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세계화 노트

올해, 38년간의 교수 생활을 마무리했습니다. 85년 대전대학교에서 시작하여 88년 모교 경희대학교에 돌아왔고, 2014년에는 단국대학교로 옮겼습니다. 그 사이에 대만 2회, 중국 1회, 미국 3회에 걸쳐 모두 6차례 교환 교수 활동을 하였고, WHO에서 5년,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3년을 대학 밖에서 지냈습니다.

한의학의 세계화라는 비전 아래, 제가 한의학 역사의 한 페이지를 주도했던 경험이 저에게는 큰 영광이자 보람으로 남습니다. 특히 5년간의 WHO 활동이 저에게는 커다란 축복이었습니다. 그때 저는 한의학을 위해서 남들이 모두 불가능하다고 했던 그러나 해내야만 했던 과업들을 완수하였습니다. 반대와 방해가 엄청났었지만 그 난관들을 극복하면서 한의학의 큰 물줄기를 이끌었습니다. 후에 ICD-11 26장으로 진화한 전통의학 국제 표준 용어의 제정, 수백 년 이상 각 나라마다 달리 썼던 침구 경혈 위치의 통일과 국제 표준 제정, 일본의 극심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CPG 가이드라인의 개발 등이 그것들입니다. 국내에서는 그다지 알려지지 않았지만, 이러한 내용들은 Nature와 같은 저널이나 논문에 소개되었고 전 세계의 교과서들이 다 바뀌었습니다.

이러한 성과들은 지금도 계속 진행 중입니다. 이제는 후학들이 이어 가기를 기대합니다.
[학력]
1981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1987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 박사학위 수여
1989 고려대학교 대학원 철학 석사과정 수료

[경력]
2021-현재 단국대학교 석좌교수
2020-현재 국제동양의학회 (ISOM) 회장
2020-현재 미국 Emory의대 겸임교수
2008-현재 대만 중국의약대학 객좌교수
2014-2016 단국대학교 부총장
2003-2008 WHO 서태평양지역 전통의학 자문관
2011-2014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
2008-2011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학장
2018-2019 한약진흥재단 이사장
2009-2011 세계전통의학대학협의회 (GUNTM) 창립인·회장

[상훈]
2014.10 세계 표준의 날 ‘勤政褒章’ 수상
2015.12 경희한의대 동문회 ‘자랑스러운 慶熙韓醫人賞’ 수상
2022.02. ‘綠條勤政勳章’ 수상

[저서]
Koonja Press, Pajoo, 2021
<韓醫學原論> 군자출판사, 파주, 2020
<內經病理學> 통나무, 서울, 1993, 1995(2판), 1999(3판), 2001(중국어판, 중의고적, 북경)
외 10권 및 180여 편의 논문

최승훈
최승훈

한의학 세계화의 아이콘. 대전대, 경희대, 단국대에서 38년간 교수로 재직, 대만 중국의약대학과 국가과학위원회, 중국 국가중의약관리국, Stanford 의대, Emory 의대 교환교수, WHO/WPRO 전통의학 책임자,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 한약진흥재단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국제동양의학회 회장, Emory 의대 겸임교수와 중국의약대학 객좌교수로 Boston에 살고 있다.

프로필 바로가기

#12. WHO 전통의학 임상진료지침 이야기

 

CSH 0012-main.jpg



전통의학의 임상진료지침 개발을 위한 가이드

(A Guide for Development of th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raditional Medicine)


임상진료지침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CPG)은 임상 현장에서 의사들의 진료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고 궁극적으로는 환자 진료의 질을 향상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80년대부터 국가 표준 (GB)을 기반으로 CPG 개발을 준비해 왔으며, 일본에서는 나름대로 자국 내 의료보험 처방 중심의 CPG를 이미 활용하고 있었다.


임상은 의학의 꽃이라 할 수 있고, 전통의학 임상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CPG가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각국 전통의학자들의 임상 행위는 다양한 양상과 수준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대부분 보편성과 객관성이 부족하여 표준화가 절실한 실정이었다. CPG를 개발하려면 기존 전통의학 임상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등 근거기반 방법론을 적용해야 하며, 그 과정에서 전통의학은 임상적으로 체계를 갖추게 되고 신뢰를 확보하게 된다.


WHO는 전통의학 CPG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질환에 대한 각국 전통의학의 우수한 임상 내용을 집대성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함으로써 단기간에 전통의학의 임상 수준을 높일 수 있겠다는 기대를 하고 있었다.


제1차 회의는 2004년 5월 27~28일 WHO 전통의학 협력센터인 서울대 천연물과학연구소에서 열렸다. 개회식에는 과거 10년간 WHO/WPRO 사무처장을 지냈던 한상태 박사님, 서울대 의대 지제근 교수님, 신민규 경희대 한의대 학장님과 eCAM 편집인 Edwin Cooper 교수 등이 참석하였다. 이 회의에서는 WHO 전통의학 CPG의 대상 질환으로 심혈관 질환, 뇌혈관 질환, 암, 당뇨병, 통증 등 모두 27개 질환을 선정하였다.


