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경력]
- KTX 매거진 기자
- 공감인베스터 팀장, 공감미디어홀딩스 기획팀장
- 2017 서울국제불교박람회 언론홍보 총괄 및 촬영팀장
- 월간 트래비·여행신문 객원기자
- 월간 불광 잡지팀 취재 및 편집기자
- 동방대학원대학교 전략기획실 연구원
- 법보신문 편집국 취재·편집기자

[기타 활동]
- 포항KBS ‘동해안 오늘’ 고정 패널 출연
- MBC ‘노중훈의 여행의 맛’ 패널 출연
- MBC ‘이 사람이 사는 세상’ 패널 출연
- KTX 매거진, 론리플래닛, 더트래블러, 웅진싱크빅북클럽 등 칼럼 기고
- 계간 문화공감, KOFIH 전담 객원 포토그래퍼
- 미붓아카데미 ‘21세기, 불교를 철학하다’ 진행 및 홍보

[수상 내역]
- 한국불교기자대상 ‘한국 불기 2550년 틀렸다’ 특별상 수상 (2006년)
- 제16회 불교언론문화상 대상 (법보신문 기획취재팀) 수상 (2009년)

[저서]
- 2016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 2018 『더 오래가게』

정태겸
정태겸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프로필 바로가기

평택 안정리 예술인광장과 나귀 요리

 

JTG 0100-main.jpg



올해 가장 많이 여행을 다녀온 곳은 단연 평택이었다.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곳이 많았고, 무엇보다 가장 궁금했던 나귀 요리가 평택에 있었다.



캠프 험프리스 옆 예술 마당


평택은 경기도 최남단의 도시다. 예부터 지역의 명칭이 오랫동안 변하지 않은 곳이 몇 있는데, 그중 하나가 평택이다. 그 이름에 평탄한 지역의 특성이 오롯이 담겼다. 대부분 평야로 이루어져 있고, 산이라고 해 봐야 수십 미터 높이의 낮은 구릉뿐이다. 관내에서 가장 높은 산이 진위면의 무봉산이다. 높이는 불과 208미터. 한반도 안에서는 어지간한 동네 뒷산 정도 수준에 지나지 않는다. 이런 지형적 특성은 한국전쟁 이후 군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기에 안성맞춤이었다. 과거 미8군이라 불리던 미군 부대가 평택 일대를 주둔지로 삼은 이유다.


지금은 이 부대를 ‘험프리스’라 부른다. 2000년대 중반에 기획한 ‘국방개혁2020’은 반쪽짜리 개혁이 됐지만, 주한미군은 꽤 큰 변화를 진행했다. 최전방의 부대를 평택에 합치고 불필요한 부대는 타 국가로 보내거나 본국으로 돌려보냈다. 그 결과 평택은 세계 곳곳에 자리한 미군 부대 중에서도 가장 큰 규모에 속하게 됐다. 여의도의 5배에 달하는 14.677㎢의 면적. 그 안에 미군과 군무원 등 부대 종사자와 가족이 함께 거주한다. 평시에는 4만 3천 명, 최대 8만 5천 명까지 수용할 수 있다. 한국전쟁 때 ‘K-6’라 부르던 이름을 지금도 부르기도 한다. ‘험프리스’라는 명칭은 1961년 헬리콥터 추락 사고로 순직한 제6수송중대의 벤저민 K. 험프리스 준위의 이름을 딴 것이다.


한국전쟁 이후 미군의 주둔지가 되면서 이 일대는 미군에 기대 살아가려는 사람이 많아졌다. 당시에는 보기 어려운 화려한 네온사인이 넘쳐나고, 그와 동시에 매춘과 마약을 비롯한 온갖 범죄가 들끓는 곳으로 여기곤 했다. 그 이미지는 지금도 유효하다. 그런 일이 없었다는 건 아니다. 다만 그 이미지가 캠프 험프리스가 있는 안정리 일대를 규정짓는 지배적인 이미지로 굳어져 버린 것이 과연 온당한지에 대한 시각도 생각해 봐야 할 문제라는 것일 뿐. 평택시 입장에서는 이런 이미지가 골칫덩이였다. 어떻게 해도 좀처럼 떨어지지 않는 우범지대의 선입견. 미군은 미군대로 일련의 노력을 기울였지만 좀처럼 효과를 보지는 못했다.


