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 넘어 만난 한의학

일찍이 지방의 여고를 졸업하고 보무도 당당하게 서울 유학 생활을 시작한 이후, 멋지고 훌륭한 한의사가 되겠다며 인생의 한 폭 그림을 다부지게 그려 나가던 시절이 있었다. 해외여행이 자유롭지 못했던 당시, 나름 국제적 감각을 익힌다며, 과 동기들과 함께 회기동 63번 버스로 김포국제공항에 도착하여, 들어오고 나가는 사람들, 눈물로 그들을 포옹하는 가족 친지들의 모습을 보며, 미래 한의학을 향한 어떤 마음을 다지며 돌아오곤 했었다.
좁은 울안에서 대롱으로 보던 세상을 넘어 더 멀리 더 높이 나는 새가 되고 싶었던 젊은 시절의 꿈은 내 인생 최고의 전환점을 만들어 주었다. 그 단편 단편들에서 만났던 한의학 언저리 평생의 인연들은 아름다운 구슬로 엮어져, 오늘날 나의 삶에 든든한 지침돌이 되어있음을 감사히 여기며, 퇴직한 여교수의 한의학 인생 에피소드 몇 대목을 함께 나눠보고자 한다.
[학력]
1980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한의학사)
1982 대만중국의약대학 대학원 졸업 (중의학석사)
1986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졸업 (한의학박사)

[경력]
1987-2020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
2005-2014 과학기술부 우수연구센터(SRC) 침구경락과학연구센터 소장
2014-2017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
2006-현재 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2008-현재 대만중국의약대학 객원교수
2020-현재 경희대학교 고황명예교수(정년연장)

[저서]
<흐름의 철학 경락> 및 침구경락경혈학 관련 서적 다수

이혜정
이혜정

1980년 경희대학교 졸업 직후, 한의계 최초로 해외 유학을 시도하였고, 귀국 후 모교 교수로 30여 년간 연구와 강의에 종사하였음. 과기부 우수연구센터(SRC)인 침구경락과학연구센터 소장 및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 등을 역임하였고, 현재는 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이면서 경희대학교 고황명예교수로 근무 중임.

프로필 바로가기

#06. 국제화라는 명제

 

LHJ 0006-main.jpg



일찍이 아널드 토인비 (Arnold Joseph Toynbee)는 ‘문명은 도전에 대한 응전의 산물’이라 말했던가! 1993년 즈음하여 3~4년간 이어진 한약분쟁을 다시 떠올려본다. 때마침 개혁을 요구하는 세계적 물결에 발맞추어 제도적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한의학 패러다임 구축을 위한 몸부림이 시작되었다. 3~4천 명의 한의대 학생들이 대량 유급을 각오하고 국가고시마저 거부하면서 벌어진, 유사 이래 없던 대형 사태가 발생한 것이다. 전 국민이 안타까움으로 지켜보던 이 일들은 한의계 아픈 역사의 하나로 기록되었으나, 결국 단합된 힘으로 그 고통을 딛고 일어나 한 단계 더 도약하고 발전할 수 있었던 것 또한 다행스러운 일이었다.


이런 와중에 나 자신 또한 개인적 도약을 꿈꾸던 중, 미국 아이비리그 중 하나인 펜실베이니아대학 (U.Penn) 수의과대학에서의 연구년 기획이 성사되었다. 좀처럼 교환교수 초청장을 받기가 어려웠던 그 시절, 대만 지도교수의 친구인 Dr. Peter Hand 교수가 선뜻 초청장을 보내주었던 것이다.


대만 유학 시절에 이어 또다시 외로운 투쟁이 시작되었다. 말과 개를 연구의 주 대상으로 삼고 있던 실험실 입구에 들어서니 노랑 빨강 해골 표지의 방사성 동위원소 취급 표식이 나의 첫 방문을 환영해 주었다. 게다가 특별 교육을 통하여 그 안에서는 어떤 음식 섭취도 허용이 안 되는 등의 엄격한 규율들이 주어지니, 본 게임으로 들어가기도 전에 몸과 마음은 두려움으로 오그라들었던 기억이 있다.