CSH 0012-img-01.jpg

제1차 전통의학의 임상진료지침 개발 회의 2004. 5. 27.~28.


CSH 0012-img-02.jpg

첫 번째 회의에서 선정한 CPG 대상 27개 질환


서울 회의의 후속으로 이듬해인 2005년 3월 29~31일 베이징에서 근거기반의 전통의학 CPG를 개발하기 위한 워크숍이 열렸다. 중국 국가중의약관리국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중국 전역에서 실제로 27개 질환의 CPG 개발에 참여할 80여 명의 각 분야 전문가를 초청하여 근거 기반의 전통의학 CPG 개발을 위해 필요한 내용을 교육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 중의계 전체에 CPG 개발에 대한 기대와 관심을 불러일으키게 되었다.


CSH 0012-img-03.jpg

중국 최고의 중서의 안과 전문가 탕요즈(唐由之) 선생님을 비롯하여 27개 질환별로 3명씩 모두 80여 전문가들이 중국 전역으로부터 선발되어 한자리에 모였다.


제2차 회의는 2005년 7월 5~8일 나흘간 대구에서 열렸다. 한국에서는 장일무 서울대 약대 교수, 이영작 한양대 석좌교수, 중국에서는 류오바오웬(劉保延) 중의과학원 부원장, 일본에서는 쯔다니 교수가 대표로 참석하였다. 근거 기반의 CPG가 되기 위해서 필요한 내용을 다양하고도 심도 있게 논의하였다. 이 회의부터 일본 측에서는 전통의학 분야에서 CPG를 개발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등 노골적으로 반대하는 입장을 비치기 시작하였다. 그에 비해 중국이나 한국의 전문가들은 매우 진지하게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CSH 0012-img-04.jpg

제2차 전통의학의 임상진료지침 개발 회의 2005. 7. 5.~8.

대구에서 열린 두 번째 CPG 전문가 회의로 한국의 서울대 약대 장일무 교수님과 한양대 의대 이영작 석좌교수님이 양대 축이 되어 회의를 주도하셨다.


중국과 한국은 CPG 개발에 적극적이었으나, 일본은 자국의 한방의학 보험체계 보호 등을 이유로 극심하게 반대하였다. WHO 전통의학 CPG는 중의학 위주로 개발될 것이 자명하고 그리되면 일본의 한방의학이 중의학의 영향권에 들어갈 것을 극도로 우려하였기 때문이다. 그들은 CPG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동하던 나를 다양한 방식과 층차에서 비방하고 공격하였다.


2005년 11월 15~17일 사흘 동안 베이징의 광안문의원(廣安門醫院) 종양과(腫瘤科)의 초청으로 암 치료를 위한 CPG 개발 회의가 열렸다. 중국에서는 박병규 광안문의원 부원장, 린홍성(林洪生) 종양과(腫瘤科) 주임 등 중국의 대표적인 중의 암 치료 전문가, 한국에서는 이승훈 국립암센터 병원장, 배상문 국립암센터 위암센터장, 전미선 아주대병원 치료방사선과장, 조종관 대전대 교수, 최원철 경희대 교수, 윤성우 경희대 교수, 장일무 서울대 교수, 일본에서는 가나자와병원 암센터의 모투 요시하루(元雄良治) 교수가 유일하게 참석하였다. 이 회의에서는 pilot 수준에서 폐암에 대한 내용이 주로 다뤄졌다.


CSH 0012-img-05.jpg

제3차 전통의학의 임상진료지침 개발 회의 2005. 11. 15.~17.


이어 2006년 2월 21~23일 사흘간 베이징의 안과의원(眼科醫院)에서 안과 질환의 CPG 개발을 위한 회의가 열렸다. 안과의원은 중의 위주의 안과 전문병원으로 약 300개의 병상이 있으며, 라식이나 라섹 수술까지도 집행하는 등 안과 분야 종합 의료기관이다. 1974년 마오쩌둥의 백내장 수술을 성공적으로 집행했던 탕요즈 국의대사(唐由之 國醫大師, 1926~2022)의 주도로 설립되었다.


이 회의를 위해 탕요즈 선생은 특별한 관심으로 지원해 주셨다. 중국에서는 왕용웬 중국공정원 원사(王永炎 中國工程院 院士), 탕요즈 국의대사, 차오홍신(曹洪欣) 중국중의과학원장이, 한국에서는 장일무 서울대 약대 교수, 주천기 가톨릭대 의대 교수, 최인화 경희대 한의대 교수가, 호주에서는 Chris Zaslawski, 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UTS) 교수, 베트남에서는 추곡트롱 교수가 대표로 참석했으나, 일본은 계속 반대 입장을 더욱 강화하면서 아예 전문가를 파견하지 않았다.


