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경력]
- KTX 매거진 기자
- 공감인베스터 팀장, 공감미디어홀딩스 기획팀장
- 2017 서울국제불교박람회 언론홍보 총괄 및 촬영팀장
- 월간 트래비·여행신문 객원기자
- 월간 불광 잡지팀 취재 및 편집기자
- 동방대학원대학교 전략기획실 연구원
- 법보신문 편집국 취재·편집기자

[기타 활동]
- 포항KBS ‘동해안 오늘’ 고정 패널 출연
- MBC ‘노중훈의 여행의 맛’ 패널 출연
- MBC ‘이 사람이 사는 세상’ 패널 출연
- KTX 매거진, 론리플래닛, 더트래블러, 웅진싱크빅북클럽 등 칼럼 기고
- 계간 문화공감, KOFIH 전담 객원 포토그래퍼
- 미붓아카데미 ‘21세기, 불교를 철학하다’ 진행 및 홍보

[수상 내역]
- 한국불교기자대상 ‘한국 불기 2550년 틀렸다’ 특별상 수상 (2006년)
- 제16회 불교언론문화상 대상 (법보신문 기획취재팀) 수상 (2009년)

[저서]
- 2016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 2018 『더 오래가게』

정태겸
정태겸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프로필 바로가기

파주 DMZ 여행과 장단콩 정식

 

JTG 0112-main.jpg



DMZ로 들어갔다. 개인적으로 민간인통제구역 내에 들어간 것은 2007년 이후 15년 만의 일. 2008년 금강산 피격 사건으로 중단한 북측 여행이 내내 아쉬운 시간이었다.



끝나지 않은 희망


이게 대체 몇 년 만인가. 2008년 통일부 행사 취재로 개성을 다녀온 이후 15년 만에 다시 민간인통제구역을 넘었다. 경기문화재단이 기획하고 있는 행사를 위한 자리였다. 버스 차창 밖으로 북으로 향하는 이정표가 보일 때마다 오묘한 감정에 휩싸였다. 다시 이 길이 북으로 열릴 수 있을까? 도라산역 넘어 남측의 통문을 통과해 영화에서만 보던 군복을 입은 북측 군인이 열어주는 통문을 지나가던 그 광경을 다시 볼 수 있을까? 무심히 지나가는 세월이 야속하기만 했다. 그래도 굳게 닫혀 있던 민통선이 잠시나마 민간에 열렸다는 것만으로도 조금이나마 마음의 짐이 가벼워지는 기분도 들었다.


JTG 0112-img-01.jpg


통제구역 안쪽, 한국 국적을 가진 사람은 더 이상 마음대로 드나들 수 없는 파주시 장단면의 통일촌마을이 첫 번째 목적지였다. DMZ 서부전선 민간인통제구역 안에 자리 잡고 있다. 일반적인 여행으로는 한국인 마음대로 방문할 수 없는 곳이다. 오로지 마을주민만이 통제구역을 넘나들고 있고, 이따금 한국으로 여행을 온 외국인 여행객이 이 마을을 찾는다.


JTG 0112-img-02.jpg


과거 이곳은 민 씨, 최 씨, 박 씨, 이 씨의 집성촌이었다고 한다. 한동안 비어 있던 이곳에 1973년 8월 분단으로 고향을 떠났던 이들 중 80호가 다시 정착할 수 있게 됐다. 전쟁의 포화를 피해 떠난 지 20년 만의 일이었다. 통일촌의 역사와 현황을 보여주는 마을 내 박물관의 자료에 적힌 “잠깐만 나갔다 오라더니…”라는 문구가 강렬하게 눈에 다가와 박힌다. ‘잠깐’이 20년이었다. 삶의 모든 것을 두고 떠나 20년 만에 돌아온 사람들의 기분이 어땠을까. 미루어 짐작하기도 어렵다. 어릴 적 이곳으로 돌아와 평생 동네를 지키고 있는 마을 사람의 목소리는 덤덤하다. “과연 끝이 있기는 한 건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입 밖으로 낼 수 없는 많은 이야기를 줄여버렸다.


