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

‘과연 체질은 몇 가지인가’ 하는 문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사상의학과 8체질의학이 임상의 대처에 유용하다면, 다른 숫자를 표방하는 여타의 체질론 또한 나름대로 유용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굳이 체질의 가짓수에 얽매일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다만 그 체질론이 일관된 논리와 형식으로 체계화되어 있고 또 인체에 적용하여 재현성 있는 효과를 지속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가가 핵심이다. 이런 의미에서 8체질론과 8체질의학은 현재, 사람의 몸을 바라보는 가장 탁월한 체질이론이며 치료체계이다.

체질을 알아도 살고 체질을 몰라도 산다. 자기의 체질을 알고 나서 더 잘 사는 사람이 있고, 자기의 체질을 알고서도 여전히 잘 못 사는 사람도 있다. 자기의 체질을 몰라서 계속 잘 못 사는 사람도 있고, 자기의 체질을 모르면서도 잘 사는 사람이 있다.

체질론에 대해서 알아야만 한다면 제대로 정확한 개념을 갖는 게 중요하다. 이 칼럼이 그 길을 쉽고 자상하게 안내할 것이다.
[학력]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경력]
• 8체질 전문 커뮤니티 Onestep8.com 개설
• 세명대학교, 대원과학대학 강사
• 성공회대학교 교양학부 외래교수
• 임상8체질연구회 창립

[저서]
『학습 8체질의학 Ⅰ/Ⅱ』, 『임상 8체질의학 Ⅰ/Ⅱ/Ⅲ』, 『개념8체질』, 『체질맥진』, 『시대를 따라 떠나는 체질침 여행』, 『8체질론으로 읽은 동의수세보원』, 『수세보원 들춰보기』

이강재
이강재

1988년 한의사가 되어 1997년 봄 8체질론을 접한 후, 지난 24년간 체질의학 연구에 몰두해 왔다. 커뮤니티 운영, 대학 강의, 저술과 서적 발간, 체질학교 강의, 연구회 활동, 임상 진료 등 다양한 경험을 통해 체계화시킨 정확하고 핵심적인 8체질 개념을 쉽게 전달하는 글을 쓰려고 한다.

프로필 바로가기

#03. 어느 별에서 왔죠?

 

LGJ 0002-main.jpg



동무 이제마(1837~1900) 공의 사상인론(四象人論)에서 태소음양인(太少陰陽人)의 이름은, BC 3세기경에 성립한 것으로 추정하는 중국의 고대 한의학서인 <영추(靈樞)>의 「통천편(通天篇)」에 있는 오태인론(五態人論)에서 왔다. 오태인이란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 음양화평지인인데, 동무 공은 여기에서 태소음양인만 가져온 것이다.


동무 공은 〈동무유고〉에 「성명론」에 관한 자주(自註)를 남겼는데, 소양•태양•소음•태음의 사상(四象)은 동•남•서•북의 네 방위라고 했다. 동서남북의 구분은 지구 위의 환경적인 조건의 차이를 나타내고, 사상인론은 철저하게 사람에 집중하고 있다.


동호 권도원(1921~ ) 선생의 8체질론은 동무 공의 사상인론이 모태이다. 동호 선생은 〈수세보원〉에서 한증(寒證)과 열증(熱證)으로 나뉘는 사상인의 병증론을 깊이 성찰하여, 여덟 가지의 병근(病根)을 도출해냈다. 병근이란 글자 그대로 병의 뿌리 (origin of desease)라는 의미다. 8병근은 1증과 2증으로 구분된다.


1증 (1st syndrome)은 가장 강한 장기가 더 강해지려는 경향을 갖는 것이며, 2증 (2nd syndrome)은 제일 약한 장기가 더 약해지려는 경향이다. 권도원 선생은 1962년 9월 7일에 탈고한 자신의 체질침(體質鍼) 첫 논문에서 이것을 정의했다. 「62 논문」에서는 사상인을 1증과 2증으로 나누어 8가지로 구분했다. 사상인에 해당하는 병리를 1증과 2증으로 나누었을 뿐, 이때는 논문에서 자신만의 이름을 부여하지는 않았다. 그런 후에 각각 주증(主證)과 부증(副證)에 대한 개별적인 체질침 치료 처방을 제시했다.


8체질론에서는 생명의 상징을 불(火)로 본다. 8체질론을 창시한 권도원 선생은 논문 「화리(火理)」에서 불이 가진 세 가지 성질을 화삼현(火三現)이라고 했다. 즉 광(光, 빛), 열(熱, 뜨거움), 력(力, 힘/움직임)이다. 그러니까 생명을 지닌 생명체는 이와 같은 세 가지 특성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태양을 중심으로 도는 태양계 행성들도 모두 생명체이다. 행성의 공전궤도가 태양에서 멀수록 행성 자체가 가진 힘이 그만큼 세다. 즉 수성보다는 토성이 상대적으로 더 센 힘을 가졌다는 뜻이다. 권도원 선생은 태양계 행성에 주목했다. 사실 이미 요일 이름에 행성의 이름이 들어와 있듯이 이런 관심이 특별한 것은 아니다.


