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세계화 노트

올해, 38년간의 교수 생활을 마무리했습니다. 85년 대전대학교에서 시작하여 88년 모교 경희대학교에 돌아왔고, 2014년에는 단국대학교로 옮겼습니다. 그 사이에 대만 2회, 중국 1회, 미국 3회에 걸쳐 모두 6차례 교환 교수 활동을 하였고, WHO에서 5년,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3년을 대학 밖에서 지냈습니다.

한의학의 세계화라는 비전 아래, 제가 한의학 역사의 한 페이지를 주도했던 경험이 저에게는 큰 영광이자 보람으로 남습니다. 특히 5년간의 WHO 활동이 저에게는 커다란 축복이었습니다. 그때 저는 한의학을 위해서 남들이 모두 불가능하다고 했던 그러나 해내야만 했던 과업들을 완수하였습니다. 반대와 방해가 엄청났었지만 그 난관들을 극복하면서 한의학의 큰 물줄기를 이끌었습니다. 후에 ICD-11 26장으로 진화한 전통의학 국제 표준 용어의 제정, 수백 년 이상 각 나라마다 달리 썼던 침구 경혈 위치의 통일과 국제 표준 제정, 일본의 극심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CPG 가이드라인의 개발 등이 그것들입니다. 국내에서는 그다지 알려지지 않았지만, 이러한 내용들은 Nature와 같은 저널이나 논문에 소개되었고 전 세계의 교과서들이 다 바뀌었습니다.

이러한 성과들은 지금도 계속 진행 중입니다. 이제는 후학들이 이어 가기를 기대합니다.
[학력]
1981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1987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 박사학위 수여
1989 고려대학교 대학원 철학 석사과정 수료

[경력]
2021-현재 단국대학교 석좌교수
2020-현재 국제동양의학회 (ISOM) 회장
2020-현재 미국 Emory의대 겸임교수
2008-현재 대만 중국의약대학 객좌교수
2014-2016 단국대학교 부총장
2003-2008 WHO 서태평양지역 전통의학 자문관
2011-2014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
2008-2011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학장
2018-2019 한약진흥재단 이사장
2009-2011 세계전통의학대학협의회 (GUNTM) 창립인·회장

[상훈]
2014.10 세계 표준의 날 ‘勤政褒章’ 수상
2015.12 경희한의대 동문회 ‘자랑스러운 慶熙韓醫人賞’ 수상
2022.02. ‘綠條勤政勳章’ 수상

[저서]
Koonja Press, Pajoo, 2021
<韓醫學原論> 군자출판사, 파주, 2020
<內經病理學> 통나무, 서울, 1993, 1995(2판), 1999(3판), 2001(중국어판, 중의고적, 북경)
외 10권 및 180여 편의 논문

최승훈
최승훈

한의학 세계화의 아이콘. 대전대, 경희대, 단국대에서 38년간 교수로 재직, 대만 중국의약대학과 국가과학위원회, 중국 국가중의약관리국, Stanford 의대, Emory 의대 교환교수, WHO/WPRO 전통의학 책임자,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 한약진흥재단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국제동양의학회 회장, Emory 의대 겸임교수와 중국의약대학 객좌교수로 Boston에 살고 있다.

프로필 바로가기

#02. 대학 이야기 (2)

 

CSH 0002-main.jpg



(전편에 이어서)


본과 1학년


본과 1학년에는 본초학, 해부학 등 절대 학습 시간이 필요한 주요 암기 과목들이 포진해 있다. ALA 중앙회장으로서 그런 학습을 하기 위한 최소한의 시간을 확보하기가 당연히 버거웠다. 다른 친구들이 학교 중앙도서관으로 향할 때 나는 광화문의 중앙회 사무실로 달려가야만 했다. 때로는 사무실에서 밤을 새워야 했고.