어느 정도 실험실 환경에 익숙해지자 세 사람이 팀을 이룬 가운데 오토라디오그래프 방법 (autoradiograph)을 활용한 침 연구를 기획하였다. 방사능 처리가 된 흰쥐에 침 자극을 한 후 적출된 뇌의 냉동 절편 슬라이드 사진을 분석하고 결과를 측정하는 과정들이 매일 반복되었는데, 이때 만일 어느 한 곳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실험 전 과정을 다시 또 시작해야 하는 고단한 상황도 겹쳐 일어나곤 했다.


한편, 피곤에 지친 하루를 마감하는 퇴근 시간이 분명 즐거워야 함에도 불구하고 또 다른 속성의 두려움에 떨어야 했다. 캠퍼스 내 연구실이 필라델피아 다운타운 (소위 할렘가 근처)에 있었는데, 여기저기 길바닥에 누워있는 사람 형상이 하얀 스프레이로 그려져 있는 거리를 지나, 납치, 강도 사고마저 빈번한 주차장까지 홀로 주변을 살피며 매일 밤 걸어가야 했으니 말이다. 물론 캠퍼스 내에 자리하고 있는 경찰에게 보호 요청을 할 수도 있었으나 매일 그러기도 쉽지 않은 일이었다.


노란 해골 표지의 실험실 환경과 카재킹 (carjacking)이 빈발하던 주차장 풍경을 오버랩 시키다 보니, 목숨까지 걸고 임했던 외로운 연구년의 추억이었구나 싶어 쓴웃음이 나온다. 짧은 기간 어려운 과정의 실험이었기에 그저 맛만 본채 완성된 결과는 얻어낼 수 없었다. 이후 한국으로 돌아와서도 이를 재현시킬 수 있는 여건 (방사성 물질 취급 실험실)도 안되었고 나 자신의 흥미 결여로 그냥 유야무야되었는데 솔직히 아쉬움보다는 다행으로 여기고 있다.


귀국길에 오르기 전 캘리포니아 주변을 잠시 여행하던 중, 간간이 회색빛 선인장과 잡풀만 보이던 척박한 모하비 사막을 지나게 되었다. 대여섯 시간 이어진 지루한 주행에 여행객 대부분이 졸고 있던 그 시간, 갑자기 가이드가 “저 앞을 보세요!”라며 외치는 고함에 놀라 벌떡 일어나 보니 짙푸른 오아시스가 차창 밖에 펼쳐져 있는 게 아닌가! 거기에는 바로 미국 서북부의 거대한 후버댐의 젖줄, 콜로라도강이 거친 사막 한가운데를 담담히 흐르고 있었다. 그리고 강 양변에 길게 이어지고 있는 푸른 초원의 띠, 그 희한한 풍경을 가이드는 열심히 설명하고 있었다.


회색빛 사막 속, 기다란 강변에 늘어진 짙푸른 초원...?

“유레카!”

역시 내 몸속 DNA는 여기에서도 어김없이 음양오행 생명 정보가 흐르는 지구 행성의 경락을 발견해내었고 그 순간 나는 숨이 멎는 듯한 감격 속에 있었다.


세계화 시대를 사는 지금이야 많은 사람이 국제파가 되어 맘껏 여행을 즐기고 있지만, 1970~80년대는 해외 자유여행이 불가능한 시대였다. 그리고 1993~4년쯤에 이르러서야 김영삼 대통령이 처음으로 “세계화” 바람을 불러일으켰던 정도였으니 더불어 외국어 대화 가능자도 귀했던 시절이었다. 그 때문에 어설프게 몇 년 익힌 중국어와 영어로 여기저기 해외 행사만 있으면 불려 다니는 일이 허다했다. 쉴 새 없이 고개를 돌리며 상대의 말을 전달해야 하는 통역이라는 그 일, 물론 보람도 컸지만 고달프고 서러운 적도 많았다.


