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경력]
- KTX 매거진 기자
- 공감인베스터 팀장, 공감미디어홀딩스 기획팀장
- 2017 서울국제불교박람회 언론홍보 총괄 및 촬영팀장
- 월간 트래비·여행신문 객원기자
- 월간 불광 잡지팀 취재 및 편집기자
- 동방대학원대학교 전략기획실 연구원
- 법보신문 편집국 취재·편집기자

[기타 활동]
- 포항KBS ‘동해안 오늘’ 고정 패널 출연
- MBC ‘노중훈의 여행의 맛’ 패널 출연
- MBC ‘이 사람이 사는 세상’ 패널 출연
- KTX 매거진, 론리플래닛, 더트래블러, 웅진싱크빅북클럽 등 칼럼 기고
- 계간 문화공감, KOFIH 전담 객원 포토그래퍼
- 미붓아카데미 ‘21세기, 불교를 철학하다’ 진행 및 홍보

[수상 내역]
- 한국불교기자대상 ‘한국 불기 2550년 틀렸다’ 특별상 수상 (2006년)
- 제16회 불교언론문화상 대상 (법보신문 기획취재팀) 수상 (2009년)

[저서]
- 2016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 2018 『더 오래가게』

정태겸
정태겸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프로필 바로가기

청주 무심천 튤립공원과 메밀국수

 

JTG 0110-main.jpg



청주 출장길에 무심천 이야기를 들었다. 튤립이 만발했다는, 지금이 절정이라는 현지인의 설명이었다. 직업이 직업인지라 호기심이 일었다.



작지만 아름다운 꽃밭의 오후


4월은 꽃의 시간이다. 개나리와 진달래가 피면 벚꽃이 만발하고 비로소 온갖 꽃이 모습을 드러낸다. 3월 말부터 4월 중순까지 찾아다녀야 하는 꽃의 종류를 가려내기조차 버거울 정도다. 튤립도 이 시기에 피어난다. 한때 네덜란드를 부유하게 했고, 또 유럽 전체의 경제를 흔들었던 꽃인 만큼 그 화사한 멋스러움은 남다르다. 충청도 일대에 튤립으로 유명한 장소가 꽤 많다. 그런데 청주의 무심천은 처음이었다. 다행히 출장지에서 5킬로미터 남짓 떨어진 곳에 무심천이 있었다. 하지만 목적지가 무심천이라고 단순하게 생각했다가는 큰코다칠지도 모른다. 청주 시내를 가로지르는 무심천은 강폭이 넓은 건 아니지만 그만큼 길게 늘어서 있다. 이번에 찾아가기로 한 곳은 무심천체육공원이다. 5킬로미터 떨어진 무심천이 운 좋게도 바로 체육공원이었다.


오전이면 일이 끝나서 햇살 좋을 때 튤립을 보겠구나 싶었는데, 의외로 오후가 훌쩍 넘어서야 짐을 챙겨 출발할 수 있었다. 이미 땡볕이 쏟아지는 중이었고, 봄이라기엔 여름을 연상케 할 만큼 더워지기 시작했다. 연하디연한 튤립의 꽃잎이 견딜 수 있을까 걱정이 되기 시작했다. 서둘러 걸음을 옮겼다. 무심천의 이쪽 일대는 청주에서 가장 유명하다는 벚꽃 가로수길이 늘어선 곳이었다. 이미 벚꽃은 흔적을 지우고 사라진 뒤였다. 자줏빛 꽃받침만 얼마 전까지 그 자리에 화사한 꽃이 피어있었음을 알리고 있었다. 그나마도 툭툭 떨어지고 있는 거리를 걸어 체육공원으로 내려갔다. 오후를 맞아 청주 사람들은 무심천변을 찾아 한가로운 여유를 보내는 중이었다. 운동을 하러 나온 학생들도 보인다. 그 풍경 너머 저 멀리 어렴풋이 튤립밭이 보였다.


JTG 0110-img-01.jpg


JTG 0110-img-02.jpg


가까이 다가서서 보니 당초 들었던 것만큼 꽃밭의 규모가 큰 건 아니었다. 1,983제곱미터(약 600평) 정도 수준이다. 탁 트인 천변이라 그 규모가 더 작아 보이기도 했다. 그렇지만 저 정도 크기가 결코 작은 건 아니다. 더구나 이 안에 튤립만 1만 송이가 식재돼 있다. 이곳에 서서 보면 튤립의 종류가 얼마나 다양한지가 한눈에 보인다. 빨간 튤립부터 하얀 튤립, 그리고 보랏빛과 부분부분 색이 들어간 화려한 튤립까지. 지금까지 꽤 다양한 종을 보았다고 생각했는데, 처음 보는 것도 있었다. 말 그대로 다채로운 빛깔의 향연이었다.


