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경력]
- KTX 매거진 기자
- 공감인베스터 팀장, 공감미디어홀딩스 기획팀장
- 2017 서울국제불교박람회 언론홍보 총괄 및 촬영팀장
- 월간 트래비·여행신문 객원기자
- 월간 불광 잡지팀 취재 및 편집기자
- 동방대학원대학교 전략기획실 연구원
- 법보신문 편집국 취재·편집기자

[기타 활동]
- 포항KBS ‘동해안 오늘’ 고정 패널 출연
- MBC ‘노중훈의 여행의 맛’ 패널 출연
- MBC ‘이 사람이 사는 세상’ 패널 출연
- KTX 매거진, 론리플래닛, 더트래블러, 웅진싱크빅북클럽 등 칼럼 기고
- 계간 문화공감, KOFIH 전담 객원 포토그래퍼
- 미붓아카데미 ‘21세기, 불교를 철학하다’ 진행 및 홍보

[수상 내역]
- 한국불교기자대상 ‘한국 불기 2550년 틀렸다’ 특별상 수상 (2006년)
- 제16회 불교언론문화상 대상 (법보신문 기획취재팀) 수상 (2009년)

[저서]
- 2016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 2018 『더 오래가게』

정태겸
정태겸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프로필 바로가기

대전 도솔생태숲과 소고기김치비빔

 

JTG 0109-main.jpg



도솔산을 일컬어 ‘대전의 허파’라고 부른다. 시내 복판에 자리하고 있는 데다 습지보전 지역인 갑천이 곁에 있어 많은 생명이 깃들어 사는 까닭이다.



봄날 기운 가득한 산행


들어서는 입구부터 봄기운이 가득했다. 꽃 잔치는 끝난 후였다. 어느새 푸른 이파리에서 여름의 느낌도 물씬 느껴지는 시기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곳곳에는 아직 꽃이 시선을 잡아끌었다. 진한 연둣빛이 온통 가득했다. 계절이 자리를 서로 바꾸기 전, 마지막으로 이 봄을 만끽하기에 도솔산은 안성맞춤의 선택이다.


서대전여고를 끼고 오른쪽으로 돌았다 산으로 들어가는 입구가 그 안쪽에 있다. 충주 박씨 재실이 묵직한 존재감을 드러내는 그곳이 출발점이다. 이 건물은 대종중의 중심지이자 도동서당으로 사용하기도 했던 장소다. 무생물인 건축물이지만 그곳을 이용하던 사람에 따라 완연하게 다른 느낌을 자아낸다. 유학으로 인재를 양성하던 이곳은 기품이 느껴지는 외형이다. 어떤 세월을 지나왔는지가 한눈에 보인다.


JTG 0109-img-01.jpg


도솔산의 면적은 400만 제곱미터(121만여 평) 규모다. 마을이 가까운 데다 고도가 높거나 너무 넓지 않아서 하루 날을 잡아 휘적휘적 다녀오기에 좋다. 대체로 이런 산은 공원의 느낌이 강하다. 대도시일수록 그런 경향이 강하다. 도솔산 역시 대전시민이 공원처럼 이용하는 곳인 듯했다. 도심에 있지만 이 산에는 생태환경이 잘 유지되고 있어서 생태숲이라고 부른다. 월평공원이라는 다른 이름도 붙어있다. 숲길은 대체로 완만한 편이다. 급격하게 거슬러 올라가야 하는 구간이 드물다. 조금만 올라가면 이내 울창한 숲이 펼쳐진다. 숲 안쪽에는 메타세쿼이아 나무도 보인다. 가로수가 아닌 숲속에서 자생하는 건 처음 본다. 군락이 크지는 않다. 단지 몇 그루에 불과하지만, 이런 모습을 보면서 이곳의 생태환경이 다양하다는 걸 보여주는 단면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JTG 0109-img-02.jpg


