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경력]
- KTX 매거진 기자
- 공감인베스터 팀장, 공감미디어홀딩스 기획팀장
- 2017 서울국제불교박람회 언론홍보 총괄 및 촬영팀장
- 월간 트래비·여행신문 객원기자
- 월간 불광 잡지팀 취재 및 편집기자
- 동방대학원대학교 전략기획실 연구원
- 법보신문 편집국 취재·편집기자

[기타 활동]
- 포항KBS ‘동해안 오늘’ 고정 패널 출연
- MBC ‘노중훈의 여행의 맛’ 패널 출연
- MBC ‘이 사람이 사는 세상’ 패널 출연
- KTX 매거진, 론리플래닛, 더트래블러, 웅진싱크빅북클럽 등 칼럼 기고
- 계간 문화공감, KOFIH 전담 객원 포토그래퍼
- 미붓아카데미 ‘21세기, 불교를 철학하다’ 진행 및 홍보

[수상 내역]
- 한국불교기자대상 ‘한국 불기 2550년 틀렸다’ 특별상 수상 (2006년)
- 제16회 불교언론문화상 대상 (법보신문 기획취재팀) 수상 (2009년)

[저서]
- 2016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 2018 『더 오래가게』

정태겸
정태겸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프로필 바로가기

제주 선흘 곶자왈과 보말칼국수

 

JTG 0083-main.jpg



제주는 국내 최고의 관광지로 손꼽기에 부족함이 없다. 심지어 그 깊은 곳에는 태곳적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듯한 원시림도 남아 있다.



동백이 피지 않는 동백동산


2021년 지난해 제주도를 방문한 관광객 수는 내‧외국인을 합쳐 1,200만 명에 달한다. 지난 연말 제주연구원이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제주의 관광수입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7조 3,600억 원, 코로나19가 발발한 2020년에는 전년 대비 45.9퍼센트가 감소한 3조 9,830억 원이었다. 어마어마한 수치다. 이쯤이면 자타공인 한국의 대표 여행지라고 할 만하다. 그만큼 제주도는 먹을 것, 볼 것, 체험할 것이 풍부하다. 가는 데마다 서로 다른 매력이 있어 자꾸만 찾게 만드는 힘이 있다.


곶자왈은 제주의 속살을 감춰둔 용암숲이다. 여행 중에 ‘곶자왈’이라는 명칭을 접한 이도 있을 테고, 아예 처음 보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제주 방언인 곶자왈은 두 개의 단어가 합쳐진 말이다. ‘곶’은 산 아래 숲이 우거진 곳, ‘자왈’은 나무와 덩굴 따위가 마구 엉클어진 곳을 의미한다. 화산 폭발로 흘러내린 용암이 굳어지고 불모지에 불과했던 곳에 시간이 흐르면서 온갖 생명이 자리 잡으면서 형성됐다. 나무와 넝쿨이 마구 엉켜있다는 건 그만큼 생태환경이 원시림에 가까울 만큼 잘 보존돼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JTG 0083-img-01.jpg  JTG 0083-img-02.jpg


제주에는 크게 네 군데에 걸쳐 곶자왈이 존재한다. 제주의 서쪽인 한경-안덕, 서북쪽의 애월, 동북쪽의 조천-함덕, 그리고 동쪽의 구좌-성산이다. 여기에 총 8개의 곶자왈이 분포하고 있다. 지도상으로 보면 서쪽에서부터 제주시를 따라 북쪽을 빙 둘러있는 형상이다. 곶자왈 지대는 대부분 해발고도 200~400미터 내외의 중산간 지역에 자리하고 있는 것도 특징이다. 이번에 찾아갈 곳은 조천읍 선흘리의 선흘 곶자왈. 이른바 동백동산이라고 부르는 곳이다.


