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경력]
- KTX 매거진 기자
- 공감인베스터 팀장, 공감미디어홀딩스 기획팀장
- 2017 서울국제불교박람회 언론홍보 총괄 및 촬영팀장
- 월간 트래비·여행신문 객원기자
- 월간 불광 잡지팀 취재 및 편집기자
- 동방대학원대학교 전략기획실 연구원
- 법보신문 편집국 취재·편집기자

[기타 활동]
- 포항KBS ‘동해안 오늘’ 고정 패널 출연
- MBC ‘노중훈의 여행의 맛’ 패널 출연
- MBC ‘이 사람이 사는 세상’ 패널 출연
- KTX 매거진, 론리플래닛, 더트래블러, 웅진싱크빅북클럽 등 칼럼 기고
- 계간 문화공감, KOFIH 전담 객원 포토그래퍼
- 미붓아카데미 ‘21세기, 불교를 철학하다’ 진행 및 홍보

[수상 내역]
- 한국불교기자대상 ‘한국 불기 2550년 틀렸다’ 특별상 수상 (2006년)
- 제16회 불교언론문화상 대상 (법보신문 기획취재팀) 수상 (2009년)

[저서]
- 2016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 2018 『더 오래가게』

정태겸
정태겸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프로필 바로가기

화순 가을맞이 여행과 애호박찌개

 

JTG 0120-main.jpg



의도했던 건 아니었다. 일 때문에 내려간 화순에서 뜻하지 않게 가을의 절정을 맞이하게 됐다. 프로젝트의 성격상 화순의 곳곳을 돌아볼 기회이기도 했다.



CNN이 뽑은 절경, 세량제


화순에서 의뢰받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최대 세 군데의 여행지를 영상으로 담기로 했다. 리스트를 뽑아서 각각의 여행지를 조사해 보기로 했다. 그중에서 세량제는 빼놓을 수가 없었다. 2012년 미국의 뉴스채널 CNN이 ‘한국에서 가 봐야 할 50곳’ 중 하나로 선정했다는 게 구미를 당겼다. 사계절 모두 아름답다고 알려졌지만, 가장 잘 알려진 건 봄의 풍경이다. 이른 아침 물안개가 피어오르는 계절이기도 하고 물안개를 뚫고 떨어지는 햇빛과 호수에 비친 벚꽃이 무척 아름답다는 게 중론이다. 봄이 아니긴 하지만 가을 단풍도 멋질 것 같았다.


촬영을 바로 시작했다. 지체할 여유가 없었다. 주어진 시간은 이틀. 프로젝트 촬영과 여행지 촬영까지 병행해야 했다. 서둘러서 세량제로 차를 몰았다. 화순은 무등산을 사이에 두고 광주와 이웃해 있다. 무등산은 단풍으로도 이름이 높은 곳. 무등산 남쪽에 자리한 세량제를 향해 가는 길도 무등산에서 흘러내린 단풍으로 가득 채워져 있었다. 이미 도로변은 가을로 가득했다. 그야말로 가을의 복판이었다.


JTG 0120-img-01.jpg


세량제는 주차를 하고 도로 아래로 뚫린 터널을 지나서 들어가야 했다. 터널을 지나가기 전까지는 의구심을 자아내기만 한다. 이런 곳에 뭐가 있기나 할까, 싶은 생각이 가득 피어오른다. 하지만 터널 밖에서 펼쳐지는 모습은 또 다른 세상이다. 작은 다리를 지나면 제법 규모 있는 연지가 찾아온 이를 반긴다. 여기에는 ‘습지원’이라는 이름이 붙어 있다. 앉아서 쉴 만한 오두막도 있고, 한옥의 전각으로 지어둔 건물도 군데군데 놓였다. 전라남도를 여행할 때마다 느끼지만, 전라도는 한국의 멋을 진득하게 잘 이어가는 지역이 아닌가 싶다. 그런 면모를 이곳에서도 다시 확인한다.


JTG 0120-img-02.jpg


JTG 0120-img-03.jpg


길을 따라 올라가면 비로소 널찍한 저수지가 모습을 드러낸다. CNN이 극찬했다는 세량제다. 원래 세량제는 샘에서 솟아나는 물줄기였다. 이곳의 마을 이름이 세량리인데, 예부터 샘이 있던 마을이라고 해서 ‘새암골’이라고 불렀다. 새암골의 샘은 세량리를 따라 흘러서 화순을 가로질러 지석천으로 합류한다. 이 하천이 다시 영산강으로 합류해 바다로 나아가는 것이다. 세량리의 샘물은 어떤 때에도 마르는 일이 없었다. 그 덕에 마을 사람들이 농사를 짓는 데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고. 그러던 물줄기가 지금의 저수지로 모습을 바꾼 건 지금으로부터 54년 전인 1969년이다. 이 자리에 농업용 저수지를 완공하고 이름을 ‘세량지’로 정했다.