한편으로 이 지역은 당시만 해도 가장 선진적인 클럽 문화가 있던 곳이었다. 이태원과 더불어서 미군에서 흘러나온 당대의 음악적 조류가 지역 클럽에서 성행했고, 이는 한국의 음악사의 밑거름이 된 것도 사실이다. 하드록에서부터 힙합에 이르기까지, 본토에서 가장 유행하는 음악이 이곳에서 가장 먼저 선보여졌다. 그래서 안정리는 문화발전소이기도 했다.


그런 과거의 흐름을 기록하고, 현재에 이어가는 것 또한 중요하다. 그래서 만들어진 것이 안정리 예술인 광장이다. 이곳은 평택의 과거와 현재를 담아 미래를 이야기하겠다는 취지가 한눈에 보이는 공간이다.


JTG 0100-img-01.jpg



미군과 주민과 상인을 위하여


올해만 평택을 4번 다녀왔다. 방송 촬영을 위한 것이었지만, 평소 1년에 한 번 갈까 말까 하던 곳을 4번이나 다녀오면서 많은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그중에서도 제일 인상적이었던 건 지역 거주민의 말이었다. 그들 역시 과거에 덧입혀진 우범지대의 이미지에 넌덜머리를 냈다. 지금은 많이 좋아졌다며, 예전의 홍등가 자리가 저 주택단지였고, 이 골목은 술 취한 이가 밤마다 비틀거리며 싸움을 일삼았지만, 이제는 그런 모습을 볼 수 없다고 했다. 겉으로는 별달리 변한 것이 없어 보여도 분명 큰 변화가 있었다.


JTG 0100-img-02.jpg


안정리 예술인광장은 그런 안정리의 변화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곳이다. 무엇보다 여기에 살고 있는 세 부류, 안정리 주민과 미군 부대 관계자와 이곳의 상인이 어우러지는 공간으로 만들고자 했다. 2018년부터 이 일대의 모든 관계자에게 설문을 진행해서 의견을 수렴했다. 어떤 공간이 필요한가, 무엇이 있어야 할까, 이곳에서 어떤 것을 보여줄 것인가. 그 결과물이 예술인광장이었다. 평소에도 다양한 전시와 공연이 이어져서 사람들이 거부감없이 찾아올 수 있는 공간. 레지던시를 운영해서 이 일대의 모든 것을 예술로 기록할 예술가가 머물게 할 것. 그리고 예술 교육도 진행하는 곳.


JTG 0100-img-03.jpg


광장은 크게 넷으로 구역을 나눴다. 공연예술센터, 생활예술센터, 순수예술센터. 그리고 작가들의 레지던시인 창작작업실. 가운데에 커다란 광장을 두고 그 둘레로 각각의 섹터를 만들었다. 이곳을 짓기 위해 무작정 재개발을 단행한 건 아니다. 가급적 과거의 흔적을 지우는 것보다는 현재의 이곳이 과거의 시간에서 켜켜이 쌓아 올린 곳임을 보여주고자 했다. 예전, 안정리 로데오 뒷골목에 자리하고 있던 공작여관과 현대안경점의 골조를 그대로 유지해서 세련된 새로운 공간으로 바꿔낸 것이 그 증거다. 그 두 장소는 대한민국과 평택의 근대화 과정을 증명하는 곳의 역할을 톡톡히 해낸다. 겉으로 보기에 갓 지은 예술공간처럼 보이지만, 조금만 돌아보면 공작여관의 벽체와 현대안경점의 골조가 눈에 들어온다.