JTG 0112-img-03.jpg


마을의 풍경은 1970~80년대 볼 수 있었던 여느 시골의 정경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지금도 지역에는 그때 지은 가옥을 흔히 볼 수 있으니 이질감 같은 건 느껴지지 않는다. 멀리 보이는 인공기가 높이 펄럭이고 있지 않았다면 이곳을 전라남도 어디라고 해도 믿을 판이다. 다만 땅 아래의 사정은 많이 다르다. 이곳에는 크게 두 군데의 방공호가 있다. 만약 북측과 교전이 벌어지거나 포탄이 떨어지는 상황을 대비한 시설이다. 마을 한쪽의 입구를 들어가면 컴컴하고 습기가 축축하게 느껴지는 시멘트 방공호로 이어진다. 이곳이 예전부터 만들어 두었던 구식 방공호라고 했다. 마치 영화에서 보았던 도심의 하수구 시설을 닮았다. 반면 여기서 멀지 않은 곳에 새로 지은 신식 방공호는 사정이 좀 나은 편이다. 습기도 덜하고 훨씬 밝다.


JTG 0112-img-04.jpg


방공호 밖으로 나오니 마을의 담장에 평화를 상징하는 온갖 문구와 그림이 보인다. 이 마을에는 몇 년 전부터 예술인들이 들어와 거주하며 예술을 통한 평화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어떻게 하면 정전을 넘어 평화를 이야기하고 통일을 그릴 수 있는지 고민이 많다고 했다. 설명을 들으며 아무런 위협도 느껴지지 않는 땅에 서린 보이지 않는 긴장감이 현실적으로 다가오는 듯했다.


JTG 0112-img-05.jpg



미군이 남기고 간 유산


주어진 시간이 짧은 데 가야 할 곳은 많다. 다음 목적지는 DMZ 남방한계선에서 불과 2킬로미터 떨어진 캠프그리브스다. 이곳은 한국전쟁 이후 50년 동안 미군이 주둔했던 미군기지다. 미 2사단 506연대가 머무르며 전쟁을 대비하고자 했다. 미 2사단이 철수하면서 국내 미군의 재편이 이루어졌고, 이때 506연대는 후방으로 자리를 옮겼다. 빈 시설은 자칫 버려질 수도 있었지만, 경기도와 경기관광공사가 이 자리를 평화통일 체험시설로 사용하고자 했다. 과거 장교 숙소인 BOQ는 민간인통제구역 내 유일한 숙박시설인 유스호스텔로 재탄생했다. 인솔 교사의 방과 10인실, 장애인실 등을 별도로 만들어 두었는데, 겉보기에는 시설이 썩 괜찮다. 그러나 아쉽게도 남북 상태가 반목하는 상황으로 흐르면서 현재는 민간인 이용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JTG 0112-img-06.jpg


JTG 0112-img-07.jpg


곁으로 줄줄이 늘어선 반원통 형태의 건물은 과거 병사들의 막사로 이용하던 것이다. 이 공간 중 일부는 6·25전쟁과 관련한 각종 자료를 전시한 전시관으로 활용 중이다. 그중 중립국감독위원회(NNSC) 박물관은 꼭 들러보자. 중립국감독위원회는 스위스, 폴란드, 스웨덴, 체코슬로바키아 4개국으로 이루어진 기구였다. 1953년 7월 27일 정전 협정의 조인 및 북측과 남측의 관계를 통제하는 역할을 했다.


JTG 0112-img-08.jpg

JTG 0112-img-09.jpg


당시 한국의 유엔사령부가 2개의 국가를, 북한과 중국에서 2개의 국가를 지명해서 만들었는데, 전쟁에 참여하지 않은 국가 중에 선정했다고 전한다. 현재도 한국 측의 스위스와 스웨덴은 남아서 활동을 이어가고 있고, 폴란드는 본국에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전쟁 당시의 여러 자료사진과 함께 문헌자료 등이 남아 있다. 사진만 보는데도 전쟁으로 처참하게 망가진 우리의 국토의 모습에서 가슴이 아려온다.


JTG 0112-img-10.jpg


JTG 0112-img-11.jpg


캠프그리브스에서 정전 협정과 연관된 사전지식을 익혔다면 다음에는 진지 뒤편의 탄약고로 향한다. 지하 방공호에 구축해 놓았던 탄약고 입구에는 오래된 탄약통이 있는데, 녹슨 그 안에는 이미 떠나버린 새의 둥지만 덩그러니 남았다. 그 풍경이 여러 생각을 하게 만든다. 익숙한 듯 낯선 군의 진영을 가로질러 구태여 이곳까지 온 이유는 이승근 작가의 <이 선을 넘지 마시오>라는 작품을 보기 위함이다. 이 작품은 휴전 상태에 처한 한반도를 탄약고 안에 구현해 놓은 미디어아트다. 겉에서는 전혀 상상하기 어려웠던 작품이 그 안에 설치돼 있다.


