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세계화 노트

올해, 38년간의 교수 생활을 마무리했습니다. 85년 대전대학교에서 시작하여 88년 모교 경희대학교에 돌아왔고, 2014년에는 단국대학교로 옮겼습니다. 그 사이에 대만 2회, 중국 1회, 미국 3회에 걸쳐 모두 6차례 교환 교수 활동을 하였고, WHO에서 5년,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3년을 대학 밖에서 지냈습니다.

한의학의 세계화라는 비전 아래, 제가 한의학 역사의 한 페이지를 주도했던 경험이 저에게는 큰 영광이자 보람으로 남습니다. 특히 5년간의 WHO 활동이 저에게는 커다란 축복이었습니다. 그때 저는 한의학을 위해서 남들이 모두 불가능하다고 했던 그러나 해내야만 했던 과업들을 완수하였습니다. 반대와 방해가 엄청났었지만 그 난관들을 극복하면서 한의학의 큰 물줄기를 이끌었습니다. 후에 ICD-11 26장으로 진화한 전통의학 국제 표준 용어의 제정, 수백 년 이상 각 나라마다 달리 썼던 침구 경혈 위치의 통일과 국제 표준 제정, 일본의 극심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CPG 가이드라인의 개발 등이 그것들입니다. 국내에서는 그다지 알려지지 않았지만, 이러한 내용들은 Nature와 같은 저널이나 논문에 소개되었고 전 세계의 교과서들이 다 바뀌었습니다.

이러한 성과들은 지금도 계속 진행 중입니다. 이제는 후학들이 이어 가기를 기대합니다.
[학력]
1981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1987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 박사학위 수여
1989 고려대학교 대학원 철학 석사과정 수료

[경력]
2021-현재 단국대학교 석좌교수
2020-현재 국제동양의학회 (ISOM) 회장
2020-현재 미국 Emory의대 겸임교수
2008-현재 대만 중국의약대학 객좌교수
2014-2016 단국대학교 부총장
2003-2008 WHO 서태평양지역 전통의학 자문관
2011-2014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
2008-2011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학장
2018-2019 한약진흥재단 이사장
2009-2011 세계전통의학대학협의회 (GUNTM) 창립인·회장

[상훈]
2014.10 세계 표준의 날 ‘勤政褒章’ 수상
2015.12 경희한의대 동문회 ‘자랑스러운 慶熙韓醫人賞’ 수상
2022.02. ‘綠條勤政勳章’ 수상

[저서]
Koonja Press, Pajoo, 2021
<韓醫學原論> 군자출판사, 파주, 2020
<內經病理學> 통나무, 서울, 1993, 1995(2판), 1999(3판), 2001(중국어판, 중의고적, 북경)
외 10권 및 180여 편의 논문

최승훈
최승훈

한의학 세계화의 아이콘. 대전대, 경희대, 단국대에서 38년간 교수로 재직, 대만 중국의약대학과 국가과학위원회, 중국 국가중의약관리국, Stanford 의대, Emory 의대 교환교수, WHO/WPRO 전통의학 책임자,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 한약진흥재단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국제동양의학회 회장, Emory 의대 겸임교수와 중국의약대학 객좌교수로 Boston에 살고 있다.

프로필 바로가기

#10. WHO 이야기

 

CSH 0010-main.jpg



한의학의 세계화 ‘Health for All’


나의 오랜 꿈 ‘한의학의 세계화’는 ‘Health for All’을 목표로 하는 WHO와 만나 꽃을 피웠다.


2003년 8월부터 5년간 세계보건기구 서태평양 지역 사무처 (World Health Organization/Western Pacific Regional Office, WHO/WPRO)에서 전통의학 자문관 (Regional Adviser)으로 근무했었다.


