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 넘어 만난 한의학

일찍이 지방의 여고를 졸업하고 보무도 당당하게 서울 유학 생활을 시작한 이후, 멋지고 훌륭한 한의사가 되겠다며 인생의 한 폭 그림을 다부지게 그려 나가던 시절이 있었다. 해외여행이 자유롭지 못했던 당시, 나름 국제적 감각을 익힌다며, 과 동기들과 함께 회기동 63번 버스로 김포국제공항에 도착하여, 들어오고 나가는 사람들, 눈물로 그들을 포옹하는 가족 친지들의 모습을 보며, 미래 한의학을 향한 어떤 마음을 다지며 돌아오곤 했었다.
좁은 울안에서 대롱으로 보던 세상을 넘어 더 멀리 더 높이 나는 새가 되고 싶었던 젊은 시절의 꿈은 내 인생 최고의 전환점을 만들어 주었다. 그 단편 단편들에서 만났던 한의학 언저리 평생의 인연들은 아름다운 구슬로 엮어져, 오늘날 나의 삶에 든든한 지침돌이 되어있음을 감사히 여기며, 퇴직한 여교수의 한의학 인생 에피소드 몇 대목을 함께 나눠보고자 한다.
[학력]
1980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한의학사)
1982 대만중국의약대학 대학원 졸업 (중의학석사)
1986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졸업 (한의학박사)

[경력]
1987-2020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
2005-2014 과학기술부 우수연구센터(SRC) 침구경락과학연구센터 소장
2014-2017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
2006-현재 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2008-현재 대만중국의약대학 객원교수
2020-현재 경희대학교 고황명예교수(정년연장)

[저서]
<흐름의 철학 경락> 및 침구경락경혈학 관련 서적 다수

이혜정
이혜정

1980년 경희대학교 졸업 직후, 한의계 최초로 해외 유학을 시도하였고, 귀국 후 모교 교수로 30여 년간 연구와 강의에 종사하였음. 과기부 우수연구센터(SRC)인 침구경락과학연구센터 소장 및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 등을 역임하였고, 현재는 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이면서 경희대학교 고황명예교수로 근무 중임.

프로필 바로가기

#07. 퀀텀 점프

 

LHJ 0007-main.jpg



해외 자유여행이 허용되지 않았던 시절에 겪었던 대만 유학과 미국 연구년 생활은 즐겁고 아름다운 추억보다는 긴장과 고행의 기억으로 채색되었음을 일찍이 고백하였다. 그럼에도 나의 고유 영역을 벗어나 처음 경험했던 바깥세상 학문의 세계는 좁고 어두웠던 눈과 귀를 더욱 뜨이게 해주었으니, 한 단계 개인적 도약을 이루어냈다고 말해도 과장은 아닐 듯하다.


귀국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우리나라에도 세계화의 바람이 불었고 연구의 국제 경쟁력 강화가 화두로 등장했던 시점에 맞추어, 드디어 우리 한의계에도 그러한 도약이 이루어졌다. 한의계 전 구성원들의 희생과 눈물, 땀의 열매로 1994년에 한국한의학연구원 (KIOM)이 설립되었고, 이어 1998년에 복지부 한방치료기술개발사업이 시작된 것이다. 대한민국 정부출연기관, 그리고 국가 연구지원사업이라는 튼실한 날개를 단 새로운 한의학문 역사가 출발하게 된 셈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훗날 한의계 전체, 특히 침구경락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학술적 성과들이 쌓여 전 세계 많은 연구자들 속에 좋은 모델로 자리 잡게 된 것 또한 큰 열매로 여겨진다.


펜실베이니아대학 연구년을 계기로 그동안의 연구 성과들을 분석하고 발전된 방향을 모색하면서 새로운 마음으로 바쁘게 연구실은 돌아가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서울 홍릉의 카이스트로부터 협동연구 하나를 제안받았다. 미국 어바인대학 방사선물리학과 교수였고 세계 최초로 양전자 단층촬영기를 개발한 저명한 학자 조장희 박사와의 만남은 이때 시작되었다. 양 대학의 교수와 조교들 (경희대-박종배·박히준, 카이스트-정순철)이 모여 여러 차례의 학술적 토론을 진행하고 연구 방향과 방법들을 고민한 끝에 최종적으로 연구 주제가 결정되었다.