JTG 0100-img-04.jpg


건물의 벽에는 과거를 기록한 현대미술의 젊은 작품이 자리를 잡았다. 배춘효 작가의 <푸른 시선> 시리즈는 예전 미군에 기대어 살던 사람의 흔적을 있는 그대로 살려 놓았다. ‘양공주’라 부르던 여인들의 모습, 뒷골목 주택의 벽체, 그 시절 안정리의 작은 구멍가게 등 옛 모습이 콜라주로 벽을 뒤덮었다. 한쪽에는 최중명 작가의 <동네 해석>이 적잖이 익살스럽게 모습을 드러낸다. 오래된 장소는 다큐멘터리지만, 여기에 아기자기한 오브제를 얹어 동화 같은 모양새로 재탄생한다. 그 시절 평택 안정리에서도 꿈이 자라고 있었음을 이야기하고 싶었던 것일까. 멀찌감치 떨어져 작품 하나하나를 살펴보며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JTG 0100-img-05.jpg  JTG 0100-img-06.jpg


JTG 0100-img-07.jpg  JTG 0100-img-08.jpg


JTG 0100-img-09.jpg


중앙의 광장은 뜻밖에도 경복궁 근정전의 마당을 닮았다. 박석이 얼기설기 늘어서 불규칙한 선을 만들고 미묘한 각도로 기울어져 비 오는 날 물줄기를 아래로 흘려보낸다. 근현대의 흔적을 현대의 시선으로 담아 전통의 요소까지 더한 완벽한 구성. 이 광장의 여러 요소를 뜯어보면서 절로 감탄이 나왔다. 어쩐지, 예사롭지 않다 싶었더니 이 모든 것이 아르키움 김인철 건축가의 솜씨다. 과거에서 현재를 거쳐 미래까지 관통해 새로운 무언가를 완성한 솜씨가 보통이 아니다.


JTG 0100-img-10.jpg


JTG 0100-img-11.jpg



하늘에선 용고기, 땅 위에선 나귀 고기


사실 이날의 평택 여행은 이걸 위한 것이었다. 나귀 고기. 7~8년 전 실크로드를 여행하며 둔황시장에서 처음 먹고 반했던 나귀 고기를 먹을 수 있다기에 올해 초부터 벼르고 있었다. 늘 그렇듯 여행은 내 마음대로 흘러가지 않아 이제야 기회가 왔지만.


나귀를 취급하는 식당은 안정리에서 약 15분 정도 떨어진 평택 합정동에 있었다. 겉으로 보기에도 규모가 그리 큰 편은 아니다. 나귀의 경이로운 맛을 알기에, 문턱으로 들어서는 순간부터 가슴이 콩닥콩닥한다. 한쪽 벽에는 이미 소문을 따라 이곳을 다녀간 연예인의 사인이 가득하다. 역시, 귀한 것은 알아보는 사람이 있기 마련이다.


메뉴는 4종류의 세트로 구성돼 있다. 1인 4만 9천 원짜리 ‘동’부터 8만 9천 원짜리 ‘감’까지. 중간에 ‘의’와 ‘보’ 세트가 있다. 그러니까, ‘동의보감’ 세트다. 이곳의 주인은 나귀의 맛보다 효능을 널리 알리고 싶었던 모양이다. 그중 1인 6만 9천 원짜리 ‘보’ 세트를 주문했다. 얼마간의 시간이 지나고 나귀탕이 먼저 나왔다.