특히 식사 자리에서의 통역이 그랬다. 서로서로 교대로 밥 먹고 대화하는 즐거운 자리에서 통역자는 도저히 밥 한술도 입에 넣을 타임이 안 나온다. 미리 밥이라도 먹여가면서 부려야 되는 게 상식일진대, 대부분 나를 초청한 어른들 (총장님, 회장님, 학장님... 등등) 누구도 나의 허기짐을 챙겨주지도 인식하지도 않았다. 경험이 부족했던 어린 나이에 의사 표현도 제대로 못 한 채 쫄딱 굶은 배 움켜쥐고 지쳐 귀가하는 일이 허다했다. 그 때문일까? 난 어떤 경우이든 식사 자리에 앉으면 내 시야에 들어오는 모든 사람의 식사 동향을 살피는 습관이 들어버렸다. 혹시라도 누가 대화에서 소외되고 있거나, 채식주의자 누군가가 스테이크 접시에 손도 못 대고 있거나, 외국인의 경우라면 한국 음식이 입에 안 맞는 등의 상황이 있으면 즉각 나의 레이더에 잡혀버린다.


어쨌든 유학과 연구년의 경험에 이어 국제관계 회의나 행사에 자주 참가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대학 본부에서도 국제교류처 위원으로 활동하게 되었고, 해외 한의학 관련 대학이나 연구소와의 실제적 교류나 MOU 체결 등의 일에 참여하는 일도 잦아졌다.


그러던 중 대학 내에 국제한의학교육원 (ISOM: International Studies for Oriental Medicine)이 문을 열게 되었다. 영문으로 된 한의학 교재나 강사진조차 전혀 준비되지 않았던 상황이라 아직은 시기상조라며 반대 의견을 제일 강하게 외친 나에게 얄궂게도 운영의 총책임이 맡겨졌다. 결국 해외 의료계 관련 대학과 기관에 우리 대학과 병원의 교육 및 임상 내용을 소개하는 수천 장의 홍보 팸플릿을 발송하면서, 1997년 봄, 일차로 드디어 15명의 신입생 (해외 국적 의료인)을 뽑아 참으로 어렵게 첫 강의를 시작하게 되었다.


그러나 당시 외국인들의 병원 참관에 익숙지 못했던 우리 병원의 문화는 불친절함으로 오해를 받았고, 게다가 언어소통의 문제까지 겹치니 결국 불만들이 쌓인 끝에 수업료를 돌려달라는 데모까지 일어나기도 했다. 그 소동을 잠재우고 달래며 행사를 진행해야 했던 상황을 생각하면 아직도 등골이 서늘해진다. 이후 오랜 세월이 흐르는 동안 미국의 스탠퍼드, 존스홉킨스, 하버드 등 이미 대체의학연구소나 클리닉이 설치되어 있던 대학 또는 병원에서 침 치료 기술에 대한 관심을 표명해오면서 MOU 체결과 함께 공동연구와 활발한 인적교류가 이어지면서 현재까지도 그 명맥이 유지되고 있다.


본시 ‘국제화’라는 명제는 쌍방향이 되어야 한다는 평소 생각이 있었다. 한국으로 많은 외국 의사들이 들어와 한의학을 배우기도 하면서, 동시에 한국의 한의사들이 해외 곳곳으로 진출하여 한의학 지식을 확장해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시작한 일이 또 하나 있었다. 국제한의학교육원 내에 미국 NCCAOM 시험 준비 과정을 개설하는 일이었다. 미국에서 개업한 한의사 한 분이 뜻을 함께하고 싶다며 강사를 자청하였고 예상 시험문제지를 공유해 준 덕분에 비로소 또 다른 의미의 국제화 작업에 첫발을 내딛게 되었고, 이것이 곧 상당수의 한국 한의사들이 미국 한의사 면허증을 소지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NCCAOM (National Certification Commission for Acupuncture and Oriental Medicine, 미국 연방 한의사 시험 주관처)


훗날 이 사업의 더 큰 파급효과를 위해 운영권을 민족의학신문으로 이양시킨 이후 나는 더 이상 관여하지 않았지만, 2000년 여름 어느 날, 한의대 분교 설치 미션을 가지고 미국 남가주대학에 잠시 교환교수로 있을 때, 한 무리의 한의사들이 미국 한의사 시험을 치르려 방문했다는 소식을 들으며 마음이 참 흐뭇했던 기억이 새롭다.



© 이혜정 교수의 담 넘어 만난 한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