기존에 활용해 왔던 연구 방법, 즉 ‘침 자극 후의 치료 효과’만을 보는 단순 작업을 뛰어넘어, 원전의 경락학설에 근거한 선혈 원칙을 바탕으로 원위취혈 자침을 한 후, 경락의 흐름을 좇아 뇌 속 종착역에서의 신호를 탐지하는 것으로 연구 방향이 정해진 것이다.


다시 말하면, 족태양방광경의 새끼발가락 끝 지음혈에 자침한 후, 눈 안쪽에 자리하며 시각 기능을 다스리는 정명혈까지의 경맥 연결 노선을 추적하려는 의도 하에, 대뇌 시각영역을 대상으로 침 자극 신호의 뇌 매핑 여부를 f-MRI 영상 촬영을 통해 관찰하는 것이었다. 세계 최초로 시도되는 이 실험이 만약 성공을 거둔다면, 바야흐로 ‘자침을 통한 12경맥 흐름의 brain mapping’도 가능할 것이라는 큰 기대감으로 밤잠을 설치기도 했다.


드디어 기나긴 노력 끝에 본 연구 결과는 1998년 PNAS에 게재되는 쾌거를 이루었고, 전 세계 관련 학계에서는 큰 반향과 함께 다양한 찬반 견해들을 내어놓으며 관심을 표방해왔다. 또한 이에 힌트를 얻었던 하버드대학 Dr. Hui 연구실에서는 시각영역과 구별되는 청각영역을 대상으로 침 자극과의 관련성을 추적하는 등, 전 세계 많은 연구실에서 관련 연구를 재현시키는 일이 지금껏 지속되고 있으니, 초기 우리의 연구 결과는 침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실로 엄청난 퀀텀 점프 (Quantum jump)를 이룬 셈이었다.


이와 동시에 우리는 또 다른 도약으로의 행진을 기획하고 있었다. 1997~1998년쯤에는 교육부에서 지원하는 ‘Brain Korea 21 (BK 21)’ 프로젝트가 발표되면서 전국의 크고 작은 대학들이 이에 대해 큰 관심과 우려를 표방하며 술렁거리고 있던 때였다. 정부의 이런저런 조정 끝에 발주된 ‘BK 21’ 프로젝트의 주제로 우리 대학은 ‘한의학 연구중심대학원’을 만들기로 하면서, 총체적 기획 및 상세 작업을 위해 십여 명의 한의학·행정·경영·법제 등 교수 드림팀이 구성되었다. 교직원, 조교들의 행정 지원까지 받아 여러 차례 강원도 산속에서 합숙까지 하며 밤낮없이 작업했던 기억은 아직도 머릿속에 신선한 도전의 경험으로 기억되고 있다. 그리고 한 달쯤 후에 드디어 한·양방·의생명과학이 어우러진 두툼한 제안서가 만들어졌다.


다행히 그러한 노력의 결실로서, 매우 높은 경쟁률을 뚫고 ‘BK 21’의 첫 주자의 대열에 합류하게 되었으니, 현재 경희대 국제캠퍼스에 자리한 동서의학대학원은 1999년 9월 힘찬 포효와 함께 그렇게 출발하게 되었다. 나 또한 BK 책임교수로서 한동안 서울을 떠나 수원 사람이 된 채, 대학원 안에 구성된 침구경락융합연구팀 (이혜정·심인섭·함대현 교수와 박히준·이향숙·채윤병·김희영·이봄비·염미정·류연희 등 다수의 대학원생 연구원)을 이끌면서, 침 연구의 독보적인 패러다임 변화와 발전을 이루기 위한 새로운 꿈을 꾸기 시작하였다.


기억을 떠올려 보면, 당시 대학원 내에 총 여섯 팀이 서로 경쟁 관계를 이루며 연구 진흥을 위해 분투하고 있었는데, 한 해를 마무리하며 갖는 총평가에서 언제나 우리 침구 연구팀이 개인 및 단체 부문에서 인센티브를 독차지했던 것도 어려운 도전 속에 가졌던 큰 보람 중의 보람이었고 이때부터 틈틈이 쌓인 연구업적들이 이어져, 오늘날까지 내려오지 않았나 생각해 본다.