하루는 수업 중에 학과장 홍원식 교수님의 호출이 있었다. 본관 학생처 심 모 주임도 같이 왔는데, 나 더러 ‘혹시 4월 15일 광화문 모 다방에서 ALA 대의원회 소집했느냐?”고 묻는다. 그렇다고 했더니 ”당장 그 모임 취소시키라.”고 종용하였다. “왜 그러느냐?”고 물었더니, “몰라서 묻느냐? 그날이 김일성이 생일 아니냐?”고 한다. “알았다.”고 하였다. 그 일이 있고 나서 홍 교수님과는 오히려 가까운 사이가 되었다. 하루는 안덕균 교수님과 같이 계시면서, 나에게 말씀하셨다.

“최 군, 앞으로 자네가 한의학을 영어로 강의할 수 있어야 해. 알겠나?”

“예. 잘 알겠습니다.”


1학기가 거의 끝나갈 무렵, 아버지께서 불의의 낙상 사고를 당하셔서 한남동 순천향병원에 입원하셨는데, 내가 가족 중에서 대표로 입원실 간병을 하면서 숙식을 같이하였다. 그러는 사이 당시 ALA 대의원회 의장이던 한국외국어대 김 모 학형이 남산 안기부에 끌려가는 일이 발생했다. 다행히 일주일 만에 풀려나왔는데, 중앙회장인 나 대신 끌려갔었다고 한다.


영어 공부 좀 더 잘해보려고 ALA를 시작하였는데, 하루하루가 내가 생각지 않았던 길로 마구 치닫고 있었다. 병원에서 간병하면서 곰곰이 생각했다. 인생을 살면서 本末(본말)이 바뀌어서는 안 된다. 한 학기를 마치고 ALA 중앙 회장직을 사임하였다. 덕분에 학과와 대학 본관으로부터 “영어를 잘한다.”, “대외활동과 리더십이 좋다.”는 평판을 얻었다.



본과 2학년


밖으로 돌다가 이제는 돌아와 차분하게 학교 공부에 전념하기 시작하였다. 과목 중에는 병리학이 가장 마음에 들었다. 병리학을 강의하셨던 고 문준전 교수님은 한의계 엘리트이자 넘치는 자부심과 함께 깔끔한 신사로 학생들 사이에 인기가 있으셨다. 예과 1학년 때 시험지를 선풍기에 날려 멀리 나가는 순서대로 학점을 주신다는 서양철학사의 박경화 교수님 과목에서 A를 받아 본 이래 처음으로 병리학에서 A+를 받았다. 박 교수님은 그 이듬해 이화여대로 옮기셨는데, 아내가 마침 그분 강의를 들었다. 내가 리포트도 정성껏 도와주었는데 아내의 시험지는 멀리 날아가지 못했는지 B 학점을 받았다.


무사히 한 해를 마무리하고 겨울방학 시작하고 나서 며칠 후, 병리학 교실 안규석 조교로부터 전화 연락이 왔다. 문 교수님 박사학위 논문의 참고문헌 작업을 도와 달라고 하셨다. 그 당시 처음으로 한의학 박사 학위과정이 생겨 재직 교수들이 먼저 그 과정을 밟으셨다. 참고문헌이 대부분 영어 논문이기 때문에 영어를 좀 한다는 이유로 내가 부름을 받은 것이다. 한의학이 아니라 그 영어 때문에 내 운명은 나도 모르게 새로운 길로 접어들고 있었다. 과연 ‘역사는 변경에서 이루어진다.’


그다음 날부터 학교에 나가서 시키는 대로 의대 도서관으로 가 참고문헌을 검색, 확인하고 복사해왔다. 지금은 자기 방에서 Google scholar를 이용하면 간단히 끝나는 작업이지만, 당시만 해도 직접 도서관에 가서 일일이 논문을 확인하고 복사해야만 했다. 문 교수님은 나에게 하루에 논문 10개씩 배당해 주셨고, 나는 매일 서울 의대, 연세 의대, 가톨릭 의대 도서관에 다녀왔다. 해야 할 일은 열심히 하는지라 10개를 시키면 12개, 15개씩 추가로 확인하고 복사해왔다.


