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속의 의료인
Home > 지식솔루션센터 > 세계 속의 의료인- [뉴욕에서 바라본 한의학]
美 뉴욕 코넬의과대학 세포발생생물학과에서 Postdoc으로 있습니다.
한의사로써 현재의 최신 생명과학 연구방법들과 일선의 연구들을 알아가는 데에 있어 배우고 느끼는 점들을 소개할 예정입니다.
#4. 뉴욕에서 살아 간다는 것 (2) POSTDOC
연구를 시작한지도 꽤 오랜 시간이 지난 것 같습니다. 어서 결과를 발표하고 논문도 내고 싶지만, 한국에 있으나 미국에 있으나 그 일이 그렇게 쉬운 일만은 아닌 것 같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곳에서 POSTDOC을 하는 생활을 아주 간단히 써볼까 합니다.
ROCKEFELLER 대학은 73개의 연구소로 구성된 연구중심대학입니다. 대부분은 생명과학 분야이고, 물리학을 연구하는 연구소도 있습니다. 각 연구소는 연구소장인 교수가 있고, 그 밑으로 많은 POSTDOC들이 존재합니다. POSTDOC들은 교수와 함께 각각이 맡은 연구를 수행하며, 논문을 쓰게 됩니다. 학교에서 POSTDOC들을 실질적인 연구의 중심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POSTDOC들에 대한 대우가 매우 좋은 편입니다. 먼저 각종 복지가 잘 되어 있고, 보험 및 집세 등을 지원해 줍니다. 미국에 J-1 비자를 가지고 생활을 시작하려면 여러 가지 챙겨야 할 내용들이 많은데, 학교의 이민국에서 거의 필요한 서류들을 처리해 주어서 처음에 많이 편했습니다. 또, POSTDOC들은 그 연구소에서 연구를 위해 필요한 재원을 사용할 수 있는 권리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 학교는 연구에 필요한 재원을 미리 받아 놓습니다. 물론 필요 없는 물품을 과다하게 사용하면 제재를 받지만, 이런 제도는 연구자로 하여금 시간을 절약하게 하고, 좋은 환경에서 연구를 할 수 있게 해줍니다.
미국 동북부 대학들은 거리적인 이점도 있고, 생명과학분야의 석학들이 많이 분포해 있어서인지 여러 재단의 후원을 받으며 함께 연구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 이점을 활용해, 각 연구소들은 많은 세미나를 주최하고 POSTDOC들을 항상 초대합니다. 따라서 훌륭한 연구자들을 만날 기회가 많다는 것도 장점입니다. 매 세미나는 점심시간이나 저녁시간을 끼고 진행되며, 식사나 음료가 제공되어 연구에 방해 받지 않고 다양한 분야를 접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매주 영어 학습지원, 연주회 관람, FACULTY CLUB에서의 파티 등 학교에서 지원해주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대기하고 있습니다. 모든 프로그램에 참여하기에는 시간이 없다는 아쉬움이 있으므로 자기 시간을 잘 쪼개서 연구와 활동들을 해야 합니다.
기회가 된다면 다음에 더 자세한 POSTDOC의 생활들을 다루면 좋겠습니다. ^^
© 한의사 김승남의 뉴욕에서 바라본 한의학
뉴욕에서 바라본 한의학
저는 현재 미국 뉴욕 코넬의과대학 (Weill Cornell Medical College) 세포발생생물학과 (Department of Cell and Developmental Biology)에서 Postdoc으로 연구중인 한의사 김승남입니다.한의학의 생명과학적 기전을 연구하기 위해, 대학원을 졸업하고 박사후연구과정 중에 있습니다.
이 칼럼은 한의사로써 현재의 최신 생명과학 연구방법들과 일선의 연구들을 알아가는 데에 있어 배우고 느끼는 점들을 소개할 예정입니다.
많은 정보들 속에서 후에 이 분야를 경험하고픈 선후배 한의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의학과 졸업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 석박사 경혈학 전공
-경희대학교 AMSRC, KMCRIC 참여연구원
-뉴욕 Rockefeller대학 뇌신경생물학연구소 Postdoc
-뉴욕 Weill Cornell Medical College 세포발생생물학과 Postdoc
-2017년 현재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