JTG 0120-img-04.jpg


자연이 선물하고 이를 모아서 사람의 손으로 완성한 저수지는 산자락의 아름다운 경관과 더불어서 절경을 이룬다. 맑은 수면은 숲의 모습을 반영하는 거울이 되고, 이 풍경이 사계절 내내 아름다운 자태를 자아내고 있다. 저수지 둘레로 데크를 깔아 가벼운 산책을 즐기기에도 좋고, 저수지의 둑 위에 가만히 앉아 잔잔한 수면을 바라보며 물멍을 하기에도 좋았다. 바라보는 동안 마음도 함께 잔잔해지는 느낌. 말 그대로 망중한을 즐기는 시간이다.


JTG 0120-img-05.jpg


JTG 0120-img-06.jpg



웅대한 자연의 위용, 적벽


다음 목적지를 향해 간다. 무등산을 곁에 끼고 이번에는 북쪽으로 향했다. 국도를 따라가는 길에 멀리 학교 운동장 안쪽에 커다란 나무가 보였다. 그냥 지나치면 아쉬울 것 같아 잠시 들러서 구경하고 가기로 했다. 한눈에 보기에도 범상치 않아 보였는데, 천연기념물 제235호로 지정돼 있었다. 이름은 ‘화순 야사리 느티나무’. 하나인 줄 알았더니 2주란다. 높이만 25미터, 둘레가 최대 5.3미터에 달한다. 추정키로 수령은 약 370~400년 정도. 곱게 단풍이 든 느티나무는 시선을 확 잡아끌 만했다. 원래는 마을의 당제를 지내는 당산나무였다고. 오랜 세월 살아왔음에도 아직 건재한 생명력이 경이로워 보였다.


JTG 0120-img-07.jpg


JTG 0120-img-08.jpg


잠시 느티나무를 만나고 다시 길을 나섰다. 해가 지기 전에 다녀와야 했기에 조금은 마음이 조급해졌다. 이번에는 화순이 자랑하는 경관, 적벽이다. 적벽이라는 이름은 원래 중국 양쯔강 상류에 자리한 명승지의 이름이다. 우리가 잘 아는 <삼국지>의 적벽대전에 나오는 그 적벽이다. 지금도 양쯔강 크루즈를 타면 적벽을 다녀올 수 있는데, 왜 이곳에 굳이 ‘적벽’이라는 이름을 붙였는지 충분히 이해가 가는 풍경이다. 깎아지른 절벽이 중국의 그것을 쏙 빼닮았다.


JTG 0120-img-09.jpg


적벽 아래로 흐르는 물길은 동복천의 상류인 창랑천이다. 약 7킬로미터에 걸쳐 크고 작은 수려한 절벽으로 예로부터 이름이 높았다고 한다. 물길을 따라 여러 절벽에 이름이 붙어 있는데,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이 장항 적벽, 창랑리에 있는 창랑 적벽, 물염정이 있는 물염 적벽이다. 중국의 것과 비교해 규모가 약간 작은 느낌이긴 하지만,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울 만큼 웅장한 모습이 압도적이다. 여러 절벽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게 장항 적벽이다. 물길이 돌아나가는 지형이 노루의 목을 닮았다고 해서 노루 장(獐) 자에 목 항(項) 자를 쓴다. 절벽의 크기가 제일 커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JTG 0120-img-10.jpg


원래 이곳은 자유롭게 드나들기 어려운 곳이다. 예전에는 이렇지 않았다. 오래전부터 여러 묵객의 발길을 이끌 만큼 명성이 자자했고, 지금보다도 절벽의 크기가 훨씬 컸지만 1984년 광주의 식수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동복댐이 만들어지면서 상수도보호구역으로 지정됐다. 일반인의 출입이 금지됐고, 30년 동안 이 안쪽의 적벽을 보기란 불가능한 일이었다. 그러던 중 광주와 화순이 협의해 2014년 10월부터 이곳을 일반에 부분 개방하기로 했다. 다만 수질을 보호하기 위해 시간을 정해놓고 버스투어로만 들어와 관람할 수 있도록 했다. 다행히 이번에는 촬영을 위해 특별히 허가를 받아 잠시 들어갈 수 있었다.


