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세계화 노트

올해, 38년간의 교수 생활을 마무리했습니다. 85년 대전대학교에서 시작하여 88년 모교 경희대학교에 돌아왔고, 2014년에는 단국대학교로 옮겼습니다. 그 사이에 대만 2회, 중국 1회, 미국 3회에 걸쳐 모두 6차례 교환 교수 활동을 하였고, WHO에서 5년,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3년을 대학 밖에서 지냈습니다.

한의학의 세계화라는 비전 아래, 제가 한의학 역사의 한 페이지를 주도했던 경험이 저에게는 큰 영광이자 보람으로 남습니다. 특히 5년간의 WHO 활동이 저에게는 커다란 축복이었습니다. 그때 저는 한의학을 위해서 남들이 모두 불가능하다고 했던 그러나 해내야만 했던 과업들을 완수하였습니다. 반대와 방해가 엄청났었지만 그 난관들을 극복하면서 한의학의 큰 물줄기를 이끌었습니다. 후에 ICD-11 26장으로 진화한 전통의학 국제 표준 용어의 제정, 수백 년 이상 각 나라마다 달리 썼던 침구 경혈 위치의 통일과 국제 표준 제정, 일본의 극심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CPG 가이드라인의 개발 등이 그것들입니다. 국내에서는 그다지 알려지지 않았지만, 이러한 내용들은 Nature와 같은 저널이나 논문에 소개되었고 전 세계의 교과서들이 다 바뀌었습니다.

이러한 성과들은 지금도 계속 진행 중입니다. 이제는 후학들이 이어 가기를 기대합니다.
[학력]
1981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1987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 박사학위 수여
1989 고려대학교 대학원 철학 석사과정 수료

[경력]
2021-현재 단국대학교 석좌교수
2020-현재 국제동양의학회 (ISOM) 회장
2020-현재 미국 Emory의대 겸임교수
2008-현재 대만 중국의약대학 객좌교수
2014-2016 단국대학교 부총장
2003-2008 WHO 서태평양지역 전통의학 자문관
2011-2014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
2008-2011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학장
2018-2019 한약진흥재단 이사장
2009-2011 세계전통의학대학협의회 (GUNTM) 창립인·회장

[상훈]
2014.10 세계 표준의 날 ‘勤政褒章’ 수상
2015.12 경희한의대 동문회 ‘자랑스러운 慶熙韓醫人賞’ 수상
2022.02. ‘綠條勤政勳章’ 수상

[저서]
Koonja Press, Pajoo, 2021
<韓醫學原論> 군자출판사, 파주, 2020
<內經病理學> 통나무, 서울, 1993, 1995(2판), 1999(3판), 2001(중국어판, 중의고적, 북경)
외 10권 및 180여 편의 논문

최승훈
최승훈

한의학 세계화의 아이콘. 대전대, 경희대, 단국대에서 38년간 교수로 재직, 대만 중국의약대학과 국가과학위원회, 중국 국가중의약관리국, Stanford 의대, Emory 의대 교환교수, WHO/WPRO 전통의학 책임자,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 한약진흥재단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국제동양의학회 회장, Emory 의대 겸임교수와 중국의약대학 객좌교수로 Boston에 살고 있다.

프로필 바로가기

#11. WHO 침구 표준경혈 위치 이야기

 

CSH 0011-main.jpg



WHO 침구 표준경혈 위치

(WHO Standard Acupuncture Point Locations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


2003년 8월 말, 마닐라로 부임하고 나서 나의 본격적인 회의 주관은 약 두 달 후에 이루어졌다. 침구 경혈학 전공이 아닌 나는 모르고 있었지만, 당시 국제 침구학계에서는 침구 경혈 위치에 대한 이슈가 서서히 불붙고 있었다. 즉, 동일한 경혈명에 나라마다 서로 다른 위치를 잡고 있었다. 이는 국제적으로 침구 관련 학술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각국 전문가들 사이에 알려지게 되었다. 나라마다 경혈 위치가 서로 다르다면 교육 연구 임상 등 침구학 전 분야에 걸쳐 심각한 불신과 불안에 빠지게 되고, 대외적으로도 침구(鍼灸)에 대한 신뢰도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무슨 경혈이 얼마나 어떻게 다른 지에 대해서는 막연하였고, 다만 어떻게 해서든지 경혈 위치를 통일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분명해졌다. 자연스럽게 이 난제는 WHO만이 해결할 수 있다는 공감대가 국제 침구학계에서 형성되고 있었다.


