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문생 박사의 약선설계론

약을 더 이상 쓸 수 없거나 아예 약을 쓸 단계를 넘어 선 환자, 혹은 장기간 약을 써도 몸만 상할 뿐 호전이 되지 않는 만성 질환, 면역 질환 등을 앓고 있는 환자들은 요양을 하면서 여러 가지 자연의 혜택을 누리려 하는데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이 음식이다.

중의학자들이 한방 고전 속의 식치방(食治方)에 맛내기 식품들을 더하여 효과도 있고 맛도 있게 하겠다는 의도로 - 선택한 식치방의 효과를 그대로 나타낼 수 있다는 객관적인 논리 제시가 없는 채로 - 만들어 유포시킨 것이 약선(藥膳, Curative Food)이다. 필자가 십여 년 연구로 객관적 논리를 창안함으로써 가능해진 합리적 약선 제작 방법이 약선설계(Planning of curative food)다.
[학력]
-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박사학위 취득(한의학)

[경력]
- 현 한국약선연구원 원장
- 현 안문생한의원 원장
- SBS 중국약선여행 전문연사
- MBC 라디오 동의보감 전문연사
- 경원대학교 사회교육원 약선강좌 외래교수
-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약선학 석사과정 겸임교수
- 원광한의대, 경원한의대, 상지한의대, 동의한의대 외래교수 및 강사(10년)
- 약선설계 관련 앱 개발

[저서]
- 2012 『약선설계학』
- 2012 『약선설계본초』
- 2003 『안문생 약선기』
- 『식의기초연구』
- 약선재료사전(App)
- 이안평가(App)

안문생
안문생

중의학자들이 한방 고전 속의 식치방에 맛내기 식품들을 더하여 효과와 맛을 둘 다 충족시키고자 만들어 유포시킨 것이 약선이다. 하지만 객관적인 논리의 제시는 없었다. 필자가 십여 년간의 연구로 객관적 논리를 창안함으로써 가능해진 합리적 약선 제작 방법이 ‘약선설계’다.

프로필 바로가기

잔인한 4월에 대비해야 한다

 

AMS 0029-main.jpg



돌이켜보면 고대의 천문학적 통계인 운기학이 신기하게 들어맞는 것을 많은 사람이 공감하였다. COVID-19의 발생 시기부터 시작하여 작년 가을에 잠시 더 심해지는 것도 그대로였다. 게다가 놀라운 것은 WHO뿐만 아니라 세계적 전문가들이 바이러스는 추운 계절에 세력이 강해지므로 겨울 동안 가장 크게 전파된다고 하였지만, 통계학 (운기학)에서는 - 지난번 원고에서 밝혔듯이 - 5년 만의 겨울다운 겨울이 오고 온역 (열성 전염병)은 그 세력이 약해질 것이라고 되어 있었는데 조금도 틀리지 않았다. 만일 경마처럼 도박판이었다면 엄청난 돈을 땄을 것이다.


그 통계가 지금보다 더욱 강한 전파력을 지닌 전염병을 예고하고 있다. 시기는 올 삼월 하순부터 오월 중순 사이다. 즉 4월에 발생할 확률이 가장 높다. 다른 온역 발생에 대해서 사용되지 않았던 “대행(大行)” 즉 크게 일어난다는 표현을 하였고 “먼 곳이나 가까운 곳이나 비슷하다”고 할 정도로 널리 펴진다는 것을 예고하고 있다. 2천 년 전의 인구밀도, 교통수단 등을 고려하면 지금은 전 세계로 전파된다고 보아야 한다. 만일 이것이 사실로 나타날 경우 요즘 개발된 mRNA 백신이 효과가 있을지 의문이다. “其病 溫厲大行 遠近咸若”


신축(辛丑)년은 평년과 비교해 상반기는 습하고 하반기는 춥지만, 각 계절의 기운이 미약하여 기후와 완전히 상응하지 못하므로, 때맞춰 계절의 기후가 오지 못하고 늦게야 온다. 또한 한 해 동안 주로 한랭한 습기가 기후를 변화시키고 뜨거운 열기는 대체로 힘을 잃게 된다. 그러나 각 계절의 기운이 미약하여 때맞춰 계절의 기후가 오지 못하므로 그 공백기에 습기를 제거하려는 강한 바람이 거세게 일어날 수도 있다.


상반기에 영향을 끼치는 날씨와 하반기에 영향을 끼치는 날씨가 각각 역할 분담을 하는게 일반적이지만, 상반기는 습하고 하반기가 추운 경우는 습기가 상반기는 물론 하반기에도 영향을 끼치며, 냉기도 하반기는 물론 상반기에도 영향을 끼치므로 일년 내내 한랭한 습기가 관여를 한다. 그래서 안개가 자욱하고 하늘이 컴컴할 때가 많고, 여름철에도 검은 구름이 빽빽하게 퍼져 있으면서 차가운 비가 자주 오므로 식물의 성장도 늦어져 한여름과 가을이 교차되는 즈음이 되어서야 완성이 된다.