지구를 기준으로 수성과 금성은 태양 가까이에 있고, 목성과 토성은 태양에서 멀다. 수성과 금성을 묶고 목성과 토성을 묶어서 비교하면, 수성과 금성은 태양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더 강하고, 목성과 토성은 태양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더 약하다고 가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8체질론과 8체질의학을 기본적으로 떠받치고 있는 권도원 선생의 통찰이다. 태양을 향해서 지구 밖에 화성이 있는데 화성의 의미와 역할은 별도로 있다.


권도원 선생은 지구상에 있는 모든 생명체가 가진 생명력의 기원은 지구 밖에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사람은 태양과 태양계 행성의 영향을 받고 있다고 보았다. 그런 발상의 전환이 1962년 9월과 1965년 사이에 있었다. 권도원 선생은 1965년 10월 20일에 공식적으로 처음 발표한 「1차 논문」에서, 동무 공의 사상인 즉 태양인 소양인 태음인 소음인을 대신할 새로운 이름을 제시했다. 그것은 금상인(金象人, Hespera), 토상인(土象人, Saturna), 목상인(木象人, Jupita), 수상인(水象人, Mercuria)이다. 수상인은 수성(水星)을, 금상인은 금성(金星)을, 목상인은 목성(木星)을, 토상인은 토성(土星)을 닮은 사람이라는 뜻이다. 8체질의 독자적인 이름은 별 이름에서 시작했던 것이다.



그대는 어느 별에서 왔죠?


토성을 보자. 다른 행성과 달리 토성에는 특별한 고리가 있다. 내가 지금 하려는 말이 황당하다는 생각이 들 수도 있다. 하지만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이론 체계는 가설과 상징이라는 것을 생각하면서 들어주시기를 바란다. 토상인은 위에서 토성을 닮은 사람이라고 했다. 사상인으로 구분하면 소양인이다. 그리고 8체질 분류로는 토양체질과 토음체질이다. 이 사람들이 가진 외향적이며 표출적인 성향이 토성에 있는 고리가 상징하고 있다고 나는 생각한다. 즉 토성의 고리는 ‘멋’ 부림인 것이다.


LGJ 0002-img-01.jpg

토성(土星, Saturn)


8병근이란 병리이다. 병리 이전에 생리가 있다. 생리에서는 금상인, 토상인, 목상인, 수상인에 각각 장질(臟質)과 부질(腑質)로 나누었다. 그리고 병리로서는 「62 논문」의 개념인 Ⅰ과 Ⅱ를 이어받았다. 1973년 9월에 발표한 「2차 논문」에 와서 권도원 선생의 체질론은 비로소 사상의학적인 개념으로부터 독립한다. 논문에서 권도원 선생은 자신의 이론체계가 8체질론이라고 분명하게 밝힌다. 그리고 8체질에 독자적인 이름이 주어졌다.


LGJ 0002-img-02.jpg


권도원 선생은 체질침 논문을 계속 영문으로 발표했다. 국제적인 발표와 인정에 주력했던 것 같다. 그래서 이후에도 8체질의 명칭은 국제명이 표준이다. 현재 대중에 널리 알려진 이름인 금양체질, 금음체질, 토양체질, 토음체질, 목양체질, 목음체질, 수양체질, 수음체질은 사실 국제명의 번역 명칭이다. 여러 차례의 변경을 거쳐 확정된 국제명은 라틴어로 표기한다.


Pulmotonia, Colonotonia, Pancreotonia, Gastrotonia, Hepatonia, Cholecystonia, Renotonia, Vesicotonia 이상의 8체질 (constitution)이다. 8체질의 국제명은 1980년대 중후반에 성립했다고 추정하고 있다.


LGJ 0002-img-03.jpg


국제명은 각 체질에서 가장 강한 장기를 표현한 것이다. 즉 금양은 폐, 금음은 대장, 토양은 췌, 토음은 위, 목양은 간, 목음은 담, 수양은 신, 수음은 방광이다. ~tonia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금양체질의 국제명은 Pulmo~ + ~tonia로 폐가 강한 사람이라는 뜻이다.


동무 공은 태양인이고 권도원 선생은 금양체질이다. 금양체질은 완벽주의 성향을 가지고 있다. 남들이 어떤 평가를 한다고 해도, 자신이 판단하기에 미심쩍은 바가 있으면 그것을 집요하게 해결하려고 한다. 그런데 그렇게 만든 체계를 쉽게 바꾸기도 한다. 일견 변덕쟁이라고 여겨질 수도 있다. 창시자는 체계를 만드는 사람이니 전권은 그 자신에게 있다.


권도원 선생은 8체질론의 모태가 사상인론이라는 사실을 드러내기를 꺼렸다. 8체질의 이름이 금, 토, 목, 수의 네 가지로 연상되는 것에 부담을 느꼈다. 그래서 번역 명칭을 계속 바꾸려고 시도했다. 아래의 표를 보면 1999년 10월에서 11월, 12월까지 한 달 차이로 다르게 말한 것이 보인다.


LGJ 0003-img-04.jpg


동무 공은 사상인을 동서남북에 배속했는데 이것은 태양이 하루 동안 움직이는 길이다. 반면에 권도원 선생은 8체질을 24절기에 배속했다. 이것은 태양이 1년간 움직이는 길(黃道)이다. 목양체질은 입춘, 목음체질은 춘분, 토양체질은 입하, 토음체질은 하지, 금양체질은 입추, 금음체질은 추분, 수양체질은 입동, 수음체질은 동지의 차례로 배열되어 있다.



© 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