CSH 0010-img-01.jpg


5년이 결코 긴 시간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그때 WHO/WPRO에서는 세계 전통의학 발전을 위한 역사적인 과업들이 이루어졌다. 당시 개발된 전통의학 국제 표준 용어 (international standard terminology)는 계속 진화하여 ICD-11의 전통의학 챕터가 됨으로써 전통의학으로는 유일하게 한의학이 전 세계 보편의학의 반열에 진입하였으며, 수백 년 넘게 나라마다 달랐던 침구 경혈 위치 (acupuncture point locations)를 통일하여 전 세계 침구학 교과서가 전면적으로 개정되었고, 전통의학 임상진료지침 (Clinical Practice Guideline, CPG)이 중국, 한국, 일본에서 활발하게 개발되면서 전통의학의 임상 수준을 상향 표준화하고 있다. 수천수만 편의 SCI 논문으로도 가능하지 않은 한의학의 퀀텀 점프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발전상은 아유르베다 (Ayurveda)나 유나니 (Unani) 등 다른 전통의학계에도 영향을 미쳐 그들도 우리 전통의학과 같은 트랙을 시동하고 있다.


스탠퍼드 의대에서 돌아오고 나서 이듬해인 2003년 5월 초, WHO 전통의학 협력센터인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박동석 소장님과 서울대학교 천연물과학연구소 장일무 소장님으로부터 거의 동시에 WHO에 관련된 전화 연락을 받았다.


그 해 WHO의 세계보건총회 (World Health Assembly, WHA)에 참석했던 김화중(金花中) 보건복지부 장관이 공석 중이던 WHO/WPRO의 전통의학 자문관 자리를 한국 측에 배려해 달라는 요청을 오미 시게루(尾身茂) WHO/WPRO 사무처장에게 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그 적임자로 내가 중복으로 추천되었다.


6월 말, 서울대에 위치한 국제백신연구소 (International Vaccine Institute, IVI) 이사회에 참석하러 온 오미 사무처장과의 인터뷰가 이루어졌고, 그로부터 한 달 후 WHO로부터 임용 통보가 왔으며, 또 그로부터 한 달 후인 8월 25일 근무지인 마닐라로 향했다.


1989년 대만 중국의약대학(中國醫藥大學), 1990년 대만 국가과학위원회(國家科學委員會), 1993년 중국 국가중의약관리국(國家中醫藥管理局), 2001년 스탠퍼드 의대 등 네 차례에 걸친 국제 근무 경험이 있었지만, 정작 WHO에 관한 경험, 정보나 지식이 나에게는 전무하였고, 주변에 그에 관해 도움말을 줄 수 있는 사람도 전혀 없었다. 그러다 보니 평소 WHO에 근무하겠다는 희망을 품은 적도 없었고, 그래서 나와는 전혀 무관한 국제기구일 뿐이었다. 그러나 의미 있는 조직과 선생님들이 나를 지목해서 가야 한다고 하니 그저 별다른 고민하지 않고 WHO에 가기로 하였다.


CSH 0010-img-02.jpg

필리핀의 수도 마닐라에 1951년부터 자리 잡은 세계보건기구 서태평양 지역 사무처 (WHO/WPRO)


마닐라 도착 당일, WHO/WPRO 사무실로 나가 근무를 시작하였다. 우선 가장 시급한 과제는 앞으로 내가 WHO에서 할 일이 무엇인가를 정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비서인 Ms. Laila Bunoan에게 당시까지 전통의학 부서에서 진행했던 회의와 사업 등 모든 업무에 관한 기록물을 부탁하였다. 약 2주에 걸쳐 그 문서를 정밀하게 검토하여 작성한 노트를 바탕으로 마침 마닐라 사무처에 연례 Regional Committee Meeting 참석하러 온 전임자 첸켄(陳懇) 박사이자 당시 WHO 남태평양 대표와 단둘이서 두 시간여에 걸쳐 면담하였다.


그 면담 내용을 바탕으로 사무처와의 협의를 거쳐 향후 전통의학 부서의 주요 업무 방향을 ‘전통의학의 표준화’로 설정하였다. 개인적으로 대만, 중국, 미국 등지에서 겪었던 전통의학의 상황과 미래 방향, 그리고 KHU-PIPE와 OMS-Prime 등 한의학의 임상결정지원시스템 (CDSS)을 개발했던 경험이 핵심적으로 작용하였다.


전통의학은 표준화(標準化)가 되어야 그 객관성이 확보되고 보편화(普遍化)를 거쳐 세계화(世界化)가 가능하며, 궁극적으로 WHO의 목표인 ‘Health for All’을 이룰 수 있다.


