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경력]
- KTX 매거진 기자
- 공감인베스터 팀장, 공감미디어홀딩스 기획팀장
- 2017 서울국제불교박람회 언론홍보 총괄 및 촬영팀장
- 월간 트래비·여행신문 객원기자
- 월간 불광 잡지팀 취재 및 편집기자
- 동방대학원대학교 전략기획실 연구원
- 법보신문 편집국 취재·편집기자

[기타 활동]
- 포항KBS ‘동해안 오늘’ 고정 패널 출연
- MBC ‘노중훈의 여행의 맛’ 패널 출연
- MBC ‘이 사람이 사는 세상’ 패널 출연
- KTX 매거진, 론리플래닛, 더트래블러, 웅진싱크빅북클럽 등 칼럼 기고
- 계간 문화공감, KOFIH 전담 객원 포토그래퍼
- 미붓아카데미 ‘21세기, 불교를 철학하다’ 진행 및 홍보

[수상 내역]
- 한국불교기자대상 ‘한국 불기 2550년 틀렸다’ 특별상 수상 (2006년)
- 제16회 불교언론문화상 대상 (법보신문 기획취재팀) 수상 (2009년)

[저서]
- 2016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 2018 『더 오래가게』

정태겸
정태겸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프로필 바로가기

제주 온평초등학교 숲과 고기국수

 

JTG 0073-main.jpg



교문을 들어설 때까지는 “학교 참 잘 꾸며 놨다.”였지만 교정을 단장하고 있는 숲으로 걸음을 옮길수록 “학교 정말 멋지다.”라고 감탄사가 바뀌었다. 색색의 꽃이 곳곳에서 피고 지고 피고 지는 제주의 온평초등학교다.



해녀들이 지켜낸 동네 학교


계절마다 서로 다른 표정을 보여주는 이런 학교가 또 있을까. 이렇게 멋진 학교숲을 만들기 위해 얼마나 많은 손길이 닿았을까. 타박타박 발걸음을 옮기는 동안에도 숲 한쪽에서는 동네 어르신들이 한창 나무를 다듬는 중이었다. 이곳은 구석구석 정성이 깃들어 완성된 숲이었구나, 그런 생각이 밀려들었다.


JTG 0073-img-01.jpg


온평초등학교가 개교한 건 1946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섬이라는 지역적 한계가 있음에도 이 일대에서 가장 중요한 교육기관이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온평리의 사람이 줄어들었고, 덩달아 학생 수가 점차 줄어만 갔다. 한때는 전교생 99명에 달할 만큼 제법 북적였던 학교였지만, 2010년경에는 인근의 학교와 통폐합되는 상황에 이를 만큼 학생이 줄었다. 시대의 흐름과 변화는 걷잡을 수 없는 일. 이런 상황은 당연한 수순처럼 여겨졌다.


JTG 0073-img-02.jpg


수십 년의 역사를 가진 학교가 문을 닫는 게 기정사실화될 때쯤, 희미한 불씨가 살아나기 시작했다. 온평초등학교를 졸업한 학생이 장성해 교감 선생님으로 부임한 것. 이 선생님은 부임과 동시에 학교를 살려보자며 목소리를 높였다. 고작 한 사람의 힘이 무얼 바꿀 수 있을까 싶었지만 간절함이 더해지면서 변화의 조짐이 만들어졌다. 마음이 마음을 움직였고, 여러 명의 힘이 한데 모이면서 반전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끈질긴 노력 끝에 학교를 살리기 위한 온평리 주민의 단합이 이루어졌다.


JTG 0073-img-03.jpg


학교숲 조성은 바로 그 움직임의 일환이었다. 2005년부터 3개년 계획으로 ‘학교숲 조성사업’을 시작했다. 교직원과 학생은 물론 지역주민에 졸업 동문까지 이 사업에 동참했다. 학교 안의 부지는 꽤 넓다. 7,000여 제곱미터에 달하는 교지를 7개의 공간으로 나누고 공간마다 서로 다른 주제를 부여하기로 했다. 이 과정에서 마을의 해녀들은 물질로 따온 미역이며 온갖 해산물을 팔아 번 돈을 보탰다. 그렇게 모두가 함께 만든 학교숲을 둘러볼수록 감탄을 자아내는 공간이 되었다.


JTG 0073-img-04.jpg



학교 뒤에 숨은 비밀의 정원


교문 안으로 들어서면 시원하게 펼쳐진 천연잔디 운동장이 눈을 시원하게 해준다. 초등학교라면 어디에나 볼 법한 철봉이니 정글짐 같은 놀이 시설이 만들어져 있고, 맞은편의 학교 건물과 병설 유치원 주변으로 무성한 나무가 보인다. 운동장을 따라 천천히 걸으면 무척 다양한 수종을 마주하게 된다. 동백나무, 비자나무, 왜종려나무 같은 제주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수종부터 나사백이라 불리는 가이즈까향나무, 팥배나무, 히어리 같은 낯선 이름의 나무까지. 나무를 하나하나 살필수록 이 숲에 얼마나 많은 정성과 공이 들어갔는지 느낄 수 있다.