JTG 0083-img-03.jpg


명칭에서처럼 이곳에는 동백나무가 많은 편이다. 동백이 붉은 꽃을 피우는 시기는 바로 지금. 여기서 하나 꼭 짚고 싶은 건, 최근 제주도 관광객이 너도나도 찾아가는 진분홍의 동백나무는 애기동백이다. 이는 일본이 원산지인 품종이고 개화 시기가 상대적으로 빠른 편이다. 우리 선조가 흔히 보았던 빨간 동백은 이제야 절정기를 맞이하는 중이다. 선흘 곶자왈에 자생하는 건 토종 동백. 그렇지만 이곳에서 붉은 꽃을 보기란 하늘의 별 따기보다 어렵다. 곶자왈의 특성상 온갖 수종이 뒤섞여 있는 데다 난대 수종이 많아서 동백이 살기 위해서는 하늘을 향해 자라야 했기 때문. 그래서 선흘 곶자왈의 동백은 가늘고 길쭉하게 키 높이 자랐다. 온몸으로 땅에서 빨아들인 에너지는 오롯이 위로 자라는 데 써야만 했고, 그 결과 꽃을 피우는 걸 포기한 셈이다. 명칭은 동백동산인데 동백꽃을 볼 수 없는 연유에는 이런 배경이 있었다.


JTG 0083-img-04.jpg


JTG 0083-img-05.jpg



숲에 남은 4.3 사건의 아픈 기억


예전 같으면 곶자왈 입구까지 접근하기도 쉽지 않았을 법하다. 숲 안쪽으로 들어서면 그런 생각이 더욱더 짙어진다. 그만큼 원시의 숲 그대로다. 다행히 곶자왈을 제주의 주요 관광 스폿으로 육성하려는 정책 덕분에 번듯한 도로를 따라 들어갈 수 있게 됐고, 널찍한 주차장도 마련돼 있다. 숲을 들어가기 전에는 반드시 이곳을 일주하는 주요 지점을 눈여겨 봐둘 필요가 있다. 가능하다면 휴대폰으로 안내판의 지도 사진을 찍어두는 게 좋다. 탐방센터에 들러 발열 체크를 하고 QR 인증을 하는 건 이제 어디를 가나 필수 과정이다.


JTG 0083-img-06.jpg


걸음을 옮길수록 머릿속에 떠오르는 건 캄보디아의 정글 한복판, 혹은 라오스 루앙프라방 외곽의 숲 어딘가의 풍경이다. 난대 수종이 가득한 원시림은 꼭 그런 모습이다. 좁은 오솔길을 따라 걷다 보면 이곳이 용암지대라는 걸 알려주는 현무암 무더기가 곳곳에서 모습을 드러낸다. 숲의 규모가 꽤 크다는 건 온몸으로 느껴진다. 그럼에도 한쪽 방향으로 나 있는 길만 잘 따라가면 헤맬 일은 없다.


JTG 0083-img-07.jpg


JTG 0083-img-08.jpg


이 숲의 특징 중 하나는 지하에 용암이 굳어져 생성한 암석층이 있어 비가 오면 빗물이 지하로 스며들지 않고 습지를 형성한다는 것. 이곳에 이토록 다양한 수종이 번성할 수 있었던 건 이런 습지가 곳곳에 있기 때문이다. 선흘 곶자왈을 대표하는 동백나무를 비롯해 개가시나무, 종가시나무, 구실잣밤나무, 황칠나무 같은 나무가 이곳의 터줏대감이 되었고, 그 아래로 순채, 통발, 남흑삼릉 같은 귀한 습지식물과 발풀고사리, 제주고사리삼, 홍지네고사리 같은 양치식물이 어울려 자란다. 물이 있고 우거진 숲이 있다는 건 사람이 살 수 있는 좋은 조건이 된다는 뜻. 예부터 선흘리 인근의 주민은 이 숲에서 나무를 구해 집을 짓고 숲속의 습지에서 물을 길어 밥을 지었다. 선흘 곶자왈을 대표하는 습지인 먼물깍은 인간이 숲에 깃들어 연명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흔적이다.


JTG 0083-img-09.jpg


JTG 0083-img-10.jpg  JTG 0083-img-11.jpg


한편으로는 이 숲에 아픈 기억도 남았다. 1948년 4월 3일의 학살. 미군정과 서북청년단이 몰고 온 칼부림은 1만 명의 죽음으로 이어졌다. 그 피바람을 피해 도망친 사람들은 이 곶자왈로 숨어들었고, 현무암 돌무더기로 얕은 성을 쌓아 무장대를 막으면서 피신 생활을 했다. 숲은 그네들을 숨겨주었고, 미약하나마 먹을 것을 내주었으며 마실 물을 제공했다. 우거진 숲은 그렇게 품이 넓었다. 다만 수십 년이 지난 후에 숲속으로 난 길을 걸으며 그때의 흔적을 마주하는 이의 마음은 무겁기만 하다. 그래도 이 숲이 있어 적잖은 생명이 살아남았을 테니, 그것은 그 또한 다행이리라. 이곳에서 그들은 희망을 꿈꾸었을 것이고, 이 숲은 그들에게 희망을 노래해 주는 숲이지 않았을까.