오솔길을 따라 걷는 동안 봉분도 적잖이 보였다. 산이 나지막해서 접근성이 좋고 햇빛이 잘 들어오는 양지가 많아서 이곳을 장지로 택한 사람이 많은 듯했다. 개중에는 제법 뼈대 있는 집안의 것인 듯한 묘도 있다. 크기도 크기려니와 곁에 세워둔 공적비 같은 것이 눈에 띈다. 산 발치에서 보았던 충주 박씨 재실을 생각해 보면 이 일대는 아마도 그 가문의 선산으로 사용하고 있는 게 아닌가 싶다. 그런 풍경은 금세 시야에서 사라진다. 그 뒤부터는 본격적인 숲의 풍경이다. 길가에 돌탑도 보인다. 누군가가 만들어둔 것인지는 모르겠으나 아마도 이 길을 오가는 많은 사람이 하나씩 돌을 올려 쌓인 것처럼 보였다. 이는 그만큼 도솔산을 찾는 사람이 많다는 걸 보여주는 광경일 것이다. 왜 이 산을 대전 시민의 안식처라고 부르는지 알 것도 같았다.


JTG 0109-img-03.jpg


JTG 0109-img-04.jpg



상존하는 개발의 위협


산의 안쪽으로 깊이 들어가자 머리 위에서 하얀 별이 살랑살랑 바람에 흔들리고 있었다. 작은 꽃이 영락없이 별을 닮았다. 봄의 끝자락, 초여름이 다가왔음을 알리는 때죽나무의 꽃이다. 태양을 등지고 서자 가지 위에 만발한 꽃이 햇살에 빛났다. 하얀 꽃은 송이째 땅으로 떨어졌다. 발치에 점점이 떨어진 곳은 마치 땅 위에 별이 박힌 것처럼 보인다. 계절이 바뀌고 있다는 걸 이런 장면에서 체감하게 된다.


JTG 0109-img-05.jpg


JTG 0109-img-06.jpg


한 시간 남짓 걸어서 도솔산의 정상을 넘어 반대편으로 넘어간다. 길게 대지를 가로지르는 갑천이 모습을 드러냈다. 도솔산이 생태공원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건 이 갑천의 존재가 있기 때문이다. 숲과 물길이 만나는 지점에는 수달, 삵, 큰고니 같은 멸종위기종 5종과 원앙, 황조롱이 등 천연기념물 4종이 서식하고 있다. 이 둘레에만 법적보호종 13종과 더불어 700종의 동식물이 살고 있다는 관할 행정기관의 조사 결과도 있다. 그런 귀한 생명도 직접 보고 싶었으나 쉬이 눈에 띄지는 않는다. 자연은 시간을 오래 두고 관찰하는 이에게만 본래 면모를 보여준다. 이번에는 도심 속 자연에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없다는 게 안타까웠다. 그럼에도 눈에 들어오는 것들은 모든 것이 아름다웠다. 대전의 도심에서 이런 초록빛을 만난다는 것만으로도 매우 만족스러웠다.


JTG 0109-img-07.jpg


숲길을 걷던 중에 안타까운 이야기도 들을 수 있었다. 이 숲은 도심에 있어 늘 개발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고 했다. 복지라는 명분으로 이 산을 개발하려는 행위가 지속해서 시도되고 있다는 것. 자본의 논리와 인간의 편의가 우선시될 수밖에 없는 도시에서 자연을 있는 그대로 지킨다는 건 무척 힘겨운 싸움이다. 개발을 업으로 삼은 사람의 입장에서는 끊임없이 개발해야 먹고 살 수 있을 테다. 한번 결정한 개발은 쉬이 이루어지지만, 추후 이를 되돌리기는 쉽지 않다. 무분별하게 자연을 인간의 손으로 갈아엎는 일을 신중하게 결정해야 하는 이유다. 그런 사례를 이미 우리는 숱하게 목격해 왔다. 다행히 대전 시민들은 이런 개발의 압력에 맞서서 여러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했다.


JTG 0109-img-08.jpg


도솔산을 한 바퀴 돌아 다시 시작점 근처로 돌아왔다. 도솔산의 유명사찰인 내원사로 향하는 갈림길이 나왔다. 곁길로 빠져나와 10분쯤 걸었다. 멀리 절이 보였다. 바람에 흔들리는 풍경소리가 마음을 편안케 한다. 나뭇가지의 사라락거리는 소리. 천변을 따라 피어난 노란 붓꽃의 군락. 숲의 모든 것이 저물어가는 늦은 오후 사람의 오감을 자극한다. 도심 한복판에 살아 숨 쉬는 생명의 향연이 펼쳐지고 있었다.