JTG 0073-img-06.jpg


JTG 0073-img-05.jpg


학교 건물을 빙 돌아 뒤편으로 나아가면 비밀의 정원이 눈앞에 드러난다. 학교 운동장을 둘러싼 나무는 일부에 불과하다. 진짜는 학교 뒤에 있다. 학교숲이라고 불러도 될까 싶을 만큼 꽤 넓은 부지에 아름다운 숲이 빽빽하게 자리하고 있다. 한쪽에는 학생들이 직접 재배하는 벼가 보이고, 그 뒤로 전교생이 직접 키우고 수확해서 다도까지 배운다는 차나무밭이 있다. 언덕 위로 올라가면 그리 길지 않은 산책로와 연못도 보인다. 치렁치렁한 가지를 축 늘어뜨린 수양버들도 오랜만이다. 그 아래로 흰 연꽃들이 점점이 피어올라 단아한 매력을 한껏 뽐내는 중. 이 정원에는 ‘열운이 초록동산’이라는 귀여운 이름이 붙었다.


JTG 0073-img-07.jpg

JTG 0073-img-08.jpg JTG 0073-img-09.jpg


뜨겁게 내리쬐는 햇살을 피해 나무 그늘로 들어갔다. 눈 돌릴 때마다, 걸음을 옮길 때마다, 이 학교의 아이들이 부럽기만 하다. 얘들아! 좋겠다. 이렇게 아름다운 학교에 다니고 있어서. 참 부럽구나!


JTG 0073-img-10.jpg



작은 식당의 정감 넘치는 국수


학교를 둘러보고 나오니 끼니를 해결해야 할 시간이다. 차를 몰아 식당을 찾아야 하나 고민하던 중에 길 건너 작은 식당을 발견했다. 이른바 ‘맛집’이라 부르는 유명식당을 찾는 것도 좋지만, 여행의 맛은 역시 동네의 작은 구멍가게를 발견하는 재미다. 늘 모험이지만, 승률이 낮지는 않다. 타율로 표현하자면 4할 이상은 되는 듯하다.


예닐곱 평쯤 돼 보이는 가게 외관에 식당 이름이 크게 붙었다. ‘옛날국수집’. 메뉴를 보아하니 육전국수가 이 집의 시그너처인 듯하다. 육전국수라…. 그러니까 국수 위에 육전을 얹어준다는 것 같다. 안쪽으로 발을 들이고 메뉴를 보니 고기국수도 있다. ‘제주도는 고기국수지.’ 고민 없이 고기국수 한 그릇을 주문한다. 그리고서 주위를 둘러보니 계란 프라이를 직접 해 먹을 수 있게 창 쪽으로 준비가 되어 있다. 제주의 그 흔한 여행지에서는 보기 힘든 정서다. 이렇게 고마울 데가. 식용유를 두르고 계란을 깨서 굽는다. 노른자가 익어갈 때쯤 소금을 살짝. 그렇게 만든 계란 프라이를 들고 오니 국수가 나왔다.


JTG 0073-img-11.jpg


주홍빛 채 썬 당근이 올려진 고기국수는 화려하지 않아도 충분히 먹음직스러웠다. 약간의 김가루와 약간의 깻가루. 얇게 썰어낸 돼지고기가 적당히 들어간 국수다. 후루룩 면을 입안으로 집어 넣는다. 고소한 감칠맛. 다른 곳에서 느끼지 못한 제주사람의 정이 느껴지는 것만 같은 그 맛. 국물도 좋고 면의 삶은 정도도 알맞다. 이번에도 모험은 성공이구나.


JTG 0073-img-12.jpg


홀로 국수를 먹는 낯선 이를 식당의 주인인 할머니가 흐뭇하게 바라본다. “참 맛있게 잘 드시네.” 덕담을 건넨다. “맛있게 끓여주셨으니 맛있게 먹어야죠. 정말 맛있네요.” 진심이었다. 모르는 이는 좀처럼 오지 않을 것만 같은 집. 그래서 더 좋았다. 계산을 하고 돌아서는데, 벽에 예전에 찍은 듯한 흑백사진이 놓였다. 할머니의 젊은 시절 모습인 듯했다.


JTG 0073-img-13.jpg


“어머님 사진인가 봐요.”

“네, 저도 그런 시절이 있었죠.”

“예나 지금이나 고우신데요. 기억에 오래 남을 것 같아요.”


주고받는 대화는 거기까지였지만, 듣지 않아도 알 것만 같은 지난 시간의 이야기가 사진에 담겨 있는 것 같았다. 그래서 기억에 오래 남을 것 같은 곳이었다. 오래오래, 제주의 성산으로 갈 때마다 찾아가고픈, 그런 식당이 거기 있었다.



JTG 0073-title.jpg


당근을 이야기하면 눈 건강을 먼저 떠올리게 한다. 이는 비타민 A가 풍부하기 때문. 사람의 눈 세포막에 걸쳐있는 광수용체인 로돕신 (rhodopsin)은 옵신 (opsin)이라는 단백질과 비타민 A의 한 형태인 레티날 (retinal)이란 색소분자로 이루어져 있다. 로돕신은 빛을 받으면 광화학 반응에 의해 레티날이 옵신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며, 이 과정에서 방출되는 에너지가 옵신을 활성화하여 간상세포를 흥분시킴으로써 시각을 형성하여 대뇌에 전달하는 것이다. 로돕신을 이루는 레티날은 바로 비타민 A로부터 공급된다. 당근 100g에는 하루에 필요한 비타민 A의 93%가 들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함께 베타카로틴, 엽산, 섬유질, 마그네슘 등이 많아 노화를 방지하고 배변 활동도 돕는다.



© 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