JTG 0120-img-11.jpg


출입이 엄격하게 통제되고 있는 곳인 만큼 인적이 드문 적벽의 절경은 과연 대단했다. 말을 잃게 하는 풍경이랄까. 울긋불긋하게 물든 적벽의 모습은 그 자체로 선경이라 부를 만했다. 김삿갓으로 알려진 김병연이 세 번이나 이곳을 찾았다는 이야기가 이해가 가는 그림이다. 머무를 수 있는 시간은 짧았지만, 감동하기에는 충분했다. 강변의 모래 위에 솟아오른 옛 모습을 온전하게 볼 수 없어 아쉽긴 하다. 그럼에도, 이번에 다녀온 화순 여행은 가을맞이 여행이자 우리에게 낯선 한반도의 보물을 만나는 순간이다. 가을이어서 좋은, 다시 만나기 어려운, 화순의 선물이란 이런 것이다.


JTG 0120-img-12.jpg



광주 일대에선 이것


화순은 광주와 바로 이웃하고 있지만 도회적인 느낌보다는 전원의 풍광을 많이 간직한 지역이다. 이 일대는 워낙 맛있는 것이 많아 고민일 정도로 먹거리가 풍부하다. 그만큼 풍요로운 땅이다. 간혹 광주나 화순에서는 뭘 먹는 게 좋겠냐고 묻는 사람이 있는데, 그럴 때마다 꼭 먹어보라고 권하는 게 있다. 애호박찌개다. 실제로 화순 일대를 돌아다니다 보면 쉽게 보게 되는 메뉴가 애호박찌개이기도 하다. 화순을 갈 때마다 한 번씩은 애호박찌개를 먹고 온 듯하다. 다만 이번에는 숙소가 광주와 화순의 경계에 있었기에 화순이 아닌 광주 쪽에서 그 음식을 찾았다. 양림동에 자리한 한옥식당. 고깃집으로 잘 알려졌지만, 애호박찌개도 일품이었던 기억이 있다.


JTG 0120-img-13.jpg


가을은 애호박의 맛을 즐길 수 있는 마지막 시기이기도 하다. 여름철 뙤약볕에서도 잘 자라는 품종이고 가격도 저렴해서 전라도 일대에서는 즐겨 먹는 채소다. 애호박찌개라는 음식은 그리 대단한 음식은 아니다. 애호박이라는 것이 원래 소박한 이미지이기도 하지만, 이것을 넣어서 끓인 찌개도 소박하기 그지없다. 겉으로만 봤을 때는 고추장찌개와 많이 닮았다. 이것의 이름을 알려주지 않는다면, 서울 사람은 아마도 영락없이 고추장찌개라고 부를 법하다. 숟가락으로 휘휘 저어보았다. 숭덩숭덩 썰어 넣은 애호박에 돼지고기가 생각보다 듬뿍 들어 있다. 국물은 생각보다 맵지 않고 순하다. 겉보기에 투박해도 속은 순한 전라도 사람의 성정을 닮았다. 순해서 술술 들어간다. ‘맛깔나다.’라는 표현은 이럴 때 쓰라고 있는 것일 테다.


JTG 0120-img-14.jpg


잘한다는 단어는 뛰어나다는 뜻을 함의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좋고 나쁜 것의 평균치가 높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전라도의 음식이 누구에게나 “맛있다.”라는 평을 듣는 건 그래서일 거다. 한 끼 식사여도 만족감이 높다. 특별한 음식이 아니어도 충분하다. 언제 찾아도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 전라도의 애호박찌개. 다음에 이 땅을 다시 찾을 때도 애호박찌개를 제일 먼저 떠올릴 게 분명하다.



JTG 0120-title.jpg


저렴하고 맛있는데 영양가도 풍부한 채소를 꼽으라면 빼놓을 수 없는 게 애호박이다. 수분이 많아 씹기에 좋고, 섬유질이 풍부해서 소화기 건강에 좋은 음식이기도 하다. 섬유질이 많으면 인슐린 민감성을 끌어 올린다. 이는 혈당 수치를 안정시켜서 제2형 당뇨병의 위험을 줄여준다. 항산화 성분이 다양하게 함유되어 있다는 것도 빼놓을 수 없는 애호박의 덕목이다. 심장 건강에 좋은 칼륨, 카로티노이드 (carotenoid) 등이 많아 혈압을 내리고 콜레스테롤과 심장병 등의 위험 요소를 줄여주기도 한다. 애호박에 많은 망간, 루테인, 제아잔틴, 비타민 A와 C는 시력 향상에도 도움을 주고 뼈 건강에도 효과가 있다.



© 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