기대 이상이라 여기셨던지 시키시는 일이 점점 더 다양해지고 많아졌다. 매일 밤 10시 넘게 작업하다가 엘리베이터도 없고 불 꺼진 의약관 8층에서 퇴근하자면 계단을 발로 내디뎌 더듬으면서 한참을 내려와야 했다. 한차례 논문 심사를 받을 때마다 쏟아져 나오는 수정 내용을 모두 원고지에 옮겨 쓰는 역할까지 맡게 되었다. 그러면서 내 마음에는 조금씩 학문의 매력과 그 보람에 거는 기대가 싹트기 시작하였다.


한의대에 입학할 때 나는 40세까지 한의사로서 열심히 환자를 보고 돈을 모아 그다음에는 내 마음대로 하고 싶은 일을 하려고 했었다. 영어 공부를 열심히 했던 것도 더 넓은 세상으로 마음껏 돌아다니고 싶었던 때문이었다. 당시에는 인생의 비전이나 꿈에 대해 이야기해 주는 어른이나 멘토가 없었다. 그러니 그저 막연하게 손에 피 안 묻히고 편안하게 돈 잘 벌 수 있는 직업으로서 한의사를 생각했었다. 물론 부친의 경험과 권유가 결정적이었지만. 그랬던 생각이 문 교수님을 만나면서 바뀌었다.


“아, 학자가 되어야지. 오래가고 좋은 영향력을 가질 수 있는 학자가 되어야지.” 2천 년이 지나도 사람들은 '傷寒論(상한론)'을 쓴 張仲景(장중경)을 기억한다. 100년만 지나도 김대중을 기억하는 사람이 있겠는지. 仲景이 될 것인가? DJ가 될 것인가?



본과 3학년


지난 겨울방학을 온전히 병리학 교실에서 지내고 난 다음, 나는 미래 한의학자가 되기 위한 연습을 시작하였다. 임상 과목이 많은 학교 공부에 열중하면서 학점 관리도 착실히 해 나갔다. 당시 매년 경희대와 원광대는 교대로 杏林祭(행림제)를 주최하였는데, 그 행사의 백미는 학생들의 학술발표대회였다. 그 해 원광대에서 문 교수님을 지도 교수로 모시고 “鼻衄(비뉵)의 병리에 관한 문헌적 고찰”이라는 논문을 발표하였다.


친구 준현이에게 발표 제한 시간이 다가오면 객석에서 플래시로 사인을 보내도록 했고, 또 한 학년 아래 여학생 후배에게는 질문 내용을 미리 주어 질문하도록 부탁해 놓았다. 덕분에 정확하게 발표 시간을 맞추었는데, 문제는 그 후배 여학생이 하라는 질문 내용을 무시하고 다른 질문을 해왔다. “鼻衄의 주요 병인은 火(화)와 熱(열)인데, 발표 내용에 濕(습)도 있습니다. 濕이 어떻게 鼻衄을 일으킵니까?” 각본과 달라 순간 당황하였지만, “濕이 오래되어 울체되면 熱이나 火로 바뀌어 鼻衄을 일으킵니다.”라고 답하였고 우수상을 받았다.


그 해 여름방학에는 오지의 무의촌 의료봉사를 세 군데나 가는 등 방학 때마다 기회가 되는대로 의료봉사를 통해 임상 연습을 부지런히 하였다. 학교에서는 임상 실습을 제대로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졸업전까지 침 한번 놓을 수 없는 것이 한의대 임상 교육의 실상이었다. 예과 1학년 여름방학에 배운 침 실력으로 그해 겨울 교회 박 권사님의 四關(사관)을 터서 자리를 털고 일어나시게 한 이래로 돌팔이 침쟁이 연습을 꾸준히 해왔다. 물론 가끔 젊은 친구가 참 신통하다는 말도 듣기는 하였지만, 지금 나는 학창 시절 나에게 침을 맞았던 모든 분께 감사와 사과의 말씀을 동시에 드리고 싶다. 그분들이 나를 키워 주신 거나 다름없다.


