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밥상 위의 자산어보

저자 한창훈은 1963년 여수시 삼산면 거문도에서 태어나면서 바다와 떨어질 수 없는 인생이 시작되었다.
세상은 몇 이랑의 밭과 그것과 비슷한 수의 어선, 그리고 끝없는 바다로만 되어 있다고 생각했다.
일곱 살에 낚시를 시작하고 아홉 살엔 해녀였던 외할머니에게서 잠수하는 법을 배웠다.
이런 저런 일을 하며 젊은 시절을 보냈고, 그 뒤로는 한국작가회의 관련 일을 하고 대학에서 소설창작 강의를 하기도 했다.
바다를 배경으로 한 변방의 삶을 주로 써왔다.

먼바다에 대한 갈증을 풀기 위해 대양 항해 프로젝트를 기획했다.
동료 작가들과 현대상선 컨테이너선을 타고 부산-두바이, 홍콩-로테르담 두 번의 대양 항해를 했고
2013년에는 아라온호를 타고 북극해를 다녀왔다.

8년 전 고향으로 돌아와 원고 쓰고, 이웃과 뒤섞이고, 낚시와 채집을 하며 지내고 있다.
대산창작기금, 한겨레문학상, 제비꽃서민소설상, 허균문학작가상, 요산문학상을 받았다.

소설집 <바다가 아름다운 이유> <청춘가를 불러요> <그 남자의 연애사>,
장편소설 <홍합> <나는 세상 끝을 산다> <꽃의 나라>,
산문집 <한창훈의 향연> <내 밥상 위의 자산어보> <내 술상 위의 자산어보> 등을 썼다.
어린이 책으로는 <검은섬의 전설> <제주선비 구사일생 표류기>가 있다.

KMCRIC은 출판사와 저자의 게재 허락을 받아 <내 밥상 위의 자산어보> 중에서 생선과 해조류 편 일부를 연재합니다.
지면을 빌어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바다의 생명 기운과 맛이 독자 여러분께 듬뿍 전해지길 빕니다.

한창훈
한창훈

우리가 식탁에서 그저 식재료로만 여겼던 온갖 갯것들이 <내 밥상위의 자산어보> 칼럼을 통해 저마다의 생명력을 얻어 고유한 이력과 맛들을 뿜어냅니다. 육지사람은 잘 모르는 생선과 해조류의 효능을 소개합니다.

프로필 바로가기

#14. 우럭, 세 식구 머리 맞대고 꼬리뼈까지 쭉쭉 빨아먹는 맛

 

HCH014-01-우럭.jpg


내가 낚시꾼의 집념을 맨 처음 본 게 여덟 살 때였다.


어느 날 친구 형이 낚시를 하고 있었다. 낚싯대는 뒷산 대나무로 만든, 두 팔 길이 정도였다. 밀려났던 물이 다시 들어오고 해가 떨어지며 노을이 들기 시작했다. 갯것하던 아낙들이 하나둘 양동이 이고 집으로 돌아갔다.


그 형은 무릎 깊이까지 물이 밀려오는데도 물러서지 않고 낚시를 계속했다. 나는 채비를 정리한 다음 그 모습을 지켜봤다. 그가 갈 때 같이 가려고 했던 것이라 치끝에는 우리 두 사람만 남아 있었다. 


이미 여러 마리의 고기를 낚아냈는데도 만족하지 못하고 그는 낚싯대 끝만 노려보고 있었다. 이러다가 곧 어두워지고 말겠다 싶었을 때 뭐라고 소리를 지르며 낚싯대를 잡아챘는데 그만 우지끈 부러지고 말았다. 그는 앞뒤 볼 것 없이 물로 뛰어들었고 필사적으로 첨벙거리면서 낚싯줄을 팔에 둘둘 감았다. 미끄러지기도 하고 알아들을 수 없는 비명을 질러대기도 하다가 마침내 보듬다시피 잡아올린 것은 어른 팔뚝만한 우럭이었다.


나는 외마디 탄성을 질렀고 그는 해초 더미 잔뜩 붙인 채 헤벌쭉 웃었다. 그 형은 손가락이 심하게 굽은 불편한 몸이었으며 고작해야 5학년이었다.