JTG 0083-img-12.jpg


선흘 곶자왈 안팎을 여행하는 코스는 크게 세 가지다. 그중 보통의 경우 선흘 곶자왈 안쪽을 걷는 바람길을 걷는데, 이 길의 길이는 5.1킬로미터다. 대략 한 시간 반에서 두 시간 정도 차분히 걸으면 완주할 수 있을 정도. 길 자체도 평탄한 편이고 정글을 연상케 하는 숲을 가로지르는 코스치고는 잘 정비돼 있어 큰 어려움 없이 다녀올 만하다. 다만 길을 걷던 중에 두 번 정도 갈림길을 만나게 되는데, 이때 정해진 방향을 잘 찾아서 가야 하는 점은 유념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마지막 갈림길에서는 다시 숲 안쪽으로 들어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JTG 0083-img-13.jpg



성읍민속마을의 명물


요즘 제주는 어딜 가나 먹을 것이 많다. 아쉬운 건 제주에서만 먹을 수 있었던 먹거리보다는 점점 외지인이 들어와서 내놓는 국적 불명의 무엇이거나 그럴싸하게 플레이팅한 먹거리가 훨씬 많아졌다는 점. 그나마 몇몇 가게에서 제주의 식재료로 만드는 제주만의 먹거리를 선보이고 있어 다행이라는 생각도 든다.


선흘리에서 차로 40분 정도 달리면 닿는 성읍민속마을 안의 장수상회도 그런 면에서 고마운 곳이다. 이곳의 주력 메뉴는 보말칼국수. 제주의 해녀에게 매입하는 보말을 넣어 만든다. 보말이란 바다 고둥을 뜻하는 제주도 방언이다. 제주도에서는 국이나 죽에 많이 넣어 먹는데, 요즘은 칼국수의 육수를 보말로 내는 경우가 꽤 많아졌다.


JTG 0083-img-14.jpg


JTG 0083-img-15.jpg


장수상회는 이 보말칼국수 하나로 성읍민속마을의 명물이 된 집이다. 칼국수 한 그릇의 가격은 1만 원. 상차림은 단정한 소반에 보말칼국수, 서비스로 제공하는 보말죽이 함께 나온다. 본격적인 식사 전에 보말죽부터 숟가락을 가져가 본다. 향긋한 보말의 풍미에 고소한 참기름의 향이 가득하다. 메인 메뉴인 보말칼국수 역시 눈부터 즐겁다. 칼국수 위로 푸른 빛깔의 파와 굵게 다진 고춧가루가 고추씨와 함께 흩뿌려져 있다. 주인장의 미적 감각이 엿보이는 순간이다. 가운데에는 속살을 빼서 잘 삶은 보말이 한가득 올려놓았다.


JTG 0083-img-16.jpg


후루룩 빨아당긴 국수의 면발은 적당하게 익어서 입술 사이로 미끄러지듯 흘러 들어가고, 고소하다 못해 구수한 육수의 맛이 입안을 적시는 기분. 사이사이에 유부가 씹혀서 쫄깃한 면발과 대조를 이뤄 씹는 즐거움을 준다.


순식간에 한 그릇을 뚝딱 비워내고 그릇을 내려놓는 순간 밀려오는 포만감. 시작부터 끝까지 눈과 입이 모두 즐거운 식사였다. 이만하면 이 가게의 명성이 오롯이 이해가 간다. 제주도의 동남쪽으로 여행을 갈 일이 있다면 매번 들렀다 가고 싶은 맛이다. 홀딱 반했다.



JTG 0083-title.jpg


보말이라 부르는 바다 고둥은 단백질이 매우 풍부한 식품이다. 반면에 지방은 적고 100g당 87kcal여서 다이어트에도 좋다. 단백질이 많음으로 근육의 손실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운동을 좋아하는 이에게는 더할 나위 없이 좋은 먹거리인 셈. 또 칼슘과 인이 풍부해 뼈 건강에도 이롭다. 이외에도 다양한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고 필수 아미노산, 무기질이 많아 간 기능 개선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 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