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경력]
- KTX 매거진 기자
- 공감인베스터 팀장, 공감미디어홀딩스 기획팀장
- 2017 서울국제불교박람회 언론홍보 총괄 및 촬영팀장
- 월간 트래비·여행신문 객원기자
- 월간 불광 잡지팀 취재 및 편집기자
- 동방대학원대학교 전략기획실 연구원
- 법보신문 편집국 취재·편집기자

[기타 활동]
- 포항KBS ‘동해안 오늘’ 고정 패널 출연
- MBC ‘노중훈의 여행의 맛’ 패널 출연
- MBC ‘이 사람이 사는 세상’ 패널 출연
- KTX 매거진, 론리플래닛, 더트래블러, 웅진싱크빅북클럽 등 칼럼 기고
- 계간 문화공감, KOFIH 전담 객원 포토그래퍼
- 미붓아카데미 ‘21세기, 불교를 철학하다’ 진행 및 홍보

[수상 내역]
- 한국불교기자대상 ‘한국 불기 2550년 틀렸다’ 특별상 수상 (2006년)
- 제16회 불교언론문화상 대상 (법보신문 기획취재팀) 수상 (2009년)

[저서]
- 2016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 2018 『더 오래가게』

정태겸
정태겸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프로필 바로가기

고흥 쑥섬 마을 당숲과 해물국수

 

JTG 0087-main.jpg



고흥의 작은 섬은 ‘고양이섬’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그만큼 고양이가 많다. 요즘은 언제나 꽃이 만발하는 섬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 꽃밭을 찾아 여행자가 수시로 찾아든다. 그런데 진짜 주인공은 따로 있다. 섬 안의 난대림이다.



꽃게펜션과 갈매기카페


이 섬의 이름은 애도. 쑥섬이라는 다른 이름도 있다. 우리말인 쑥섬을 한자로 쓴 것이 애도다. 애도의 ‘애’가 쑥 애(艾)다. 그럼 이 섬에서 쑥이 많이 나오냐면 그건 아니다. 쑥의 질이 좋다. 다시 얘기하자면 쑥이 맛있다는 의미다. 아쉽게도 아직은 쑥이 보이지 않아 맛을 보지는 못했다. 섬 자체는 무척 작다. 2만 1천 제곱미터 (약 6,350평) 정도다. 비교하자면 약간 큰 정도의 공원 수준이다. 섬 전체를 돌아보는 데 한 시간 반이면 충분하다. 섬을 여행할 때는 오전에 들어가는 게 좋다. 쨍한 아침 공기에 시야가 훨씬 맑기 때문이다. 상쾌한 느낌도 배가된다. 이렇게 작은 섬을 잠시 들러 여행할 생각이라면 오전 시간에 들어가는 게 현명하다.


쑥섬으로 들어가는 배는 나로도항에서 뜬다. 이제는 한국의 첨단 우주산업의 본거지라는 입지가 단단하게 구축된 섬이다. 외나로도와 내나로도로 나뉘어 있는데 육지에서 들어가기 편리하게끔 다리가 놓였다. 본디 우주로 발사하기 위한 로켓이나 기타 장비를 실어 나르기 위해 놓은 다리였겠지만, 그 덕에 여행자가 들어가기에도 무척 수월해졌다.


JTG 0087-img-01.jpg


나로도항은 쑥섬 바로 앞이다. 배를 타면 5분 만에 쑥섬에 도착한다. 쑥섬행 배는 쑥섬 전용이다. 과거에는 쑥섬으로 들어가기 위해 별도로 배를 띄워야 했는데, 섬에 살고 있던 주민들이 무척 불편해했다. 다행히 쑥섬의 고양이 무리가 유명세를 타면서 여행자가 점차 늘었고, 그 덕에 ‘쑥섬호’라는 전용 배편을 마련할 수 있었다. 아이러니한 것은 섬의 주민들은 ‘고양이섬’이라고 부르는 걸 그리 달갑게 여기지 않는다는 사실.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지만, 보여줄 게 많은 섬인데 고양이에게 그런 자리를 모두 내어주는 듯한 느낌이 싫어서가 아닐까 짐작해 볼 뿐이다.