CSH 0002-img-01.jpg

본 3 여름방학 충북 영동 의료봉사 현장

나는 주로 豫診(예진)을 담당했었다. 그래야 짧은 시간 동안 많은 환자를 접할 수 있다. 이 경험이 단초가 되어 후에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병리학 교수로서 부속병원에서 예진 실장을 맡았고, 모든 初診(초진) 환자의 辨證(변증)을 진행하고 임상 각과로 배분했었다.


예과 1학년 겨울 방학이 끝나 갈 무렵, 아내가 대학 입학시험을 마치고 나서 우리는 본격적으로 만나기 시작하였다. 두 가정 모두 증조할머니 때부터 4대째 교회를 다니는 기독교 집안이다. 어릴 때부터 같은 교회에 다녔기 때문에 집안끼리도 서로 잘 알고 지내는 사이였다. 장인은 신의주가 고향으로 일제 치하에서 신의주 사범을 졸업하시고 학교 선생님을 하시다가 홀로 월남하셨다. 탈북 후 경찰에 몸담으시다가 6·25 때 이승만 대통령을 따라 대구로 내려와 근무하시던 중 은행에 근무하시는 장모님과 만나 결혼하셨다. 외로운 분이셨다.


문제는 장인어른의 형과 매형이 일제강점기에 세브란스 의전을 나왔고, 아들도 서울 의대에 다니고 있었기 때문에 나에게 ‘의사면 의사지, 한의사가 뭐냐?’, ‘인간적으로는 좋은데, 사위로는 아니다.’는 생각을 가지고 계셨다. 아내에게는 나를 만나지 말라는 압력을 넣으셨다. 그러나 내가 그 집에 놀러 가서 뵈면 언제나 말씀도 구수하게 잘하시고 다정히 대해 주셨다. 아내는 아버지와 나 사이에서 오랫동안 갈등을 겪었었다.


본과 3학년 봄, 장인어른께서 갑자기 뇌졸중으로 가벼운 반신마비와 언어 곤란 증상이 발생했다. 장모님의 요청으로 當歸飮子(당귀음자) 처방과 함께 하루걸러 침을 놔 드렸고, 두 달이 조금 넘어 완쾌되셨다. 장인어른께서는 장모님께 “최 군에게 양복 한 벌 해 주라.”는 말씀을 하셨고, 그 뒤로 아내는 나와 마음 편히 만날 수 있었다.


CSH 0002-img-02.jpg

본 3 한의대 축제에서 지금의 아내와 함께

당시 축제 사회자가 “같이 온 파트너의 주민등록번호를 아는 사람?”이라는 문제를 내자, 내가 가장 먼저 무대로 뛰어 올라가 답하고 상을 받았다. 아내와 나의 주민등록번호는 앞의 숫자 맨 마지막과 뒤의 숫자 맨 처음 1과 2만 다르고 나머지는 똑같다. 그래서 우리는 위기의 순간마다 서로 운명이라고 다짐하면서 극복했었다.



본과 4학년


본 3 때부터 청파동의 문 교수님 댁에 자주 놀러 갔었다. 그때마다 단아한 모습의 이대 불문과 출신 사모님께서는 문간방으로 주안상을 깔끔하게 내오셨다. 그러고는 밤늦게까지 교수님과 담소를 나누었다. 평안도 고향 일대의 名醫(명의)셨던 선친 이야기, 전쟁 나던 해 경기중에 입학했다가 전시에 돌아와 서울중고를 졸업했던 이야기, 동양의대 재학 시절 학생회장으로서 정부의 폐교 조치에 항거하는 데모에 앞장섰던 이야기, 良導絡(양도락) 진단 처방 이야기, 한의계의 현안과 미래에 대한 이야기, 끝이 없었다. 또 엄지척을 하시면서 “우리도 노랑머리 파란 눈동자들에게 줄 게 있어야 한다.”고 힘주어 하신 말씀이 나에게는 ‘한의학의 세계화’로 진화하였다.