제1차 WHO 침구 표준경혈 위치 제정을 위한 전문가 회의가 2003년 10월 31일과 11월 1일 양일간 마닐라의 WHO/WPRO에서 열렸다. 회의에는 WHO 회원국 가운데 세계적으로 침구학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이 크다고 할 수 있는 한·중·일 세 나라의 전문가 각 2명씩 모두 6명이 초청되었다. 내가 호스트 역할을 하고 보조역으로 전임자인 첸켄 박사가 참석하였고, 뒤늦게 일본 도쿄의대의 쯔다니 교수가 옵서버 자격으로 합류하였다. 3명의 전통의학 전현임(前現任) 자문관이 한 회의에 동시 참석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첸켄 박사는 사석에서 나에게 “왜 쯔다니 교수가 참석했느냐?”라고 하면서 노골적으로 불만을 표시하였다.


이틀에 걸친 회의는 시작부터 삼국 간의 초긴장 상태에서 이루어졌다. 국제 표준을 만들자면 어느 나라든지 필연적으로 자신들의 전통과 표준을 양보해야 할 수 있기 때문에 신경이 곤두서게 마련이다. 그러다 보니 차기 회의 개최지를 놓고도 일본과 중국 사이에 한 시간 이상 신경전이 벌어지는 등 분위기는 매우 살벌하였다. 결국 나의 제안으로 차기 회의부터는 개최국이 회의 비용을 모두 부담하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회의 비용 전액을 부담해야 하는 WHO로서는 오히려 재정적으로 의외의 성과를 올린 셈이 되었다.


CSH 0011-img-01.jpg

제1차 WHO 침구 표준경혈 위치 제정을 위한 전문가 회의 2003. 10. 31.~11. 01.

중국에서는 왕쉐타이(王雪台), 황롱샹(黃龍祥) 교수, 일본에서는 구로수 유끼오(黑須幸男), 야노 다다시(矢野忠) 교수, 한국에서는 강성길, 김용석 교수가 대표로 참석하였다. 모두 웃고 있지만, 웃는 게 아니었다. 한·중·일 삼국이 팽팽한 긴장을 이루었다.


제2차 회의는 2004년 3월 17~18일 양일간 중국 측의 초청으로 베이징의 중국중의과학원에서 열렸다. 이번 회의에서는 차기 회의부터 침구 경혈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원칙과 방법론을 고안하여 채택하였다. 이는 매우 중요한 결정이었다.


CSH 0011-img-02.jpg

제2차 WHO 침구 표준경혈 위치 제정을 위한 전문가 회의 2004. 3. 17.~18.

제2차 베이징 회의에서는 각국의 참석자 수를 배로 늘렸다. 한국과 중국은 기존의 전문가에 추가하는 방식이었으나, 일본의 경우에는 영어 소통이 안 되는 원로 전문가 대신 젊고 적극적인 전문가들로 전원 대체되었다.


제3차 회의는 2004년 10월 12~14일 일본 측의 초청으로 교토의 메이지국제의료대학(明治國際醫療大學)에서 사흘간 열렸다. 이 회의에서는 세 나라의 교과서를 서로 비교하여 361개 가운데 92개 혈(穴)의 위치가 나라마다 서로 다르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예상보다 많은 숫자에 모두 놀랐다. 그중에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합곡(合谷)이나 족삼리(足三里)도 포함되어 있었다. 지난번 베이징 회의에서 채택했던 원칙과 방법에 따라 경혈(經穴)에 대해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하였다. 이 회의부터는 일본의 아사히신문이나 한국의 조선일보, 중앙일보에서 보도하였다.


CSH 0011-img-03.jpg

제3차 WHO 침구 표준경혈 위치 제정을 위한 전문가 회의 2004. 10. 12.~14.


