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스100%마이너스

  • 화면크기
통합검색

지식솔루션센터

생활 속에서 찾아보는 한의학 이야기

생활 속 한의

Home > 지식솔루션센터 > 생활 속 한의

생활 속 한의

  •  
  • 최승훈 교수의 나의 세계화 노트
  • 공보의 박재량의 한의사 항해 일지
  • 이혜정 교수의 담 넘어 만난 한의학
  • 한의사 김나희의 신화와 전설 근거중심 탐구
  • 이강재 원장의 8체질 가이드
  • 제준태 원장의 열두 달의 수다(秀茶)
  • 한의대생 김감초의 그림 한의학 가이드북
  • 김종우 교수의 명상. 걷기.. 여행... 치유
  • 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
  • 남지영 박사의 편안한 웰빙 수다
  • 공병희 원장의 현대적 본초 읽기
  • 한창훈 작가의 내 밥상 위의 자산어보
  • 안덕균 교수의 약초 이야기
  • 송미연 교수의 한방 운동보감
  • 안문생 박사의 약선 설계론
  • 이유명호 원장의 애무하면 낫는다
  • 팀닥터 한의사 이현삼의 스포츠 한의 이야기
  • 이상재 교수의 한국의 건강문화
  • 한의사 방성혜의 엄마가 읽는 동의보감
  • 닥터 이훈의 엄마와 아이 건강 이야기
  • 황만기 박사의 알레르기 이야기
#03. 소라, 여러 가지를 처음으로 본 맛
  • 글쓴이: 한창훈
  • 등록일 : 2015-01-10
  • 조회수: 3183

설명대로 하자면 사람 해치는 표창 같으나 마개가 예쁘고 껍데기에 뿔이 달린 녀석으로 섬에서는 꾸죽, 꾸적이라 부른다. 소라는 내가 어떤 역할을 하고 맨 처음 일당으로 받아본 것이기도 하다. 이렇게 된 일이다....

아이 몸에 좋은 천연 양념
  • 글쓴이: 방성혜
  • 등록일 : 2014-12-26
  • 조회수: 6166

음식을 만들 때 없어서는 안 되는 기본양념 중의 하나가 바로 설탕이다. 그런데 이 설탕은 어떻게 만드는 것일까? 설탕을 만들기 위해서는 따뜻한 기후에서 자라는 사탕수수라는 식물이 필요하다. 이 사탕수수를 압착하여 즙을 짠 후 끓여서 농축시키면 이것이 바로 설탕이 된다....

초오두(草烏頭)
  • 글쓴이: 안덕균
  • 등록일 : 2014-12-24
  • 조회수: 4752

예전에 사람을 독살하기 위하여 사용했던 약이 바로 초오두(草烏頭)이다. 이 약은 약성이 뛰어나서 먹기만 하면 금방 생리적인 반응을 일으키므로 죽기 아니면 살기로 알려졌다. 실제 이 약은 신속하게 효력을 발생시켜 용도가 많다....

#02. 학꽁치, 바다가 맘먹고 퍼주는 맛
  • 글쓴이: 한창훈
  • 등록일 : 2014-12-22
  • 조회수: 3570

어떤 사람이 일본엘 다녀왔는데 그곳 식당에 갔더니 학꽁치회가 딱 두 점 나왔단다. 거기 사람들은 이것을 약으로 먹고 있더라고 그는 타박했다. 우리는 음식으로 배부르게 먹는다. ...

약선 초교탕 설계 Master Plan (2)
  • 글쓴이: 안문생
  • 등록일 : 2014-12-22
  • 조회수: 4337

약선 설계 이론을 빨리 습득하기 위해서는 논리의 근간에 대한 이해가 가장 중요한 것 같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단계적 질의응답을 거쳐 다음 단계로 넘어가려 한다....

요통에 좋은 스트레칭과 지압 1. 장요근 스트레칭
  • 글쓴이: 송미연
  • 등록일 : 2014-12-15
  • 조회수: 9301

장요근은 장골근과 대요근을 합쳐서 일컫는 근육이다. 허리의 척추에서부터 장골, 다리의 대퇴골에까지 이르는 근육으로 쉽게 말하면 상체와 하체를 이어주는 근육이다, 허리 건강과 요통에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

#01. 감성돔, 보약 한 재로 치는 맛
  • 글쓴이: 한창훈
  • 등록일 : 2014-12-10
  • 조회수: 3160

아, 손암 선생님. 솔직히 너무하셨습니다. 다른 것도 아니고 감성돔인데, 처오촌 부탁에 마지못해 붓을 든 것처럼 ‘색흑이초소 色黑而稍小’ 다섯 자만 달랑 적어놓으셨다니요. (안 그러셨잖아요!) 선생님이 기록해놓으신 155종 해산물 중에 얘들보다 이력서 짧은 것도 없습니...

항생제로부터 우리 아이 지키기
  • 글쓴이: 이훈
  • 등록일 : 2014-12-05
  • 조회수: 4758

19세기 유럽 인구 중 2,500만~6,000만 명이라는 어마어마한 숫자의 사람을 사망하게 한 흑사병이 있었죠. 이 병의 원인은 세균이었는데, 그 당시에는 원인을 몰랐기 때문에 ‘신의 저주’ 또는 ‘악마의 소행’이라고 여길 뿐이었다고 합니다. 멀리 가지 않더라도 불과 ...

#14. 출산! 초강력 사랑의 블록버스터
  • 글쓴이: 이유명호
  • 등록일 : 2014-12-04
  • 조회수: 3143

몇십 톤이나 하는 거대 공룡이라도 알에서 깬 새끼는 겨우 30센티에 몇 킬로 정도란다. 오랜 임신기간을 가지는 수염고래 새끼 무게는 어미의 1000분의 1밖에 안 된다. 고릴라는 100kg이 넘는 어미가 2kg의 새끼를 낳는다. 엄마 체중의 50분의 1이다. ...

#20. 천식에 쉽게 걸리는 아이의 특징
  • 글쓴이: 황만기
  • 등록일 : 2014-12-04
  • 조회수: 3516

천식은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이다. 그중에서도 특히 어린 아이들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는데 1~6세 아동의 발병률이 가장 높다. 대부분 천식은 만 3세 이내에 발병하는데, 학령기에 접어들면서 점차 완화되는 경향을 보인다....