JTG 0112-img-12.jpg  JTG 0112-img-13.jpg


컴컴한 내부에 들어서면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 어둠 속에 익숙해질 때쯤 프로젝터가 켜지며 이내 발아래로 ‘이 선을 넘지 마시오’라는 문장이 뜬다. 같은 공간임에도 관객이 넘어설 수 없는 휴전선이다. 그 선을 기점으로 휴전 협정이 이루어졌던 판문점이 모습을 드러내고 건물의 창문은 점차 철책 안에서 엄청난 속도로 생명력을 회복한 자연의 풍경으로 바뀌어간다. 관객이 한 걸음씩 걸어서 앞으로 나아갈 때마다 철책이 녹아 흐르고 거대한 자연의 복판으로 뒤바뀌는 걸 온몸으로 체험하게 되는데, 이 체험이 가슴을 뭉클하게 만든다. 2021년에 설치한 이 전시만 봐도 캠프그리브스를 방문할 가치는 충분하다.


JTG 0112-img-14.jpg


JTG 0112-img-15.jpg



장단면의 명물, 콩


전시를 본 후 다시 걸어갔던 길을 되짚어 오는 동안 이승근 작가의 작품이 선사한 감동은 길게 여운을 이어갔다. 역시 예술은 설득의 힘이 강하다. 경기도와 경기문화재단은 지금까지 캠프그리브스 곳곳에 여러 예술작품을 이식해 두었다. 최근에는 다시 캠프 전체에 걸쳐 리모델링을 진행 중이다. 이번 공사가 끝나면 이 공간은 앞으로 이곳을 찾아올 많은 사람에게 훨씬 더 진한 감동과 평화의 메시지를 전할 것이다.


여행의 마지막은 파주의 DMZ를 대표하는 음식으로 마무리하기로 했다. 파주 장단면은 ‘장단콩’으로 아주 유명하다. 원래 이 지역은 과거 경기도 장단군이었지만, 철책이 이 지역을 가로지르면서 파주시로 편입됐다. 장단군은 지형과 기후가 콩 재배에 매우 알맞은 곳이다. 다른 지역에 비해 장단군에서 재배한 콩은 훨씬 더 기름지고 고소한 맛이 도드라진다. 지금도 파주시 장단면 일대에서는 콩 재배를 많이 한다. 여기서 민통선 내 주민들이 재배한 콩으로 음식을 만들어 팔고 있기도 하다.


‘통일촌 농산물직판장·식당’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곳에서 식사하기로 했다. 메뉴는 꽤 여러 가지로 구성돼 있지만, 이날은 미리 메뉴가 결정되어 있었다. 고슬고슬하게 끓여낸 순두부와 구수한 청국장, 고소한 맛을 한층 더 끌어올린 비지찌개가 한 상에 올랐다. 콩 하나로 누릴 수 있는 다양한 맛을 동시에 즐길 수 있도록 해 두어서 먹는 내내 입이 즐거울 수 있었다. 보통은 순두부를 먹든 청국장을 먹든 밥 반 공기를 남겨서 비벼 먹는 편인데, 이날만큼은 뭘 넣어서 비벼야 할지 고민이 깊었다. 결국 선택은 순정한 콩의 맛을 오롯이 담은 순두부였다. 보들보들한 순두부에 밥을 비비니 콩의 단맛이 쌀과 어우러지며 한층 더 살아나는 듯했다.


JTG 0112-img-16.jpg


JTG 0112-img-17.jpg


JTG 0112-img-18.jpg


이렇게 콩으로 만든 음식이 비단 이곳에만 있는 건 아니다. 그러나 장단콩의 지역에서 먹는 장단콩 정식 한 상은 충분히 만족스러웠다. 식사를 마치고 나와 멀리 북의 인공기가 휘날리는 쪽을 물끄러미 바라봤다. 언제쯤 다시 저 땅의 사람들과 우리가 마음 놓고 왕래하는 시대가 돌아올까. 이 밥상을 나눠 먹을 수 있는 그날이 곧 오길 바라는 마음이 가득 부풀어 올랐다.


JTG 0112-img-19.jpg



JTG 0112-title.jpg


20세기 이후 가장 각광받는 작물이라면 콩을 빼놓을 수 없다. 생산량도 엄청나게 늘었고 찾는 이가 갈수록 많아진다. 세계 최고의 신데렐라 작물이라는 별칭이 붙은 이유다. 콩에 들어 있는 단백질은 농작물 중에서도 최고다. 비타민 B가 많고 A와 D도 풍부하다. 상대적으로 비타민 C는 거의 없지만, 콩나물로 키우면 성분 변화로 비타민 C도 확 늘어난다. 식이섬유, 무기질도 많아서 장수식품의 대표주자로 손꼽힌다.



© 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