다. ‘주역’은 우리들이 잘될 때는 교만하지 말고 겸손히 계속 노력하고, 좋지 않을 때는 실망하거나 포기하지 말고 더욱 분발 노력하라는 메시지를 주고 있다. 항상 겸손하고 의연하게 노력하라는 격언이다.


예과 1학년에는 학교 성적이 바닥을 기면서 겨우 유급을 면했으나, ‘이오율’과 ‘경희극장’ 활동으로 인해 나름 자신감과 낭만으로 충만했었다.


한편, 줄곧 마음속으로 예과 때 학교 공부는 소홀해도 영어와 철학 공부는 꼭 붙잡고 있었다. 철학으로 생각을 단련하고 영어로 그 생각을 두루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는 믿음이었다. 그러던 차에 겨울방학을 앞두고 학교 게시판에 커다란 빨간 글씨로 “AFKN Listening Association (ALA) 겨울 방학 특강” 광고가 붙어 있었다. 영어, 특히 청취력과 표현능력이 강조된 학습을 제공한다고 했다. 바로 등록하였다.


겨울방학을 맞아 철학으로는 동양문화연구소에서 ‘주역’ 공부를 하고, 영어 공부는 ALA에서 했다.



예과 2학년


ALA는 1974년 서울대 학생을 중심으로 주한미군방송 (American Forces Korea Network, AFKN)을 이용하여 영어 청취력과 말하는 능력을 계발한다는 취지에서 출범한 순수 학생 동아리이다. 내가 참여하기 시작한 1975년 겨울방학 때에는 이미 서울의 23개 대학의 학생이 참가하고 있었다. ALA는 동아리 운영 전반을 맡고 있는 중앙회와 각 대학 대표로 구성된 대의원회가 있다. 중앙회와 대의원회는 ALA의 양대 조직으로, 마치 사법부를 제외한 행정부와 입법부와 같은 구조이다. 각 대학의 등록 회원 숫자에 따라 50명 이내면 1명, 50~100명이면 2명, 100명 이상이면 3명의 대의원을 배정받는다.


대의원회의 중요한 기능은 중앙회를 감시하고 중앙회장을 선출하는 것이다. 중앙회 임원과 대의원들은 대부분 서로 비슷한 또래로 친구들처럼 가까이 지냈다. 일반 학기 중에는 중앙회에서 보내주는 학습지를 가지고 각 대학에서 공부하고, 방학 때는 공개 강의 형식으로 전 회원이 한곳에 모여 강의를 듣는다. 그때에는 국내 대학의 원어민 교수들이 직접 강의하였다. 이렇다 할 만한 영어학습법이 없던 시절이라 ALA는 급속도로 수도권 대학가를 점령하였고, 이내 국내 대학생 최대 자율 조직이 되었다. 지금은 사라진 광화문의 교육회관 대강당에서 방학 기간에 주중 매일 오전 강의가 천여 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하루는 강의를 마치고 중앙회에서 대학별 모임을 주선하였는데, 당시 경희대 학생들은 숫자도 적었고, 학내 동아리도 결성되어 있지 않았다. 그들은 나에게 경희대 ALA를 조직하도록 권유하였고, 이듬해인 예과 2학년 새 학기에 경희대 ALA를 조직하고 회장이 되었다. 경희대 ALA가 결성되면서 바로 기대 이상의 회원 확보 등 괄목할 만한 성과가 나오자 중앙회에서는 나에게 중앙회에서 같이 일할 것을 제안하였고, 2학기에 중앙회 기획부장이 되었다. 옳고 또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면 무엇이든 주어진 역할에 대해서 겁내지 않고 최선을 다해야 했다. 그리고 바로 실행에 옮겨야 한다. 누구에게도 주어진 시간은 많지 않기 때문이다.


중앙회 임원이 된 나는 학교 수업이 끝나는 대로 곧장 광화문 사무실로 매일 출근하여 늦게까지 교재 편집 작업을 하였다. 그 해 겨울방학 특강 때에는 주강사인 춘천 성심여대 Virginia 수녀님의 보조 강사 역할을 하기도 했었다. 그때 특별히 기억나는 것은, 1977년 1월 미국 39대 대통령 지미 카터 (Jimmy Carter)의 취임 연설이 강의 교재였다. 강의 교재 편집을 하면서 나는 그 연설 제목을 ‘American Dream Endures’로 뽑았었다. 그 제목이 다시 나에게는 “My Dream Endures”로 바뀌면서 내 인생의 중요한 키워드가 되었다.


일반 학기 중에는 학습지 판매 수입으로 광화문 사무실 임대료를 내며 겨우 운영을 할 수 있었지만, 방학 때 공개 특강을 진행하면 한 달 남짓 수입이 1,500만 원가량 되었다. 당시 대학생 동아리로서는 매우 큰 재정 규모였다. 그러다 보니 부득이하게 금전 관련하여 크고 작은 문제가 일어나곤 했는데, 당시 중앙회장이던 서울대 학생이 공금을 유용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그 친구는 나중에 트리오로 대학가요제에 참가하여 ‘젊은 연인들’을 불러 동상을 받기도 하였다. 그 사건을 자체적으로 수습하고 난 다음, 대의원회에서 중앙회장 선거를 하였다. 서울 치대 다니는 한 해 선배와 경합한 끝에 내가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비서울대 출신으로는 첫 중앙회장이었다.


중앙회 예산이 크다 보니 그를 노린 가짜 서울대 학생이 수개월간 신분을 속이면서 우리들과 같이 생활하기도 했었다. 또 미국에서 박동선 로비 사건이 터지자 정부에서는 국내 언론에 대한 보도 통제를 했었는데, AFKN에서는 거르지 않은 채 그대로 뉴스로 나갔다. 그 사건의 심각성과 파장을 감지한 우리 편집부에서 미리 그 내용은 빼고 교재를 만들었었다. 그러나 ALA는 이미 외부 지원을 받지 않는 대학 동아리로서 국내 최대 회원을 보유하였고, 학생 조직으로서는 지나치게 큰 재정 규모를 가지고 있으며, 방학 때마다 서울 중심가에 천여 명의 학생들을 한꺼번에 끌어모으는 활동으로 자연스럽게 경찰 등 사찰 기관의 요주의 대상이 되고 있었다.


한편, 그해 겨울, 나는 ‘이오율’로부터 퇴출당했다. 하라는 공부는 열심히 안 하고 영어 공부로 너무 나돌아친 것이 선배들이나 동기들 눈 밖에 나고 있었다. 결정적인 계기는 12월 31일 1박 2일 모임에 불참한 것이었다. 교회에 다니던 나는 송구영신 예배 참석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었다. 그런 일이 있고 나서 얼마 후, 전체 모임에서 한 선배가 “소나무, 참나무” 운운하면서 내가 그 조직과 결이 다르다는 비판을 하였다. 내가 참나무인지 소나무였는지는 잘 기억이 안 나지만, 당시 나도 그 동아리에 대해서는 더 미련이 없었다. 선행 학습으로 학교 공부 무시하고, 남보다 앞서간다는 다소 교만스러운 자세는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주어진 상황에서 지켜야 할 것은 지켜야 한다. 그리고 항상 겸허해야지.


(다음 편에 계속)



© 최승훈 교수의 나의 세계화 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