JTG 0110-img-03.jpg


JTG 0110-img-04.jpg


JTG 0110-img-05.jpg


한국에 있는 종은 다 모아둔 것 같았다. 네덜란드가 튤립으로 유럽의 시장을 흔들었다는 사실에 고개를 끄덕일 수 있을 만큼 고혹적이기도 했다. 튤립공원의 화사함은 사람들의 발길도 끌어들였다. 이 공원 옆으로는 천변의 자전거도로가 있다. 자전거를 타고 지나가던 사람이 멈춰서서 사진을 찍기도 하고, 대학생인 듯한 커플은 한참을 꽃밭 주변을 돌아다니며 서로 사진을 찍어 주는 데 열중했다.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비로소 보이는 정경이다. 얕은 무심천 물 위에는 오리가 노닐고 어느덧 나무 위에는 파릇한 새싹이 돋았다. 더없이 평화롭다. 출장 중에 잠시 즐기는 망중한이다.


JTG 0110-img-06.jpg


JTG 0110-img-07.jpg JTG 0110-img-08.jpg

JTG 0110-img-09.jpg JTG 0110-img-10.jpg

JTG 0110-img-11.jpg JTG 0110-img-12.jpg



중앙극장 근처의 옛날 맛


과거 청주의 중심은 중앙극장이었다. 까까머리에 교복을 입은 학생들이 모여들던 곳. 그 일대는 서울의 명동과도 같았다. 밤늦은 시각 영화를 보고 나오는 사람과 택시 기사까지 여러 군중이 그 거리를 메우면 언제나 그렇듯 발걸음을 옮기던 곳은 중앙제과였다. 이름은 빵집인데, 정작 파는 건 단팥빵과 자장면, 메밀국수였다. 청주는 그랬다. 국숫집에서 빵을 만들어 팔고, 빵집에서 국수를 함께 내놨다. 중앙제과가 문을 연 건 1969년. 무려 50년이 넘도록 그 자리를 지키고 섰다. 이제는 시간이 흐르고 창업주가 물러나 아들이 그 자리를 이어받았다. 이름도 중앙제과에서 중앙모밀로 고쳐 달았다. 그러니까 이 가게는 청주 사람에게는 추억의 그 집인 거다.


과거 번화가였던 그 거리는 지금도 옛 영광의 시간을 간직하고 있다. 번쩍거리는 화려함은 없어도 요즘 유행하는 레트로한 느낌이 진하게 풍기는 골목이 이어진다. 그 가운데에 중앙모밀이 있다. 외관부터 노포 중 노포라는 걸 알 수 있을 만큼 옛 모습 그대로다. 가게로 들어섰다. 메뉴는 자장면, 우동, 모밀(메밀)국수가 전부다. 주방 앞에는 커다란 육수통 두 개가 놓였다. 메밀국수의 장국을 담아놓은 통이다. 처음 방문했으니 고민할 것 없이 메밀국수를 주문했다. 돈을 조금 더 얹으면 곱빼기도 가능하다.


JTG 0110-img-13.jpg


이 집의 특징 중 하나는 음식이 무척 빨리 나온다는 점이다. 그래서 회전율이 매우 좋다. 주말이면 명성을 좇아 찾아오는 사람으로 길게 줄이 늘어서지만, 그 많은 인파를 다 받아낼 수 있는 건 그만큼 빠른 속도와 회전율 덕분이다. 주문을 넣고 5분이 채 지나지 않았을 법한데, 이미 테이블 위에 음식이 놓였다. 어차피 국내에서 면 자체로 큰 차이를 내는 일은 쉽지 않으리라 판단했다. 결국 장국의 맛이 관건일 것이다. 슬쩍 맛을 봤다. 짭짤한 간장 맛 위로 진득한 가츠오부시의 감칠맛이 묵직한 펀치처럼 날아온다.