CSH 0010-img-03.jpg


이렇게 WHO/WPRO 전통의학 분야의 “Standardization with Evidence-based Approaches”는 5년간 32차례 회의를 통해 추진되었다. 1980년대에 근무했던 일본의 쯔다니 기이치로(津谷喜一郞) 교수가 6년간 3차례, 후임인 중국의 첸켄 박사가 13년간 8차례 회의를 주관한 것과는 비교할 수 없는 성과였다. WHO에서 각 분야 책임자의 역량은 그가 주관했던 회의 숫자로 정량 평가되기도 한다. 당시 사무처에서는 모두 나를 미쳤다고도 했었다.


물론 전통의학에 관련된 정책, 교육, 연구에 관한 회의도 간간이 주관하였지만, 대부분의 회의는 전통의학 표준 용어, 침구 경혈 위치와 임상진료지침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WHO 전통의학 국제 표준 용어

(WHO International Standard Terminologies on Traditional Medicine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


모든 표준화 작업은 표준 용어의 개발로부터 시작된다.


제1차 회의가 2004년 10월 20~21일 WHO 전통의학 협력센터인 베이징의 중국중의과학원에서 열렸다. 이 회의에서는 표준 용어 개발을 위해 기존의 참고문헌을 선정하였는데, 당시 중국에서 중의학 표준 용어 개발의 대표 학자인 북경의과대학의 셰주판(謝竹藩) 교수의 문건을 우선으로 참고할 것을 결정하였다. 동시에 차기 회의 진행을 위해서 한·중·일 대표에게 각국이 희망하는 전통의학 표준 용어를 미리 준비하여 제안토록 요청하였다.


CSH 0010-img-04.jpg

WHO 전통의학 국제 표준용어 제1차 회의 2004. 10. 20. ~ 21.

한·중·일 세 나라의 전문가들이 참석하였으며, 의장은 서울대 의대 지제근 교수님이 맡으셨다.


제2차 회의는 2005년 6월 27~29일 WHO 전통의학 협력센터인 도쿄의 기타사토(北里)연구소에서 열렸다. 북경 회의에서 요청했던 세 나라의 표준 용어 후보를 놓고 두 나라 이상이 동의하면 일단 국제 표준 용어로 채택하였다. 그 결과, 잠정적으로 3,116개에 해당하는 표준 용어가 채택되었는데, 한국에서 제시했던 사상체질의학 용어 등이 포함되었다. 동시에 영어 번역에 관해서는 직역과 의역 사이에서 팽팽한 의견 대립이 있었다.


CSH 0010-img-05.jpg

WHO 전통의학 국제 표준용어 제2차 회의 2005. 6. 27.~29.


제3차 회의는 2005년 10월 18~20일 대구에서 열렸다. 국제 전통의학 표준 용어에 관한 마지막 회의이기 때문에 작업해야 할 양이 엄청나게 많았다. 회의가 진행된 사흘간 심범상 교수 등 초청 전문가뿐만 아니라 옵서버로 참석한 백유상, 임형호, 송호섭, 한창호 교수와 대구한의대에서 지원한 보조 인력 등도 매일 자정이 넘어서까지 작업에 참여함으로써 감히 엄두가 나지 않던 방대한 작업을 원만하게 마무리할 수 있었다. 당시 함께 힘을 모아준 전국 한의대의 젊은 교수님들께 감사드린다. 영어 번역을 위해서는 기초이론 분야의 경우 Nigel Wiseman 교수의 의역(意譯)을 위주로, 임상의학 분야에서는 셰주판 교수의 직역(直譯)을 위주로 하였다.


CSH 0010-img-06.jpg

WHO 전통의학 국제 표준용어 제3차 회의 2005. 10. 18.~20.

회의에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신 대구한의대 황병태 총장님과 세 차례 계속 의장을 맡으신 서울대 의대 지제근 교수님, 보건복지부 유영학 한방정책관, 대한한의사협회 엄종의 회장, 그리고 한국, 중국, 일본, 싱가포르 호주의 전문가들이 참석하였다.