제4차 회의는 2005년 4월 25~27일 대전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열렸다. 대부분의 회의 일정이 서로 다른 경혈 위치를 통일하는 것으로 집중되었고, 어떤 혈은 합의안을 도출하는 데에 한나절이 걸리기도 하였다. 그래도 하나씩 통일을 해 나가면서 마음속으로는 안도와 보람이 충만해졌다. 회의 도중에 KBS TV에서 취재를 나왔는데, 기자가 “여태까지 나라마다 이렇게 서로 다른 경혈 위치를 사용해 왔다면 큰 문제 아닙니까?” 하고 묻는다. 나는 “큰 문제는 아니고요. 말하자면 100점이냐 0점이냐의 문제가 아니라, 100점이냐 90점이냐의 문제였고 앞으로 모두 100점을 만들기 위한 노력입니다. 그렇게 가야 하지 않겠습니까?”라고 답하였다.


CSH 0011-img-04.jpg

제4차 WHO 침구 표준경혈 위치 제정을 위한 전문가 회의 2005. 4. 25.~27.


제5차 회의는 2005년 9월 27~29일 일본 오사카의 간사이침구대학(關西鍼灸大學)에서 열렸다. 같은 방식으로 통일 작업이 계속되었다. 도중에 중국 측이 이전 회의에서 합의되었던 20여 혈위(穴位)에 대해 재논의를 하자고 요청하였다. 지난번 회의 결과를 가지고 귀국했다가 중국 내 침구학계로부터 신랄한 비판을 받았다고 한다. 한국과 일본 측에서는 난색을 표명하였지만, 나는 중국 측의 요청을 수용하기로 하고 그 혈위에 대해 재논의를 진행했다. 주관하는 입장에서 억지로 밀어붙이거나 서두르는 듯한 인상을 주게 되면 자칫 앞으로 수행해야 할 전체 과정과 목표에 도달하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지나간 시간과 노력이 무척 아깝지만 앞을 위해 감수해야만 했다. 모두가 조금씩 덜 행복해지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지만, 어느 한 나라가 불만을 느끼게 되면 더 이상의 진행이 어려워진다. 각국은 서로 자기들의 입장만을 고집할 수밖에 없지만 나는 모두를 안고 가야 했었다.


CSH 0011-img-05.jpg

제5차 WHO 침구 표준경혈 위치 제정을 위한 전문가 회의 2005. 9. 27.~29.

계속하여 일본에서 회의가 개최되고 있다. 일본 측이 재정적으로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그리고 이미 각국 전문가들 사이에는 어느 정도 상호 신뢰가 쌓여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6차 회의는 2006년 3월 13~15일 일본의 도쿄의대에서 열렸다. 회의 개회식에 일본 후생노동성 차관도 참석할 정도로 일본에서는 많은 관심이 있었다. 의사들의 조직인 일본동양의학회는 일본침구사협회의 이와 같은 성공적인 활동에 대해 국내적으로는 그다지 반기지 않으면서도 국제적으로는 철저히 자국 보호의 두 가지 얼굴을 가지고 있었다.


CSH 0011-img-06.jpg

제6차 WHO 침구 표준경혈 위치 제정을 위한 전문가 회의 2006. 3. 13.~15.

일본 정부는 일본침구사협회가 참여하고 있는 WHO 침구 경혈 위치 제정 작업에 적극적인 지지를 하고 있다. 앞줄 가운데는 나카노 기요시(中野 清) 일본 후생노동성 차관이다.


마지막 회의는 2006년 10월 31일부터 11월 2일까지 일본의 쓰쿠바에서 사흘간 열렸다. 제6차 도쿄 회의까지 서로 다른 92개 가운데 86개 혈위가 통일되었다. 최종 마무리를 위하여 기존의 3개국을 포함하여 미국, 베트남, 영국, 호주 등 10개국 전문가와 WFAS 대표도 초청하였다. 회의를 시작하면서 내가 3국 사이에 합의가 안 되는 6개 혈위에 대해서 전체 참석 전문가들의 투표를 통해 잠정적인 표준을 만들자고 제안하였다. 이에 모두 동의하여 참석자 전원의 투표를 통해 한·중·일 각국은 희한하게 약속이나 한 듯 각각 4표를 얻는 전과를 올렸다. 세 나라가 모두 동등한 결과를 얻음으로써 원만하게 마무리되었다. 비록 투표로 결정하기는 하였지만, 그 6개 혈위에 대해서는 향후 국제적인 임상연구를 통해 확정하기로 하였다.