JTG 0110-img-14.jpg


예전에는 질 좋은 다시마와 멸치를 직접 산지에서 구해 국물을 만들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가츠오부시를 넣어서 장국에 변화를 준 듯했다. 물론 사장님에게 확인하지 않았으니 확실한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멸치만으로 이 향을 낸다는 건 생각하기 어려웠다. 무와 대파를 넣어도 이 맛은 크게 변함이 없다. 확실히 이 집 메밀의 정체성은 강렬한 국물의 맛이다. 면발은 하얀빛이 은은한 걸 보니 밀가루 비중이 약간 높아 보인다. 한데 그게 다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8:2든 7:3이든. 하다못해 5:5일지라도 맛만 좋으면 된다. 그게 그 가게의 맛이고 색채다. 오랜 노포가 이곳만의 맛을 가졌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충분히 만족스러웠다.


JTG 0110-img-15.jpg



진한 장국에 말아 먹는 국수의 즐거움


살얼음이 설설 껴있는 장국에 국수 타래를 말았다. 처음에는 잘 안 풀려서 하나를 통째로 넣었는데, 장국이 넘쳐버렸다. 이걸 통으로 넣는 시도를 하는 무식한 인간이 저지른 처참한 사태. 다른 한편으로는 국수의 양이 결코 적은 게 아니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장국에 들어간 면발은 이내 잔뜩 몸을 움츠렸다. 잘 삶아진 면이 탱탱한 식감을 갖추는 순간이다. 젓가락으로 슬슬 흔들어서 면발을 쭉 들어 올린다. 메밀이 차가운 장국 안에서 온전한 미덕을 갖췄을 때 보여 줘야 할 모든 것이 입안으로 들어왔다. 쫄깃하다.


JTG 0110-img-16.jpg


그 강렬했던 가츠오부시의 맛은 국수를 먹는 동안 전혀 느껴지지 않는다. 그 맛에 이미 혀가 무뎌졌을 수도 있고 면의 전분기가 섞이며 순하게 희석됐을지도 모른다. 대신 국수를 씹고 장국을 마실 때마다 알싸하게 씹히는 대파의 맛이 적절하게 긴장감을 준다. 기호에 따라서는 여기에 겨자를 살짝 넣어서 먹어도 좋다. 이 집에 대한 여러 평 중에 ‘와사비가 아니라 겨자라니’라고 쓴 글을 보았다. 그게 무슨 문제인지 모르겠다. 이 집이 처음 문을 열고 한창 장사를 하던 시절에는 와사비보다 겨자, 그중에서도 물에 개어 쓰는 겨자분을 많이 사용했다. 이유는 간명하다. 저렴한데도 비슷한 효과를 누릴 수 있었으니까.


오랜 시간, 이 지역의 아이들을 위해 자리를 지켜온 노포의 노력을 고작 와사비냐 겨자냐로 폄하해 버리는 행위가 과연 온당한 건지 묻고 싶었다. 나 역시 면스플레인에 젖어 살던 시절이 있었지만, 그게 얼마나 건방진 행동이었는지 이제는 안다. 제발 자기의 입맛과 지식만으로 그 가게의 선택을 쉽게 평가하지 말기를. 손님은 왕이 아니다. 돈 많이 쓰는 손님이 왕인 거다.


JTG 0110-img-17.jpg


천천히 꼭꼭 씹어가며 메밀국수를 즐겼다. 구수한 메밀의 향보다는 국물과 면이 주는 그 자체의 즐거움이 입안에서 도드라졌다. 청주가 간직한 선한 마음의 음식, 그 옛날 맛을 만났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소소한 봄날의 여행, 그런 여정에 딱 어울리는 늦은 점심이었다.



JTG 0110-title.jpg


메밀을 들여다본 적이 있는가? 생김새가 독특하다. 삼각형의 모양을 하고 있다. 다른 곡물에 비해 자기 개성이 강한 메밀은 맛이 구수해서 세계 여러 지역에서 국수, 만두, 전병 등으로 선호하는 양식이기도 했다. 같은 밀 종류지만 밀가루에 비해 혈당이 천천히 오르는 건 메밀의 장점이라 할 만하다. 지방의 축적도 억제하고 단백질의 함량도 높은 편이라 운동을 즐기는 이에게 권한다. 메밀에 많은 루틴 (rutin) 성분은 나쁜 콜레스테롤을 배출하고 혈관을 강화하는 기능을 한다. 뇌출혈, 고혈압, 동맥경화 등의 혈관 질환에 효과가 있다고 하는 이유다. 섬유질이 풍부하여 변비 예방, 과민성 대장 증후군 완화에 도움이 된다.



© 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