한편, 2002년은 한일 월드컵으로 전 세계의 이목이 대한민국으로 쏠린 가운데 붉은 악마들의 함성과 북소리가 천지를 울리던 때였다. 어느 날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의과대학 Michael Lee 교수라는 분이 수원의 내 연구실을 방문하였다. 왜, 어떻게 낯선 여기까지 오게 되었는지 물으니, 미국 국립보건원 (NIH)에서 처음으로 발주한 ‘대체의학 국제공동연구’ 프로젝트에 함께 지원할 팀을 찾으러 한국, 중국, 일본, 대만 여행을 계획하면서, 제일 먼저 한국 경희대를 방문하였고, 대학 총장의 지명으로 우리 연구실까지 오게 되었노라 답한다. 안 그래도 새로운 목표를 위한 의지에 불을 붙이기 직전이었던 차, 마이클의 뜻하지 않은 방문은 확실한 불쏘시개 역할을 감당해 주었다. ‘BK 21’의 취지와 우리 팀의 미래 목표에 대해 열심히 브리핑해주었는데, 헤어지면서 던진 나의 한마디가 아마도 이후의 모든 운명을 결정지었던 것이 아니었을까 생각해 본다.


“여러 나라를 충분히 여행하고 조사해 보세요. 그러나 결국엔 다시 여기로 오실 것입니다.”


자신감에 가득 찬 나의 예언대로 마이클은 다시 돌아왔다. 이때부터 우리 침구경락융합연구팀과 노스캐롤라이나 의대팀의 공동연구 기획이 바쁘게 돌아가기 시작했고, 결국은 2003년에 이르러 NIH 국제공동연구비 수주라는 큰 열매를 따내고 말았다. 이러한 사실 또한 당시 전국의 학계를 통틀어 드문 일이었으니 연일 뉴스는 거의 노벨상이 가까이라도 와있는 듯 갖은 수다를 쏟아내었다.


한미 양 대학의 연구실을 교대로 오가며 작은 세미나 및 국제 학술대회도 개최하였고, 당시에는 희귀했던 국제 화상회의까지 진행하며, ‘Korean Acupuncture in Central Nervous System Disorders’라는 중의학과는 구별되는 주제로, 2년 동안 기초 임상 중개연구를 진행했던 특별한 경험은 오래도록 나의 학문의 바다에서 중요한 이정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 모든 업적이 바탕이 되어 이후의 여타 연구 활동에까지 커다란 버팀목이 되었고 그 결과로 한의계 최초로 9년간의 장기과제 우수 연구센터를 수주하는 데까지 이르게 되었으니 처음 씨앗이 되어주었던 ‘BK 21’ 프로젝트에 감사한 마음이 크다.


여기에 씨앗이라는 의미를 되새겨보니, 오늘날까지 나와 동행해 준 많은 얼굴들이 스쳐 지나간다. 침 연구의 퀀텀 점프에 큰 역할을 해주었던 박종배는 그 후 머지않아 영국으로 유학을 가 박사학위를 취득한 이후 한국형 모델인 ‘Park Sham needle’을 개발하면서 대조군 설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등 침 임상연구 분야의 리더가 되어, 노스캐롤라이나, 듀크 등의 대학에서 강의도 하며 또 다른 유형의 씨앗을 유럽 및 미대륙에 퍼뜨리는 역할을 해주고 있다.


이어 위에서 언급한 박히준 등 당시 연구원들 모두는 현재 대학의 교수 또는 책임연구원의 위치에서 괄목할 만한 업적으로 해당 분야의 리더가 되어있음도 역시 감사할 일이다.


그런데 말이다. 카이스트 팀과 함께 이루어냈던 ‘침 자극 & f-MRI 연구’ 결과를 PNAS에 게재한 지 8년이나 지난 어느 해에 어처구니없는 일이 발생했다. 원위취혈 침 자극이 뇌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했던, 즉 경맥을 통한 경혈 자극의 brain mapping 가능성을 보는 우리의 연구 주제가, 갑자기 비특이적 자극 (아시혈)이 통증에 미치는 연구를 한 것처럼 둔갑한 채, 해당 논문의 제1저자인 조장희 박사가 연구 윤리 운운하며 논문을 철회시킨 사건이 발생한 것이다. 당시 대내외에 공개되었던, 논문 철회에 반대하는 내용으로 작성한 우리 팀의 반박문 등 자세한 내용은 나중에 다시 소개할 예정이다.



© 이혜정 교수의 담 넘어 만난 한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