일 년 내내 한랭한 습기가 날씨 변화에 관여함으로써 인체도 역시 주로 한랭한 습기 즉 한습(寒濕)으로 인한 질병이 든다. 복부에 가스가 차서 더부룩하며 피부가 붓고 윗배가 막힌 듯 답답하면서 메슥거리다가 구토를 한다. 사지가 싸늘하면서 근육이 오그라들어 굽히고 펴는 동작이 잘 안된다. “民病寒濕 腹滿身䐜膹胕腫 痞逆寒厥拘急”


2021년 신축년은 일 년 내내 한습(寒濕)이 손님처럼 찾아와 문제를 일으키는 해이다. 그런데 제2기 (3월 하순~5월 중순)의 평균 기온은 유난히 높은데 이 한습(寒濕)이 수시로 관여하여 구름을 만들고 많은 비를 내리게 한다. 인체에서 습(濕)이 몰리면 열(熱)이 겉으로 퍼져 나가지 못하며, 습은 열에 의하여 훈증 되기 때문에 양기(陽氣)가 손상되는 결과가 야기된다. 이 경우 실제 임상에서는 습이 더 우세한지 열이 더 우세한지를 살펴서 다스려야 하겠지만, 가장 중요한 점은 이런 혼란이 기분(氣分)에서 해결되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고 혈분(血分)으로 침투한다면 대단히 위험한 상태가 될 수도 있다.


습으로 인하여 퍼져 나가지 못하고 있는 기분(氣分)의 열은 매운맛으로 발산을 시켜야 한다. 그리고 열에 의하여 훈증 되는 습은 쓴맛으로 말려야 한다. 곁들여 습이 조직 사이로 빠져나가도록 싱거운 맛도 필요하다. 특히 이 기간에 예고된 대로 온역이 발생하면 이러한 불균형의 조건들이 혈분으로 파고들지 못하게 하는 작업에 사활을 걸어야 한다.

* 출전(出典): <황제내경(黃帝內經)>ㆍ<지진요대론(至眞要大論)> ① 少陰之勝 治以辛寒 佐以苦鹹 以甘瀉之 ② 濕淫所勝 平以苦熱 佐以酸淡 以苦燥之 以淡泄之


이상의 조건을 두루 갖춘 역사적 경험방 하나를 소개한다면 선출탕(仙朮湯)이 가장 적합하다. 이는 조선시대의 고조리서 <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에 ‘선출탕방(仙朮湯方)’으로 소개되어 있다.


“껍질 벗긴 삽주 뿌리 (창출, 蒼朮) 12근 (7,200g)을 쌀뜨물에 담갔다 볶는다. 씨를 뺀 대추 6되 (약 3,900g), 볶은 감초 3근 반 (2,100g), 말린 생강 (건강, 乾薑) 5냥 (187.5g), 소금 6근 4냥 (3,750g) 등을 가루로 하여 여기에 꼭지와 껍질을 제거하고 볶은 살구씨 (행인, 杏仁) 1근 반 (900g)을 넣어 골고루 섞는다. 1전(錢) (3.75g)씩 끓는 물에 타 마시면 온역(瘟疫)이 예방되고 한기와 습기를 제거하며 위를 따뜻하게 하고 비장에 유익하다. 오래 복용하면 장수하고 눈이 밝아지며 얼굴이 팽팽해지고 몸이 가벼워지며 늙지 않는다.”

* 출전(出典): <화제국방>

 

AMS 0029-img-01.jpg


940여 년 전 송대의 간행물인 <화제국방>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선출탕(仙朮湯): 온역(瘟疫)을 예방하고, 한습(寒濕)을 제거하며, 비위(脾胃)를 따뜻하게 하고, 식욕을 돋운다.


창출(蒼朮: 삽주 뿌리) 거피(去皮; 껍질을 벗김) 四十八斤(28,800g), 조(棗: 대추) 거핵(去核: 씨를 뺌) 二斗四升(15,600g), 건강(乾薑: 생강 말린 것) 포(炮: 물에 불려 굽는 것) 二十四兩(900g), 행인(杏仁: 살구 씨) 거피첨(去皮尖: 꼭지와 껍질을 제거함) 부초(麩炒: 한약재를 밀기울과 함께 볶는 것)하여 별도로 찧은 것 六斤(3,600g), 감초(甘草) 초(炒: 볶은 것) 十四斤(8,400g), 염(鹽: 소금) 초(炒: 볶은 것) 二十五斤(15,000g).


위의 것들을 세말(細末)하고 행인을 넣어 고루 섞는다. 매 식전에 1전(錢)씩 끓는 물에 타서 복용한다. 항상 복용하면 장수하고 눈이 밝아지며 얼굴이 늙지 않고 몸이 가벼워진다.


참고로 부초(麩炒)란 한약재를 밀기울과 함께 볶는 것을 말한다. 약재의 10%에 해당하는 밀기울을 먼저 솥에 넣고 가열한다. 연기가 나기 시작할 때 약재를 넣고 저어주면서 고루 볶은 다음 약재만 갈라낸다. 부초하면 약물의 맛과 냄새를 고치며 약성을 변화시키고 협력 작용을 나타내게 한다.


※ 본 내용은 필자의 개인적 견해로, KMCRIC의 공식적 견해와는 다를 수 있습니다.



© 안문생 박사의 약선설계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