회의를 마친 다음 날인 21일에는 제13회 국제동양의학학술대회 (ICOM)에서 WHO를 대표하여 기조연설을 하였다. 국제동양의학회 (ISOM) 출범 3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이기도 하다.


세 차례 회의를 통해 채택된 국제 전통의학 표준 용어의 초안을 마련하여 전 세계 영어권 전문가들에게 회람하여 검토받는 과정을 세 차례 반복 진행함으로써 완벽함을 도모하였다.


CSH 0010-img-07.jpg


초안이 국제적으로 회람 검토되고 있던 2006년 6월 초, 일본 측이 갑자기 WHO 국제 표준 용어 프로젝트로부터의 불참을 선언하고 나섰다. 그 이유는 전통의학 국제 표준 용어의 대부분이 중의학(中醫學) 용어로 되어 있어서 일단 제정되고 나면 일본도 그에 따를 수밖에 없기 때문에 더 이상 참여하지 않겠다고 한다. 마무리 단계에서 일본동양의학회(日本東洋醫學會)의 보수 성향 원로들이 강력하게 반대하면서 WHO 회의에 대표로 참석했던 전문가들을 비판하고 책임자였던 도리이츠까 가쓰오(鳥居塚 和生) 쇼와대학 교수를 제명하는 등 강경한 조치를 취하고 나섰다.


2006년 8월 8일, 나는 도쿄의 일본동양의학회를 방문하여 일본 측 대표 16명과 전문 통역사를 배석시킨 채 4시 반부터 11시 반까지 일대 담판을 벌였다. 회의 시작부터 그들의 강경하고 거친 입장은 통역사의 곤혹스러운 표정을 통해 잘 알 수 있었다. 두세 시간 정도 그들의 발언을 조용히 모두 듣고 난 다음, 나는 “여러분들의 우려에 전적으로 공감한다. 그에 반대하지 않는다. 그러나 고양이를 피하려다 호랑이를 만나게 될 상황이 올 것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수년 전부터 중국에서는 세계중의약학회연합회(世界中醫藥學會聯合會, WFCMS)가 국제 전통의학 표준 용어를 개발하고 있으며, 우리들과 경쟁하는 중이다. 만약 지금 일본이 발을 빼면 WHO 국제 전통의학 표준 용어는 좌초하고 중국 측이 만든 국제 표준 용어만 남는다. 그러한 미래의 참담한 상황을 당신들은 수용할 수 있겠는가?”라고 못을 박았다. 잠시 휴회를 한 다음, 일본 측이 “좋다. WHO의 입장을 수용하겠다.”고 함으로써 큰 고비를 넘었다.


CSH 0010-img-08.jpg

WHO 국제 전통의학 표준 용어 사업의 최대 위기이자 승부처였던 2006년 8월 8일, 일본동양의학회 이시노 회장을 비롯한 임원 16명과 일대 담판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밤 11시 반에 같이 사진을 찍었다. 나는 이를 도쿄대첩으로 기억하고 있다. 모두의 승리였다.


한편 중국에서는 WHO 작업에 계속 참가하면서도 그들 나름의 국제 표준 용어를 만들고 있었다. 실제로 그 작업은 WHO보다도 더 먼저 시작했었다. 그러나 국제적으로 우리 지역의 전통의학 표준 용어가 양립할 수는 없었다. 그래서 서로 신경을 곤두세우는 가운데, 양 조직 대표 사이의 간담회가 2007년 6월 13일 베이징의 WFCMS 사무처에서 열렸다.


회의에서는 두 표준 용어 작업을 어떻게 정리할 것인가라는 문제가 초미의 관심사였다. 회의 중간쯤에 내가 “양측에서 어느 쪽이든지 먼저 개발한 것을 표준으로 받아들이자”고 제안하였고 그들도 동의하였다. 그러자 마침 약속이나 한 듯이, 마닐라의 비서로부터 “조금 전 사무처에서 WHO 국제 전통의학 표준 용어의 출판에 대한 허가가 났다”는 국제 전화가 왔고 나는 바로 그 전화를 그들에게 전달하였다. 그럼으로써 수년에 걸친 WFCMS와의 숨 가쁜 경쟁은 WHO의 승리로 귀결되었다.