CSH 0012-img-06.jpg

제4차 전통의학의 임상진료지침 개발 회의 2006. 2. 21.~23.


일본 측의 전방위적이고도 집요한 압력으로 마닐라의 사무처에서는 전통의학 CPG 프로젝트를 적절한 수준에서 마무리해 주기를 요청해 왔다.


2007년 12월 11~13일 사흘간 홍콩에서 WHO 전통의학 CPG 개발을 위한 마지막 회의가 열렸다. 한국, 중국, 일본, 호주, 미국, 싱가포르 대표가 참석하였으며, 최종 결과물로서 ‘A Guide for Development of th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raditional Medicine’이 만들어졌다. 그 가이드가 제시하는 CPG의 내용과 형식은 양의학의 CPG와 거의 동일하다. WHO는 그에 따라 각국에서 전통의학 CPG를 만들도록 권고하였다. 


CSH 0012-img-07.jpg

제5차 전통의학의 임상진료지침 개발 회의 2007. 12. 11.~13.

2007년 12월 11~13일 홍콩에서 마지막 WHO 전통의학 CPG 개발을 위한 전문가 회의가 열렸다.


CSH 0012-img-08.jpg

홍콩 회의에서 고안해 낸 WHO 전통의학 CPG 가이드라인


홍콩 회의 이후, WHO/WPRO에서는 중국중의과학원이 주관하여 CPG를 개발하도록 지원하였다. 그들은 2011년에 20개 내과 질환, 8개 전과전병(專科專病)과 5개 질환의 침구 “中醫循證臨床實踐指南 (Evidence-based Guidelines of Clinical Practice in Chinese Medicine)”을 개발하였다. 동시에 그와 연관하여 95개 병종(病種)에 대한 ‘중의임상진료방안(中醫臨床診療方案)’과 104개 병종에 대한 ‘중의임상노경(中醫臨床路徑)’도 발표하였다. 이로써 중국 중의계는 중의학 임상에 대한 객관화와 표준화를 성취하면서 세계 보편의학으로 한 걸음 더 다가갔다.


CSH 0012-img-09.jpg

2011년 중국에서 발표한 中醫循證臨床實踐指南 (Evidence-based Guidelines of Clinical Practice in Chinese Medicine), 좌측 상단에 WHO/WPRO에서 지원하였음을 표기하고 있다.



Epilogue


돌이켜보면, 나의 WHO 근무 시절에는 국제 전통의학 표준을 개발하기에 매우 유리했던 것 같다. 한국이나 일본의 경우, 자국의 전통의학 발전을 위해서 표준의 필요성을 절감하기 시작하였으나 아직 국내적으로 전통의학 표준이 제대로 개발되지 않은 상태였다. 그래서 WHO가 주도하는 표준화 작업에 참여하면 권위가 있으면서도 비교적 쉽게 원하는 전통의학 표준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하고 WHO에 적극적으로 협력하였다.


한국 정부에서는 아예 2005년부터 WHO 국제 전통의학 표준화 사업 지원 항목을 만들어 정부 기금을 보내기 시작했다. 일본의 경우는 민간 차원에서 특히 일본침구사협회를 중심으로 침구 경혈 위치 표준 제정을 위해 적지 않은 재정적 기여를 하였다. 그에 비해 당시 중국은 거의 유일하게 전통의학 국가 표준 (GB)들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WHO가 국제 표준을 만들면 이미 완성된 자신들의 표준이 거의 그대로 수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하고 WHO의 국제 표준화 사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했던 측면도 있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WHO/WPRO에서의 전통의학 표준화를 중국이 주도할 수 없게 되자 그들은 대안으로 ISO/TC249와 WHO 본부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고 볼 수 있다.


내가 WHO를 떠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WHO의 표준이 오로지 제네바 본부에서만 개발하도록 내부 규약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전통의학의 발전을 위해서 실제로 WHO가 할 수 있는 가장 큰 기여와 영향력은 WHO의 국제 표준을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줄곧 한의학의 세계화를 꿈꿔왔던 나에게는 그런 WHO의 존재와 권위가 어마어마한 의미로 다가왔으며, 그런 기회를 만나게 된 것에 지금도 무한 감사하고 있다.


WHO 표준화 작업을 추진하면서 겪어야 했던 극한 어려움을 부여안고 괴로움으로 지새웠던 수많은 밤들, 홀로 내려야만 하는 고독했던 결정들, 그리고 가슴 졸였던 순간들이 이제는 추억으로 남는다.


무엇보다도 소중한 것은 그 많은 회의와 작업을 통해 만났던 각국의 전문가들, 그들과 나는 업무적으로 또 인간적으로 희로애락(喜怒哀樂)을 함께 진하게 나누었다. 여전히 감사한 마음이다.


가장 적절했던 시절, 가장 가능했던 기회에 가장 절실했던 성과를 역사에 남기고 나는 WHO를 떠났다.



© 최승훈 교수의 나의 세계화 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