JTG 0100-img-12.jpg


생김새나 향은 영락없이 보신탕을 닮았다. 먹어본 적은 없지만, 먼발치에서 본 적은 있어 그 향을 기억한다. 구수하고 얼큰한 탕의 냄새 위로 올라앉은 깻잎의 알싸한 향. 꼭 그랬다. 국자로 떠서 맛부터 봤다. 잡내 없이 칼칼하다. 간은 조금 심심한 편. 그래도 맛이 워낙 좋았다. 음식을 하는 사람이 추구하는 ‘간’의 정도가 바로 이해가 되는 맛. 탕 속에 든 나귀 고기를 씹었다. “그래, 이거였어!” 부들부들한 고기의 식감. 씹는 듯 어느 순간 녹아 사라지는 것만 같은 느낌. 이건 함께 나온 고추잡채의 나귀 고기도 마찬가지였다. 좀처럼 어울리지 않을 법한 두 요리는 오묘하게 어우러진다.


JTG 0100-img-13.jpg


이 세트의 절정은 육회와 육사시미였다. 둔황에서도 먹어보지 못한 나귀의 생고기라니. 역시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다. 부드럽게 씹히고 사르르 녹아 사라진다. 양념해서 낸 육회보다는 개인적으로 생고기의 맛을 음미하기 좋은 육사시미 쪽이 더 마음에 들었다. 국내의 나귀 목장에서 키운 나귀를 잡아, 신선하게 유통해서 낸 것이기에 둔황의 것보다도 훨씬 맛이 좋았다. 잡내 같은 건 전혀 느껴지지 않는다. 이렇게 맛있는 나귀를 접하기 어려운 건, 개체 수 때문이다. 나귀는 새끼를 가지면 수태 기간이 1년에 달한다. 사람보다 더 오랜 시간 뱃속에 새끼를 품고 있기에 다른 동물에 비해 개체를 늘리는 게 쉽지 않다. 그나마 짐을 나르는 용도로 나귀를 쓰던 과거에는 새끼가 나오는 대로 키워서 썼겠지만, 식용으로 생각한다면 수지가 안 맞아도 한참 안 맞는 것. 당연히 비싸고 그래서 취급하기가 어려운 고기다. 그나마 이렇게라도 맛을 볼 수 있으니 감사할 뿐.


JTG 0100-img-14.jpg


과거의 기록에 조선의 나귀 고기는 중국에서도 아주 유명했다고 한다. “하늘에는 용고기, 땅에는 나귀 고기”라는 말이 있을 만큼 고기 중에서 최상품으로 쳤는데, 조선의 나귀 고기가 특히 맛있었단다. 청나라에서 조선의 사신을 자처하는 이가 많았던 것도 조선에 가서 나귀를 먹기 위한 것이었다는 얘기도 보인다. 진위를 알 수는 없으나, 그네가 왜 나귀에 열광했는지는 충분히 알 것 같다. 그리고 이번에 알게 된 사실 중 하나. ‘당나귀’라는 단어는 당나라의 나귀를 일컫는다는 것. 당시 당나라의 나귀 품종이 힘도 좋고 병에도 강해 상당히 선호했단다. 그래서 당나귀와 이 땅의 나귀를 교배한 것이 지배종으로 자리 잡았다고. 이렇게 나귀에 대한 지식 하나를 더 배워간다.



JTG 0100-title.jpg


나귀는 예로부터 아교(阿膠)가 아주 유명하다. 나귀의 피부 가죽을 고아서 끈적한 풀처럼 만든 것인데, 이는 그 자체로 약으로 쓰인다. 혈을 보하고 음의 기를 북돋우며 전신 관절에 힘을 더할 뿐 아니라 피부를 윤택하게 한다. 지혈제나 강장제로도 사용한다. 나귀의 뼈는 골격의 유지와 노화를 조절하는 데 효과가 좋다. 칼슘을 보강하고 골다공증에도 특효다. 또 그 고기는 피로를 해소하는 데 탁월하고 혈기 보강과 심기 안정 작용을 한다. 이외에도 나귀는 부위별로 모두 쓰임새가 있고 식용으로도 쓰여 동서양에서 모두 최상의 식품으로 취급했다.



© 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