이로써 수백 년 넘게 나라마다 달리 사용해 왔던 경혈 위치의 국제 표준이 만들어졌다. 처음에는 모두 불가능하리라 생각했지만, 모두에게 절실했던 목표를 앞에 놓고 상호 간에 신뢰를 쌓아 가면서 마음을 모은 것이 이처럼 새 역사를 만들었다.


CSH 0011-img-07.jpg

제7차 WHO 침구 표준경혈 위치 제정을 위한 전문가 회의 2006. 10. 31.~11. 2.

마지막 WHO 침구 표준경혈 위치 회의가 2006년 10월 31일부터 11월 2일까지 일본의 쓰쿠바 국제회의장 (Tsukuba International Conference Center)에서 열렸다. 10개국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마지막 남은 6개 혈위를 선정함으로써 침구 경혈 위치 세계 표준을 만들었다.


2008년 5월 16일 “WHO Standard Acupuncture Point Locations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이 드디어 출판되었다. 이로 인해 전 세계 침구학 교과서의 경혈 위치가 통일되었고, 경혈도(經穴圖)와 동인(銅人)도 그에 따라 새로 제작된다. 이는 침구계의 교육, 연구, 임상 분야를 위해 확고하고도 분명한 기초를 제공한 역사적 쾌거이다.


출판 1주일 후, 호주 시드니에서 출판기념회가 열렸고, 그다음 일주일 후, 일본 교토에서 출판기념회가 열렸다. 이어 6월 19일 서울에서도 출판기념회가 열렸는데, 뜻하지 않은 불상사가 터졌다. 중앙일보에 “한국 침술이 중국을 눌렀다”라는 제목으로 당시 한의협 김 모 부회장의 인터뷰 기사가 실렸고, 이를 주목한 중국 정부에서는 노발대발하였다. 중국 정부는 나에게 직접 WHO 사무처에서 기자회견을 하라는 압력도 가해 왔다.


나는 이전부터 각국 대표들에게 그러한 표현을 일절 금하고 있었던 터였다. 국제 표준을 개발하자면 각국이 서로 극도의 긴장 관계에서 경쟁하기 때문에 각국의 체면과 위신을 최대한 보호해 주고 어느 한 쪽에서 불필요한 도발을 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결국 이듬해 이종안 한의협 국제이사가 베이징에 가서 공식적으로 심심한 사과를 함으로써 일단락되었다. 그로 말미암아 중국에서는 출판기념회가 열리지 못한 것으로 기억한다. 그리고 중국이 한국에 대해서는 일종의 피해의식과 혐오감을 더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CSH 0011-img-08.jpg

2008년 5월 16일, ‘WHO Standard Acupuncture Point Locations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이 세상의 빛을 보았다. 사람들은 이 책을 “Orange Book”이라 기억한다. WHO-IST의 “Green Book”과 자매처럼. 두 책 표지 모두 내가 직접 디자인하였다.


CSH 0011-img-09.jpg

시드니에서 호주 한의사협회 초청으로 열린 출판기념회 2008. 5. 23.


CSH 0011-img-10.jpg

일본 교토 국립국제교토회관(國立京都國際會館)에서 일본침구사협회 초청으로 열린 출판기념회 2008. 5. 30.

연이어 열린 학술회의에서 이바라키대학(茨城大學)의 마야나기 마코토(眞柳誠) 교수가 “경혈 부위 표준화의 역사적 의의”라는 발표를 통해 WHO의 침구 경혈 부위 국제 표준의 의사학적 가치를 높이 평가하였다.


CSH 0011-img-11.jpg

서울 팔래스호텔에서 열린 출판기념회 2008. 6.19.

이봉화 보건복지부 차관, 임태희, 백원우, 정하균 국회의원, 김현수 대한한의사협회장, 김장현 대한한의학회장, 권명상 한국한의학연구원장 대행 등이 참석하였다.


국제 표준을 만들기 위해서 각국이 경쟁도 하지만, 상호 신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한 걸음도 나아가기가 어렵다. 학술적인 접근으로는 거의 가능하지 않지만, 국제적으로 각국 간의 이견을 조율 합의해야 하는 사안에 대해서는 WHO와 같은 기구의 역할이 필요하지만, 앞으로는 우리 전통의학의 이슈들이 그러한 국제기구의 권위를 통해서가 아니라 학자들 사이의 치열한 학술 활동을 통해 점진적으로 해결해 나가야 한다.



© 최승훈 교수의 나의 세계화 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