CSH 0010-img-09.jpg

2007년 6월 13일, 베이징의 세계중의약학회연합회 (WFCMS) 사무실에서 WHO-WFCMS 양자 간 연석회의가 열렸다. 나의 건너편에 중국 국가중의약관리국 국장과 부국장을 역임했던 셔징(佘靖) 주석과 리전지(李振吉) 부주석이 마주하고 있다. 왼편 끝에는 WFCMS 표준 용어 실무책임자인 왕궤이(王奎) 교수가 자리하고 있다. 이 회의를 마치면서 WFCMS와의 오랜 경쟁이 WHO의 승리로 마무리되었다.


사무처에서의 마무리 편집 작업을 거쳐, 2007년 8월 15일, 드디어 “WHO International Standard Terminologies on Traditional Medicine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이 출판되었다. 그리고 그해 10월 5일 서울, 10월 16일 베이징, 11월 30일 호주 Melbourne의 RMIT 대학, 12월 16일 도쿄에서 출판기념회가 열렸다. 그러나 책자의 중국어 표기가 간체자가 아닌 번체자로 되어 있어 중국 정부는 노골적으로 불만을 표시하기도 하였다. 아무튼 이 책자는 그 후로 제네바와 마닐라에서 WHO 출판물 가운데 오랫동안 베스트셀러 자리를 차지하였다.


CSH 0010-img-10.jpg

2007년 8월 15일 출판된 이래 많은 사람이 “Green Book”이라고 기억하고 있다. 이 책은 pdf 형태로 무료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CSH 0010-img-11.jpg

2007년 10월 5일 서울에서 WHO-IST 출판기념회가 열렸다. 문창진 보건복지부 차관, 류기덕 대한한의사협회 회장, 서관석 한의협 명예회장, 지제근 서울대 의대 교수님, 이형주 한국한의학연구원장 등이 자리를 같이하였다.


CSH 0010-img-12.jpg

2007년 10월 16일, 베이징의 중국중의과학원에서 WHO-IST 출판기념회가 열렸다. 차오홍신(曹洪欣) 중국중의과학원장, 장치(張奇) 국가중의약관리국 외사사장 (후에 WHO 본부 전통의학 책임자로 근무함), 셰주판(謝竹藩) 북경의대 교수님 등이 참석하였다. 이 행사를 중국에서는 대대적으로 보도하였고, 2007년 중의계 10대 뉴스로 선정되었다.


CSH 0010-img-13.jpg

2007년 11월 30일 호주 Melbourne의 RMIT 대학에서 WHO-IST 출판기념회가 열렸다. 가운데에서 책을 들고 있는 David Graham 박사는 약학 전문가로, 당시 호주의 TGA (Therapeutic Goods Administration)의 national manager이며, 2009년부터 2018년까지 ISO/TC249 의장을 맡아 중의학이 ISO에서 초기부터 입지를 다지는 데 기여한 친중 인사이다.


CSH 0010-img-14.jpg

2007년 12월 16일 도쿄에서 WHO-IST 출판 축하회가 JLOM (Japan Liaison of Oriental Medicine, 일본 동양의학계의 WHO 파트너) 주최로 열렸다. 한때 최대 위기로 몰아갔던 일본 측이었지만, 마무리는 언론 발표회까지 겸하여 성대하게 축하해 주었다.


더욱 중요한 것은 이 내용이 계속 진화하면서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Traditional Medicine (ICTM)을 거쳐 2019년 정식 출범한 ICD-11의 26장으로 자리 잡았다. 이는 우리 전통의학이 전 세계 보편의학의 반열에 진입하였음을 의미한다. 2천 년 한의학 역사의 쾌거이다. 이 내용은 2018년 9월 27일 자 Nature에 소개되기도 하였다.


CSH 0010-img-15.jpg

2019년 ICD-11이 정식으로 출범하면서 전 세계 의료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던 전통의학 챕터에 관해 다루고 있다. David Cyranoski는 ‘Nature’의 이 글을 나의 이름으로 시작하고 있다. 2018년 Nature 10대 토픽으로 뽑히기도 했다.



© 최승훈 교수의 나의 세계화 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