JTG 0087-img-02.jpg


선착장에서 내리면 재밌는 건물이 여럿 보인다. 꽃게의 집게발을 지붕에 단 꽃게펜션이 있고, 그 곁에는 이 섬에서 하나뿐인 카페이자 식당인 갈매기카페가 있다. 공중화장실도 이 카페가 유일하다. 이름이 갈매기인데 이 건물도 평범할 리 없다. 이 건물의 지붕에는 갈매기의 대가리가 우뚝 솟았다. 꽃게펜션과 갈매기카페가 불과 50미터 정도 거리를 두고 서 있는데, 보자마자 웃음이 터진다.


섬을 일주하는 탐방로는 갈매기카페 바로 옆에서 시작한다. 얼핏 보아선 숲으로 들어가는 입구처럼 보이지 않아서 반드시 배를 타기 전 나눠주는 팜플렛을 잘 살펴야 한다. 이 팸플릿은 여러모로 유용하니 잘 가지고 다니자.


JTG 0087-img-03.jpg



마을을 지키는 당숲의 육박나무


섬의 탐방로 시작점인 이 길에는 이른바 ‘헐떡길’이라는 별명이 붙어 있다. 하지만 그다지 헐떡거릴 일이 없다. 경사가 조금 있긴 하지만 초등학교 5~6학년도 “이게 왜 헐떡길이야?”라고 물어볼 만큼 걷기에 수월하다. 이 길은 울창한 숲을 관통한다. 이 숲이야말로 쑥섬의 주인공이다. 보통은 쑥섬 정상부에 조성한 꽃밭만 생각하고 지나치기에 십상인데, 이 숲은 꼭 천천히 음미하면서 걸을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이런 수준의 원시 난대림을 다른 곳에서 만나기가 쉽지 않다. 하늘을 가리는 상록수가 빽빽하고 발치에는 이름 모를 온갖 식물이 사시사철 모습을 바꿔가며 얼굴을 내민다. 한국의 해안가와 섬에서 흔히 볼 수 있었다는 후박나무도 큼지막한 몸체를 그대로 드러냈다. 이 후박나무는 ‘당할머니나무’라고도 불린다. 그러니까 이 후박나무는 마을을 지키는 수호신이요, 이 숲은 그런 당나무가 자라는 당숲인 거다.


JTG 0087-img-04.jpg


이 울창한 원시림은 그 역사가 400년에 가깝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쑥섬의 주민은 이 숲에서 당제를 지냈다. 제를 지내는 동안 개나 닭이 울면 무효가 된다고 해서 이 섬에는 개와 닭이 없다. 심지어 일반 아낙도 이 숲에는 출입 금지였다고. 지금 생각하면 불합리한 처사인 것 같지만, 그때는 그런 문화가 팽배해 있던 시절이었다. 대신 그만큼 온갖 정성으로 가꿔 400년의 시간이 지나도록 원시림이 보존될 수 있었다.


JTG 0087-img-05.jpg


이 숲의 후박나무에는 “이 섬을 먹여 살렸던 할머니 같은 나무”라는 설명이 붙어 있다. 기울어진 모습이 나이 지긋한 할머니의 등을 연상케 하기도 하고, 굽어진 가지에는 어머니의 젖가슴과도 같은 봉긋한 모습도 보인다. 쑥섬의 주민들은 실제로 이 나무가 젖을 내어 나로도의 사람들을 먹여 살렸다고 생각한다.


JTG 0087-img-06.jpg


JTG 0087-img-07.jpg


이 난대림에는 다른 곳에서 보기 힘든 슈퍼스타가 하나 더 있다. ‘해병대나무’, ‘국방부나무’라고 불리는 육박나무다. 그런 별칭이 붙은 건 나무의 수피 때문이다. 마치 해병대의 군복처럼 알록달록하다. 이 나무는 남해안 일부에만 자생하고 있다. 매우 귀한 수종이다. 나무는 굉장히 단단해서 예전에는 헬리콥터의 프로펠러를 만드는 데 쓰기도 했단다. 그런 육박나무가 난대림 곳곳에서 모습을 드러낸다. 수목원에서조차 보기 어려운 몸이라 이 나무만 보러 쑥섬을 간다고 해도 이상하지 않을 정도다.