문 교수님은 조영식 학원장님 주례로 결혼하셨는데, 종종 학원장님이 하셨던 말씀도 전해 주셨다. “인생은 멋과 보람이 있어야 한다.” “역사는 邊境(변경)에서 이루어진다.” 등. 한의학 분야에서 영어는 '변경'에 해당한다. 그 변경에 해당하는 영어가 나의 인생을 열어주었다. 나의 역사를 이끌었다. 점차로 나는 문 교수님처럼 학자의 길을 가야겠다는 결심을 키우고 있었다. 그러나 교수님은 나의 졸업 후 진로에 대해 말씀하지 않으셨다. 그에 관한 말씀을 오랫동안 기다렸으나 끝내 실망스러웠다.


한편, 나에게는 한의대를 졸업한다고 하지만 앞으로 의료인으로서 제대로 먹고 살 수나 있겠나 싶은 막연한 불안과 회의감이 있었다. 허접한 대학 교육, 불합리한 한의 관련 의료제도, 학계와 임상가의 취약한 역량 등이 그 이유였고, 더 솔직히 말하자면, 나 자신이 대학에서 의료인으로서 충분한 교육과 훈련을 받지 못했다는 불만이 깔려 있었다. 게다가 인간적으로 가장 존경하고 또 가깝다고 생각했던 문 교수님 문하로 들어갈 수 없다는 실망감이 나로 하여금 졸업 후 한의계를 벗어나 다른 분야로 가서 제대로 공부해 보자는 결심을 하게 만들었다.


4학년에 올라가자마자 어머니의 소개로 몇 년 전 돌아가신 KAIS 대학원 (나중에 KAIST로 바뀜) 생명과학과의 변시명 교수님을 홍릉 캠퍼스로 찾아가 뵈었다. 변 교수님께서는 ‘생화학’, ‘미생물학’ 등 입시를 위한 교재를 주셨고, 나는 KAIS 대학원 입학시험 공부를 시작하였다.


그렇게 2학기가 시작되고 며칠이 지날 무렵, 학교에서 문 교수님과 마주쳤는데, “요즘 어떻게 지내느냐?”고 하시길래, “KAIS 대학원 진학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고 했더니, 깜짝 놀라시면서 “정 그렇게 공부하고 싶으면 나와 같이 하자.”고 하셨다. 나는 그날로 KAIS 대학원 진학 준비를 접고, 한의사 국가시험과 한의 대학원 진학 준비를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그간 문 교수님께서는 조교 인력 제한 때문에 나에게 조교 말씀을 못 하셨다고 한다. 그 후로 본관에 부지런히 다니시면서 전임 조교 자리 하나를 만들어 오셨다.


CSH 0002-img-03.jpg

본 4 시험공부 틈틈이 과 친구인 준현과 바이올린을 배웠다. 후에 딸이 바이올린으로 예원학교를 다녔고, 지금은 두 손주가 Boston Youth Symphony Orchestra (BYSO)에서 바이올린을 연주하고 있다.


CSH 0002-img-04.jpg

본 4 여름으로 기억한다. 아는 후배 얼굴들이 보인다.


CSH 0002-img-05.jpg

졸업식 날, 대학 부속 한방병원의 蔡炳允(채병윤) 교수님께 인사드렸다. 본 3 때 과외로 故 蔡仁植(고 채인식) 교수님과 아드님이신 채병윤 교수님으로부터 ‘醫學入門(의학입문)’을 배웠다. 채 교수님께서는 마지막 날 ‘醫學心悟(의학심오)’를 선물하시면서 ‘熟讀此書 獨開新境(숙독차서 독개신경)’이라 써 주셨다. 그 후로 나는 그 책을 거의 외우다시피 했고, 淸代(청대) 임상의 精髓(정수)와 辨證(변증)의 시작을 배울 수 있었다.



© 최승훈 교수의 나의 세계화 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