JTG 0109-img-09.jpg



평양냉면이 아닌 황해도냉면


대전에 가면 열에 일곱 번 정도는 꼭 찾아가는 곳이 있다. 사리원면옥이라는 곳이다. 대전을 대표하는 평양냉면 전문점으로 알려져 있는데, 정확히는 황해도식 냉면 전문점이다. 사리원이라는 상호는 실제 황해도에 존재하는 지명이다. 이를 보더라도 이곳의 냉면은 평양식이 아니라 황해도식이라는 데 더 무게가 실린다. 황해도식 냉면은 육수에 간장을 더해 간을 맞춘다. 육수에서 감칠맛이 더 도는 건 그 때문이다. 평양냉면만큼이나 조리법과 외양이 다양하다. 그만큼 가게에 따라 간장을 더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다. 그럼에도 대체로 간장이 들어간다는 건 동일하다. 둘은 외형이 유사하기도 하고 맛도 비슷하다. 간장으로 간을 맞춘다고 하지만 황해도 음식 자체가 굉장히 슴슴한 탓에 이를 알아차리기 어려울 정도다. 대전에 평양냉면으로 유명한 집이 여러 곳 있지만, 구태여 여기를 찾는 건 완성도 높은 황해도식 냉면 때문이다.


하지만 이게 다가 아니다. 이곳으로 자꾸만 발길을 이끄는 다른 음식도 있다. 소고기김치비빔이라는 안주다. 기자 초년병 시절 대전 출장을 왔다가 짬을 내어 사리원면옥을 찾았다. 기차 시간이 얼마 남지 않은 상태에서 들어섰는데, 당연히 냉면을 시키고 나자 소고기김치비빔이 눈에 들어왔다. 다른 곳에서 보지 못했던 것이라 고민 끝에 한 접시를 주문했다. 그리고 반주 삼아 먹어봤는데, 그 맛에 홀딱 반해 버렸다. 새벽부터 대전에 내려와 일을 했던 탓에 피곤으로 온몸이 녹아내리는 듯했는데, 그 노고를 싹 씻어주는 듯했다.


JTG 0109-img-10.jpg


그 후로 이곳에 오면 종종 이 음식을 시켜 먹는다. 산처럼 쌓아주는 비주얼도 좋았고, 처음 입에 넣었을 때 입안에서 폭발하듯 퍼지는 김치의 새콤함과 소고기의 고소함이 매번 만족스럽다. 작정하고 마음껏 술을 마시고 싶지만, 이곳에 올 때마다 매번 그럴 수 없었던 탓에 아쉬움만 가득하다. 무엇보다 잘 담근 김치는 이 음식의 퀄리티를 담보하는 밑바탕이다. 김치가 맛이 없으면 절대로 이런 맛이 나올 수 없다. 여기에 지방이 적은 소고기를 넣어 함께 비볐다. 한국의 냉채요리 중 하나를 꼽으라면 나는 뒤도 돌아보지 않고 이곳의 소고기김치비빔을 선택하고 싶을 정도다. 따스한 봄, 대전의 별미가 생각나는 오후다. 조금은 여유가 생기는 어느 날, 훌쩍 기차를 타고 대전으로 떠날 테다. 그곳에서 소고기김치비빔을 시켜 마음껏 소주를 즐기리라.



JTG 0109-title.jpg


김치는 한국인의 밥상에 무조건 올라야 하는 반찬으로, 한국의 대표 발효식품이다. 잘 발효된 김치에는 젖산 (lactic acid)과 젖산균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이 풍부하다. 같은 무게의 요구르트보다 4배나 많은 유산균이 함유되어 있다. 이는 항산화, 항암, 고혈압 예방 효능이 있어 여러 질환에 도움을 준다. 비타민 B1, B2와 함께 칼슘, 칼륨 등의 무기질도 매우 많다. 적당히 숙성했을 때는 항암 효과가 더 커진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잘 익은 김치의 위암 세포의 성장 억제 효과가 발효시키지 않은 것보다 4~10퍼센트 더 높다는 내용이다.



© 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