JTG 0087-img-08.jpg JTG 0087-img-09.jpg


난대림을 벗어나면 눈앞으로 아름다운 다도해의 풍광이 모습을 드러낸다. 날씨가 좋은 날은 멀리 거문도까지 눈에 들어온다. 그 길을 따라 조금만 더 올라가면 최근 쑥섬의 자랑거리로 자리 잡은 꽃밭이다. 여기까지 올라오지 않으면 볼 수 없는 곳이어서 비밀정원과도 같다. 이곳으로 귀촌한 김상현, 고채훈 부부가 2000년부터 가꿔온 이 꽃밭은 3월 말부터 수선화, 팬지, 여름에는 수국군락까지 온갖 꽃이 만발한다. 그 아래로 그 아래로 내려가면 오래전부터 자생하고 있는 동백의 군락. 지금부터 3월 말, 4월 초까지 빨간 꽃이 통째로 떨어져 빨간 카펫을 이룬다.


JTG 0087-img-10.jpg


JTG 0087-img-11.jpg



매생이의 단맛이 더해진 시원한 국물


이 작은 섬에 먹거리에 대한 기대를 품는다는 게 어쩌면 무리일지도 모른다. 그나마 유일한 식당인 갈매기카페에서 먹거리나 마실 거리를 팔고 있는데, 누구나 큰 기대를 하지 않는 편이다. 하지만, 그냥 나간다면 후회할 법한 맛있는 먹거리가 있다. 가장 인기가 많은 건 버거다. 속을 알차게 채운 버거가 간편하게 한 끼를 해결하기에 안성맞춤이다. 맛도 시중의 프랜차이즈와 비교해 절대 떨어지지 않는다.


JTG 0087-img-12.jpg


그러나 정말 의외였던 건 겨울 메뉴로 팔고 있는 해물국수. 담음새도 예쁜데 해물이 무척 푸짐하게 들어갔다. 겉으로만 봐도 건새우, 홍합, 굴, 다시마, 북어가 풍성하다. 어떤 요리든 이 정도로 해산물을 넣으면 맛이 없을 리가 없을 정도. 국물이 정말 시원하다.


JTG 0087-img-13.jpg


화룡점정은 낙지다. 크지 않은 낙지를 질기지 않게 삶아 국수에 함께 넣었다. 이것을 집게로 집어 가위로 잘라서 먹으면 된다. 여러 해산물로 국물을 냈겠거니 했는데, 정작 이 국물에서 80퍼센트 이상의 지분을 가진 재료는 따로 있었다. 겨울의 별미, 매생이다. 왜 이 국수가 겨울 메뉴인지를 알게 해 주는 재료다. 매생이가 들어간 국물은 달다. 설탕 따위가 내는 혀를 자극하는 단맛이 아닌 풍부한 감칠맛 뒤로 입안을 물들이는 은은한 단맛이다. 마치 잘 끓인 매생이 떡국을 먹는 것만 같다. 그럼에도 매생이를 너무 많이 넣지는 않아서 다른 해물의 맛과 훌륭한 조화를 이룬다. 이 국수를 만드는 사람이 얼마나 뛰어난 균형감을 가진 인물인지가 엿보인다.


JTG 0087-img-14.jpg


심지어 국수까지 매끈하게 잘 삶았다. 이런 관광지에서 파는 소면은 ‘적당히’ 삶기가 정말 어렵다. 다른 메뉴를 신경 쓰다 보면 국수를 건져야 하는 타이밍을 맞추기 힘들다. 그래서 퍼진 식감이거나 아주 드문 확률로 덜 익은 소면이 나오기도 한다. 그런데 이곳은 소면의 탄력이 완벽하다. 미끈한 식감까지 잘 살렸다. 이쯤 되면 국수의 달인급이 아닐까 싶을 만큼. 쑥섬에 들어갈 생각이라면, 이 메뉴가 사라지기 전에 꼭 먹어봐야 할 음식이다.



JTG 0087-title.jpg


매생이는 남해안에서 주로 자라는 녹조류다. 하지만 의외로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해 있는 식재료이기도 하다. 11월 중순에 유체가 나타나 5월 말쯤이면 모습을 감춘다. 미네랄이 풍부하고 철분이 다량 함유돼 있어 빈혈을 앓는 이에게 권장한다. 철분의 함량이 100g당 43.1mg으로 우유의 40배에 달한다. 술 마신 다음 날 숙취의 원인이 되는 아세트알데히드 (acetaldehyde)를 분해하는 아스파라긴산 (asparaginic acid)도 들어있어 숙취 해소에도 좋다. 베타카로틴 (β-carotene)이 많아 눈의 피로를 줄여주기도 하고 칼슘이 풍부해 골밀도를 강화해 주는 기능도 한다. 항암 효과가 뛰어난 클로렐라 (chlorella) 성분은 유해한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암을 유발하는 세포를 막기도 한다.



© 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