그가 낚시에 매달린 이유는 그 집에서 유일하게 동물성 단백질을 구해오는 사람이었기 때문이었다. 친구의 가족은 형과 늙은 할머니, 단둘이었다. 아버지는 먼바다로 나가 잘 돌아오지 않았고 어머니는 가족을 외면하고 떠나버렸던 것이다.


그렇게 큰 것을 잡다니…… 낚시라는 게 물속까지 뛰어들어야 하는 거였다니…… 내가 낚은 베도라치는 고기도 아니구나…… 그런 생각이 꼬리를 물고 빙빙 돌아서 쉬 잠들지 못했다.


다음날 가보니 세 식구 머리를 맞대고 우럭 꼬리뼈까지 쭉쭉 빨아먹고 있었다. 그들은 그렇게 잡은 생선과 고구마와 간혹 나오는 밀가루 배급으로만 살았다. 텃밭에는 우럭 뼈와 고구마 껍질만 수북했다.
 
형의 그런 모습은 날마다 되풀이되었다. 바닷가로 나가 먹을 수 있는 것은 무어든 한 움큼씩은 꼭 움켜쥐고 돌아왔다. 그에 비해 내 친구는 말썽만 부리는 개구쟁이였다. 무조건 뛰었고 같이 노는 것보다 울리는 것을 택했으며 말하는 것보다는 악쓰는 것을 좋아했다. 칠판에 제 이름 쓰기를 할 때도 네모판 가득 거대하게 써놓아야 직성이 풀렸다.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과 원망이 그렇게 만들어버린 거였다. 그는 갈수록 눈의 열기가 더욱 뜨거워지고 충동의 위험도 높아갔다. 웃고 까불어도 쓸쓸한 기운이 늘 주위를 맴돌았다. 폭발과 절제 가운데서 그는 방황했다. 그리고 소식이 끊어졌다.
 
우럭은 흔한 어종에 속한다.


낚시 좀 다닌 사람은 여러 마리 낚아보았을 것이다. 서남해안에서는 선상 우럭 낚시가 있다. 낚싯배로 침선 沈船이나 어초 포인트를 찾아가는 것이다. 하지만 이거, 돈 제법 든다. 낚시 자체는 어려울 것 없는데 몇 시간씩 배 타는 것이 일이다.


이때 만만한 게 구멍치기이다. 방파제에 가면 테트라포드가 있다. 파도를 분산시키기 위해 만들어놓은 것으로 삼발이, 또는 호바라고도 부른다. 이 테트라포드 사이 구멍에서 의외로 우럭이 잘 문다. 
 
가능하다면 가두리 양식장에서 낚시를 해보는 것도 재미다. 물론 고기 키우는 칸에 넣어서 낚으라는 말은 아니다. 늘 사료를 주기 때문에 주변에 고기가 잘 모인다. 가두리를 탈출한 우럭도 제법 돌아다닌다.


우럭에 대한 음식은 따로 말할 필요 없겠다. 우럭회나 매운탕 한번 안 먹어본 사람 없을 터이니 말이다. 섬에서는 꾸덕꾸덕 말려 구워먹기도 한다.


아, 친구.


내가 그 친구를 다시 만난 것은 오랜만에 열린 동창회에서였다. 그는 긴 길을 돌아왔다. 동원산업 오징어배 살롱보이로 오대양 돌아다니다가 조리장이 되었고 근자에는 선박기계 수리, 유지하는 외국계 회사 엔지니어로 근무하며 역시나 전 세계를 제집 작은방처럼 돌아다니고 있다는 게 그동안 이력이었다.


그는 변해 있었다. 열기로 번들거렸던 눈은 수평선을 닮아 있었고 행동거지와 말투가 부드러워져 있었다. 바람의 세월을 보내면서 아름답게 삭은 것이다.


형의 안부를 물었고 삶이 곤궁한데다 그나마 자주 못 본다는 대답을 들었다. 나는 오래전에 보았던, 어린 가장의 집념 어린 낚시에 대해 말했다. 한동안 듣던 그는 눈 들어 40년 저쪽을 물끄러미 바라다보았다. 그리고 조만간 형에게 식사대접을 하겠다고 답을 했다.



HCH14-02.jpg



© 한창훈 작가의 산문집 <내 밥상 위의 자산어보>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